•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8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 `가구' 관련 위해신고 급증, 6세 미만 영유아 안전사고 많아 -


2018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소비자 위해정보는 총 72,013건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가구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연도별 접수건수(증감률): ’16년 69,018건 → ’17년 71,000건(2.9%) → ’18년 72,013건(1.4%)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가구·가구설비’ 품목 위해정보 전년 대비 급증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2018년 접수된 소비자 위해정보를 분석한 결과, 위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품목은 `가구 및 가구설비'로 전체의 17.3%(12,438건)를 차지했다. 충돌, 추락 등 가구로 인한 상해가 지속 발생하고 라돈 검출 매트리스와 유해물질 검출 놀이매트 관련 언론보도 등으로 위해정보 접수가 급증*했다.

*매트리스(2,187건, 전년대비 2,840.3% 증가), 놀이매트(866건, 전년 대비 921.3% 증가)

한편 위해가 발생한 장소는 ‘주택’이 53.0%(38,141건), 위험·위해 원인은 미끄러지거나 부딪히는 등 ‘물리적 충격’이 42.5%(30,561건)으로 가장 많았다.

◎ 6세 미만 영유아 뇌진탕·골절사고 빈발

연령 확인이 가능한 위해정보 63,834건을 분석한 결과, 만 14세 이하 어린이의 안전사고 건수가 37.7%(24,097건)를 차지했다. 이 중 6세 미만 영유아의 안전사고 건수가 19,250건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영유아에게 치명적인 ‘뇌진탕(774건)’과 ‘골절(749건)’ 사고의 경우 각각 86.3%와 65.1%가 주택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지속·다발하는 계층별·장소별·산업별 위해품목 및 위해원인에 맞는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콘텐츠 제작·보급, 안전 캠페인 시행 등의 위해저감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아울러 위해가 발생했거나 발생 우려가 있는 경우 위해정보신고 핫라인(☎080-900-3500)이나 모바일앱 또는 한국소비자원 CISS 홈페이지(www.ciss.go.kr)를 통해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소비자원 CISS 홈페이지 내 ‘위해정보동향’ - ‘소비자위해동향’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한국소비자원 2019-04-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33 감전 위험 있는 전동 외발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4.11
4232 해외 화장품 직접 구매 시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4.11
4231 “유명인·가족 등 사칭, 절대 돈 보내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4.11
4230 리딩방 로또 환불을 빙자한 코인 매수 제안을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4.11
4229 COS SHOP / LANOBI MALL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 2024.04.05
4228 봄철 불청객, 졸음운전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 2024.04.05
4227 설레는 봄 산행, 안전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4.04
4226 봄 나들이 때 유모차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4.04
4225 화재 위험있는 팬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 2024.04.03
4224 표면온도 기준치 초과한 발열조끼 자발적 리콜(환불)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4.03
4223 피부·안구 자극을 유발하는 Wet&Forget 곰팡이 얼룩 제거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4.03
4222 충격 흡수 미흡해 부상 위험 있는 승마용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4.03
4221 제품 품질이 불량하고 주의문구가 누락된 전기 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4.03
4220 제품 품질이 불량하고 안전 정보가 누락된 전기 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4.03
4219 제조 품질이 불량한 CAO MM 배터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4.03
4218 전기 스파크나 아크 발생으로 감전 위험성 있는 예초기(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 2024.04.03
4217 전기 스파크나 아크 발생으로 감전 위험성 있는 예초기(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4.03
4216 전기 스파크나 아크 발생으로 감전 위험성 있는 예초기(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4.03
4215 전기 감전 위험이 있는 전기 훈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 2024.04.03
4214 작은 인형 삼킴으로 질식 위험 있는 마트료시카 인형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4.04.0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