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8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 `가구' 관련 위해신고 급증, 6세 미만 영유아 안전사고 많아 -


2018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소비자 위해정보는 총 72,013건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가구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연도별 접수건수(증감률): ’16년 69,018건 → ’17년 71,000건(2.9%) → ’18년 72,013건(1.4%)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2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0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가구·가구설비’ 품목 위해정보 전년 대비 급증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2018년 접수된 소비자 위해정보를 분석한 결과, 위해가 가장 많이 발생한 품목은 `가구 및 가구설비'로 전체의 17.3%(12,438건)를 차지했다. 충돌, 추락 등 가구로 인한 상해가 지속 발생하고 라돈 검출 매트리스와 유해물질 검출 놀이매트 관련 언론보도 등으로 위해정보 접수가 급증*했다.

*매트리스(2,187건, 전년대비 2,840.3% 증가), 놀이매트(866건, 전년 대비 921.3% 증가)

한편 위해가 발생한 장소는 ‘주택’이 53.0%(38,141건), 위험·위해 원인은 미끄러지거나 부딪히는 등 ‘물리적 충격’이 42.5%(30,561건)으로 가장 많았다.

◎ 6세 미만 영유아 뇌진탕·골절사고 빈발

연령 확인이 가능한 위해정보 63,834건을 분석한 결과, 만 14세 이하 어린이의 안전사고 건수가 37.7%(24,097건)를 차지했다. 이 중 6세 미만 영유아의 안전사고 건수가 19,250건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영유아에게 치명적인 ‘뇌진탕(774건)’과 ‘골절(749건)’ 사고의 경우 각각 86.3%와 65.1%가 주택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지속·다발하는 계층별·장소별·산업별 위해품목 및 위해원인에 맞는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콘텐츠 제작·보급, 안전 캠페인 시행 등의 위해저감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아울러 위해가 발생했거나 발생 우려가 있는 경우 위해정보신고 핫라인(☎080-900-3500)이나 모바일앱 또는 한국소비자원 CISS 홈페이지(www.ciss.go.kr)를 통해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소비자원 CISS 홈페이지 내 ‘위해정보동향’ - ‘소비자위해동향’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한국소비자원 2019-04-0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691 어린이보호포장 미비한 Bob Smith Industries 순간 접착제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0.07.01
2690 어린이보호포장 미비한 Bob Smith Industries 순간 접착제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3 2020.07.01
2689 색소 함량 높은 럭키 참스(Lucky Charms) 시리얼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4 2020.07.01
2688 색소 함량 높은 럭키 참스(Lucky Charms) 시리얼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 2020.07.01
2687 색소 함량 높은 럭키 참스(Lucky Charms) 시리얼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7 2020.07.01
2686 알레르기 성분 미표시된 Stonewall Kitchen 살사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0.07.01
2685 라벨에 전성분 표시가 잘못된 Jurlique 에센스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20.07.01
2684 라벨에 전성분 표시가 잘못된 Jurlique 에센스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3 2020.07.01
2683 합선으로 인한 과열 및 화재 위험 있는 공룡 모형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9 2020.07.01
2682 감전 위험 있는 Hoco. USB 충전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0.07.01
2681 등받이가 경사진 바운서, 요람 등에서 아기를 재우지 말아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1 2020.07.02
2680 물기 많은 여름철 감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0.07.02
2679 여름철 물놀이 사고에 주의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4 2020.07.09
2678 청소년 울리는 고금리 사채, 대리입금 거래를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20.07.09
2677 빗길 교통사고 18~20시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5 2020.07.09
2676 자전거 안전하게 즐기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0.07.10
2675 구명조끼, 금주 등 국립공원 물놀이 안전수칙 준수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2 2020.07.10
2674 90년대생 청년층, 대출수수료 30% 사기 작업대출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0.07.15
2673 무더운 날씨에는 이물 혼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4 2020.07.15
2672 여름철 안전사고 이렇게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0.07.16
Board Pagination Prev 1 ...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