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늦은 임신…건강출산 위해 ‘임신 중독증’ 주의하세요!

2014년 임신 중독증 등으로 진료 받은 35세 이상 임신부, 4년 새 33.4% 증가

※ ‘임신 중독증’이란?

임신 20주 이상 임신부에게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나타나는 고혈압, 부종, 단백뇨 등의 증상을 말하며, 현재는 ‘임신성 고혈압’으로 부르고 있다. 증상이 악화될 경우 임신부, 태아 모두에게 위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며 출산 후 증상은 완화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사평가원)은 ‘임산부의 날(10월 10일)’을 맞이하여 ‘임신 중독증(임신성 고혈압 등)’에 대해 최근 5년간(2010~2014년) 심사결정자료(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2014년 진료인원은 약 9천명, 진료비용은 약 52억원이었으며,

35세 이상 진료인원은 2010년에 비해 33.4% 증가하여 전체 진료인원 중 차지하는 비중이 21.8% → 29.0%로 증가하였다.

‘임신 중독증’ 등 전체 진료인원 중 35세 이상 연령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4년 기준 29.0%로 2010년 이후 계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인원이 많은 순서는 30~34세 4,230명(46.2%) > 35~39세 2,072명(22.6%) > 25~29세 1,843명(20.1%) 순으로 나타났다.

35세 이상 진료인원은 2010년에 비해 33.4% 증가하여 전체 진료인원 중 차지하는 비중이 21.8% → 29.0%로 증가하였다.

연령별 진료인원을 분만건수와 단순 비교해보면 2014년 기준 35세 이상의 연령구간에서 진료인원/분만건수는 3.0%로 35세 미만의 비율인 1.9%보다 높았으며,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2010년은 2.6%)으로 나타났다.(‘붙임’ 참조)

표1. <임신 중독증 등> 연령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10년~2014년)

<임신 중독증 등> 연령별 진료인원 및 점유율 (2010년~2014년)
구 분 진 료 인 원 (명) 연 령 별 점 유 율 (%)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35세 미만 7,134 6,606 6,853 6,633 6,501 78.2% 76.0% 74.1% 73.0% 71.0%
20세 미만 58 58 57 44 46 0.6% 0.7% 0.6% 0.5% 0.5%
20_24세 414 349 360 386 382 4.5% 4.0% 3.9% 4.3% 4.2%
25_29세 2,679 2,341 2,168 1,991 1,843 29.3% 26.9% 23.4% 21.9% 20.1%
30_34세 3,983 3,858 4,268 4,212 4,230 43.6% 44.4% 46.2% 46.4% 46.2%
35세 이상 1,994 2,091 2,393 2,449 2,660 21.8% 24.0% 25.9% 27.0% 29.0%
35_39세 1,617 1,692 1,914 1,935 2,072 17.7% 19.5% 20.7% 21.3% 22.6%
40_44세 337 334 415 462 529 3.7% 3.8% 4.5% 5.1% 5.8%
45세 이상 40 65 64 52 59 0.4% 0.7% 0.7% 0.6% 0.6%

※ 생일을 전후하여 진료를 받아 만(滿)나이가 변경된 경우에는 연령 별로 중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합계로 환자수를 계산하는 경우 다수의 중복 환자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자료 이용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임신 중독증’ 등의 세부 상병 중 가장 진료인원이 많은 상병은 ‘유의한 단백뇨를 동반하지 않은 임신성[임신-유발성] 고혈압’으로 2014년 기준 진료인원은 2,344명이었다.

진료인원이 많은 순서는 ‘유의한 단백뇨를 동반하지 않은 임신성[임신-유발성]고혈압’ 2,344명, ‘유의한 단백뇨를 동반한 임신성[임신-유발성]고혈압’ 2,236명, ‘고혈압을 동반하지 않은 임신성[임신-유발성] 부종 및 단백뇨’ 1,988명이었으며, 이들은 전체 진료인원의 66.6%를 차지하였다.

