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2019년 하계기간(‘19.3.31~’19.10.26) 동안의 국제선과 국내선의 정기편 항공운항 일정표(스케줄)을 인가하였다.
* 세계 대부분 나라들은 미주 유럽의 일광절약시간제(daylight saving time)에 따른 운항시각 변동과 계절적 수요에 탄력적 대처를 위해 1년에 2차례(동·하계) 일정을 조정함

이번 하계기간에는 국제선은 94개 항공사가 총 385개 노선에 왕복 주 5,083회 운항할 계획이며, 전년 하계와 대비하여 운항횟수는 주 301회(약 +6.3%) 증가하였다.

국가별로는 일본이 전체 운항횟수의 약 23.0%(주 1,258회)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중국 약 22.6%(주 1,240회), 미국 약 9.3%(주 508회), 베트남 약 9.0%(주 491회) 등의 순이다.

’18년 하계 대비 운항횟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국가는 주 98회가 증가한 일본이고, 다음이 베트남(주 82회), 러시아(주 36회) 등의 순이다.

중국의 경우 ‘18년 하계 대비 운항횟수가 2.9%(주 1,205→주 1,240회) 늘었으며, 사드제재 이전인 ’16년 하계 운항횟수와 비교하면 약 94.2%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 주1,317회(‘16하계)→주933회(‘17하계)→주1,205회(‘18하계)→주1,240회(‘19하계)

또한, 올해도 우리나라 저비용항공사들의 운항횟수가 대폭 증가했는데(전년 하계 주 1,460회 → 올해 하계 주 1,645회, 약 12.7%), 이는 제주항공(주 82회↑), 티웨이(주 43회↑), 에어부산(주 39회↑) 등 저비용항공사의 일본, 동남아, 러시아 등 운항횟수 증가* 결과로 분석된다.
* 국적 저비용항공사(이하 LCC) 19년 하계 일본 운항은 18년 하계 대비 주 81회↑(주 696회→주 777회), 베트남 주34회↑(주 158회→주 188회), 러시아 주21회↑(주 10회→주 31회)
** 국적 LCC ‘18년 하계 대비 ‘19년 하계 신규 취항도시(3곳) : 이바라키, 치앙마이, 하이커우

아울러, 지방 국제공항에서 운항횟수가 증가했으며, 특히 대구공항(주 77회↑), 무안공항(주 50회↑), 김해공항(주 43회↑)에서 운항횟수가 증대돼 지방이용객의 편익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선은 총 21개 노선에서 주 1,891회를 운항하여 전년 하계기간 대비 운항횟수가 주 21회(0.7%, 왕복기준) 감편된다.

제주노선(11개)은 주 1,523회로 전년 하계기간 대비, 주 8회 감편(0.52%↓)되어 공급석이 13,746석이 감소된다.

대한항공(주 15회, 제주↔김포·광주), 제주항공(주 14회, 제주↔김해) 진에어(주 14회, 제주↔김포) 등 총 43회 감편운항 예정이며, 대한항공(주 13회, 제주↔대구·울산·원주), 진에어(주 14회, 제주↔청주), 에어부산(주 3회, 제주↔김해·대구·울산), 이스타(주 5회, 제주↔김포) 등 총 35회 증편

내륙노선(9개)은 주 368회로 전년 하계기간 대비 주 13회 감편(3.4%↓)되나 대한항공의 기종변경 등으로 전체 공급석은 524석 증가된다.

국내선의 총 감편 수는 주 21회이며, 내륙노선의 공급석 증가(524석)에도 불구하고, 제주노선 감편 수가 많아 전체 공급좌석(14,270석)은 감소

국토교통부는 항공편을 이용하는 여행객과 화주들에게 3.31일부터 변경되는 하계 운항스케줄을 항공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미리 확인할 것을 당부하였다.


[국토교통부 2019-03-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60 주상복합건물 동간 이격거리 산정 시 상업시설 제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07 113
2359 주세법 시행령 개정으로 소규모 맥주 제조자의 부담 완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1.29 247
2358 주소 노출로 인해 2차 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가정폭력피해자들을 두텁게 보호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30 11
2357 주식 양도소득세, 더 쉽게 ‘간편신고’ 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8.09 21
2356 주식투자정보서비스, 과다한 위약금 주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1 104
2355 주요 10개 게임서비스사업자들의 이용약관상 불공정약관조항 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26 13
2354 주요 가공식품 유통업태별 장바구니 가격차 최대 7.6%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5 142
2353 주요 가정간편식, 유통업태 간 최대 48.3% 가격 차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8 17
2352 주요 교통사고 유발행위 집중단속 추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2 10
2351 주요 농축산물 가격 안정추세 확산될 전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01 86
2350 주요 만성질환 관리지표 악화, 건강지표의 지역 간 격차는 여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12 9
2349 주요 민원사례로 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 은행 대출 이용시 유의사항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08 33
2348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 신용, 보증보험 이용 관련 유의사항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2.14 20
2347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 - 채권추심 민원사례 및 유의사항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7 13
2346 주요 민원사례로 알아보는 소비자 유의사항(수술비, 진단비 등 상해,질병보험 관련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5.23 12
Board Pagination Prev 1 ... 764 765 766 767 768 769 770 771 772 773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