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국내외 항공사들이 신청한 2019년 하계기간(‘19.3.31~’19.10.26) 동안의 국제선과 국내선의 정기편 항공운항 일정표(스케줄)을 인가하였다.
* 세계 대부분 나라들은 미주 유럽의 일광절약시간제(daylight saving time)에 따른 운항시각 변동과 계절적 수요에 탄력적 대처를 위해 1년에 2차례(동·하계) 일정을 조정함

이번 하계기간에는 국제선은 94개 항공사가 총 385개 노선에 왕복 주 5,083회 운항할 계획이며, 전년 하계와 대비하여 운항횟수는 주 301회(약 +6.3%) 증가하였다.

국가별로는 일본이 전체 운항횟수의 약 23.0%(주 1,258회)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중국 약 22.6%(주 1,240회), 미국 약 9.3%(주 508회), 베트남 약 9.0%(주 491회) 등의 순이다.

’18년 하계 대비 운항횟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국가는 주 98회가 증가한 일본이고, 다음이 베트남(주 82회), 러시아(주 36회) 등의 순이다.

중국의 경우 ‘18년 하계 대비 운항횟수가 2.9%(주 1,205→주 1,240회) 늘었으며, 사드제재 이전인 ’16년 하계 운항횟수와 비교하면 약 94.2%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 주1,317회(‘16하계)→주933회(‘17하계)→주1,205회(‘18하계)→주1,240회(‘19하계)

또한, 올해도 우리나라 저비용항공사들의 운항횟수가 대폭 증가했는데(전년 하계 주 1,460회 → 올해 하계 주 1,645회, 약 12.7%), 이는 제주항공(주 82회↑), 티웨이(주 43회↑), 에어부산(주 39회↑) 등 저비용항공사의 일본, 동남아, 러시아 등 운항횟수 증가* 결과로 분석된다.
* 국적 저비용항공사(이하 LCC) 19년 하계 일본 운항은 18년 하계 대비 주 81회↑(주 696회→주 777회), 베트남 주34회↑(주 158회→주 188회), 러시아 주21회↑(주 10회→주 31회)
** 국적 LCC ‘18년 하계 대비 ‘19년 하계 신규 취항도시(3곳) : 이바라키, 치앙마이, 하이커우

아울러, 지방 국제공항에서 운항횟수가 증가했으며, 특히 대구공항(주 77회↑), 무안공항(주 50회↑), 김해공항(주 43회↑)에서 운항횟수가 증대돼 지방이용객의 편익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선은 총 21개 노선에서 주 1,891회를 운항하여 전년 하계기간 대비 운항횟수가 주 21회(0.7%, 왕복기준) 감편된다.

제주노선(11개)은 주 1,523회로 전년 하계기간 대비, 주 8회 감편(0.52%↓)되어 공급석이 13,746석이 감소된다.

대한항공(주 15회, 제주↔김포·광주), 제주항공(주 14회, 제주↔김해) 진에어(주 14회, 제주↔김포) 등 총 43회 감편운항 예정이며, 대한항공(주 13회, 제주↔대구·울산·원주), 진에어(주 14회, 제주↔청주), 에어부산(주 3회, 제주↔김해·대구·울산), 이스타(주 5회, 제주↔김포) 등 총 35회 증편

내륙노선(9개)은 주 368회로 전년 하계기간 대비 주 13회 감편(3.4%↓)되나 대한항공의 기종변경 등으로 전체 공급석은 524석 증가된다.

국내선의 총 감편 수는 주 21회이며, 내륙노선의 공급석 증가(524석)에도 불구하고, 제주노선 감편 수가 많아 전체 공급좌석(14,270석)은 감소

국토교통부는 항공편을 이용하는 여행객과 화주들에게 3.31일부터 변경되는 하계 운항스케줄을 항공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미리 확인할 것을 당부하였다.


[국토교통부 2019-03-2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74 세 돌 맞은 ‘국민생각함’, 국민-공공기관 정책 공론의 장으로 자리 잡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7 10
6973 봄 여행주간, 취향 따라 떠나는 특별한 보통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7 7
6972 모든 6세 미만 아동 가구에 아동수당 지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7 24
6971 올해 5월부터 안면 등 두경부 MRI 건강보험 확대 적용, 환자의 검사비 부담 1/3 수준으로 떨어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7 10
6970 '수소수' 미세먼지 제거.질병 치료 효과 근거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7 98
6969 음성듣기 여자목소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7 7
6968 카드뮴 또는 담배연기에 의한 뇌세포 염증 유발 기전 규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7 11
6967 올해까지 86% 공공 웹사이트, 플러그인 없이 서비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7 14
6966 유아에서 성인까지 맞춤형 지진 교육자료 활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7 10
6965 알면 편리한 항공교통서비스, 한 눈에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8 11
6964 아우디, 폭스바겐 등 수입사 리콜 실시(총 21개 차종 4,789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8 19
6963 정부, ‘생활 속 반칙과 특권’ 근절을 위한 9개 중점과제 이행점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8 13
6962 3월 28일부터 연명의료결정법 개선되어 시행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8 7
6961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8 7
6960 4월부터 장보러 갈 때는 장바구니 꼭 챙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8 8
Board Pagination Prev 1 ... 456 457 458 459 460 461 462 463 464 465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