표2. <임신 중독증 등> 상병별 진료인원 현황 (2014년)

(단위: 명, %)

<임신 중독증 등> 상병별 진료인원 현황 (2014년)
상 병 진료인원 비중
O10 임신,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전에 있던 고혈압 592 6.0%
O11 동반된 단백뇨를 동반한 전에 있던 고혈압성 장애 222 2.3%
O12 고혈압을 동반하지 않은 임신성[임신-유발성] 부종 및 단백뇨 1,988 20.2%
O13 유의한 단백뇨를 동반하지 않은 임신성[임신-유발성]고혈압 2,344 23.8%
O14 유의한 단백뇨를 동반한 임신성[임신-유발성]고혈압 2,236 22.7%
O15 자간 104 1.1%
O16 상세불명의 모성 고혈압 525 5.3%
O99 달리 분류될 수 있지만 임신, 출산 및 산후기에 합병된 기타 산모질환 1,850 18.8%

※ O99는 O99.2와 O99.4만 포함

최근 5년간 (2010~2014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한 ‘임신 중독증’ 등의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진료인원은 2010년 9,060명에서 2014년 9,058명으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총진료비는 2010년 약 21억원에서 2014년 약 52억원으로 5년 전에 비해 약 31억원(152.5%)이 증가하여 연평균 증가율은 26.1%를 보였다.

※ 진료인원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입원인원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진료비가 크게 증가함

표3. <임신 중독증 등>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10년~2014년)

<임신 중독증 등> 진료인원 및 총진료비 현황 (2010년~2014년)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진료인원 (명) 9,060 8,597 9,158 8,990 9,058
외래 8,023 7,700 8,304 8,102 7,366
입원 1,654 1,542 1,557 1,607 2,692
총진료비 (천원) 2,058,302 2,132,982 2,344,931 2,426,053 5,196,317
외래 373,917 404,364 352,519 378,988 402,542
입원 1,684,386 1,728,618 1,992,412 2,047,065 4,793,775

※ 외래, 입원 환자의 중복발생으로 합산은 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그림2. <임신 중독증 등> 진료현황 (최근 5년간)

‘임신 중독증’ 등은 임신기간 중 임신부에게 고혈압, 단백뇨 등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임신부는 전신경련, 혈액응고 이상 등이, 태아에게는 발육부전, 조산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임신 중독증’ 등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태반이 형성되면서 혈류공급이 제한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자간증’, ‘폐부종’, ‘태반관류 이상’ 등의 동반 질환이 발생하며, 가장 원칙적인 해결은 분만이다.

‘임신 중독증’ 등은 혈압측정, 소변검사 등을 통해 대부분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진단이 가능하므로 임신부는 주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을 받아야 한다.

‘임신 중독증’ 등이 나타날 수 있는 위험인자는 다음과 같다.

초산부, 35세 이상의 임신부, 다태임신, 비만, 전자간증 및 자간증의 가족력,

이전 임신에서 전자간증이 있었던 경우, 임신 전 당뇨가 있었던 경우,

혈관질환, 고혈압, 신장질환이 있는 경우

※ 자간증은 임신부에게 전신 경련 발작, 의식불명이 나타나는 경우로 증상이 일어나기 전 고혈압, 부종, 단백뇨 등의 증상을 전자간증이라 한다.

심사평가원 이정재 전문심사위원은 “여러 이유들로 인한 고령화 출산 증가로 인해 ‘임신 중독증’의 위험요소가 증가되고 있으므로 임신부는 임신 중독증 등 예방을 위해 균형 잡힌 식단과 체중관리는 물론,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2015-10-1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45 온라인 여행 상품 판매 시 필수경비 명확히 표시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2 78
12444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상품 등의 정보제공에 관한 고시 개정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2 83
12443 전자책으로 보는 보조금‧복지 부정신고 사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2 87
12442 실손의료보험 표준약관 개정 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2 128
12441 부당요금 택시기사 운전대 못 잡는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2 164
12440 주택청약종합저축 이자율 0.3%p 인하 시행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2 102
12439 대한민국 최고의 착한가격업소를 찾아주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2 83
» 늦은 임신…건강출산 위해 ‘임신 중독증’ 주의하세요!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2 144
12437 떡볶이, 계란, 순대 3대 국민다소비식품 안전 확보를 위한 특별 점검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2 114
12436 무선주전자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3 104
12435 외국인도 상속인 금융재산, 한번에 확인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3 105
12434 보험금 늑장 지급할수록 높은 '지연이자' 붙여 지급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3 106
12433 무선주전자, 제품별로 물 끓이기 성능에 차이가 있으며, 제품 구조ㆍ보유기능 등도 면밀히 살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3 192
12432 결혼박람회 통한 결혼준비대행서비스 충동계약 주의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3 92
12431 공공기관 개인정보 오·남용 줄이기 나선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3 98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