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귀가 먹먹하고 어지러운「메니에르병」, 평소 생활습관 관리 중요

메니에르병(Meniere’s disease): 이충만감(귀가 꽉 차거나 막혀있는 느낌) 또는 이명(귀울림)을 동반하는 청력 저하와 함께 보통 20분 이상 지속되는 심한 어지러운 증상이 발생하는 질병

여성 및 40대 이후 중‧장년층 환자 비율이 높고, 연령에 따라 환자 수 또한 증가

최근 10대 이하 청소년 및 20대 남성 환자 급증

과로, 수면부족, 짜게 먹는 식습관 등의 요인으로 악화, 초기 적절한 약물 치료와 건강한 생활습관 관리로 호전 가능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메니에르병(H81.0)’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은 2010년 75,830명에서 2014년 111,372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0.1% 증가하였다.

2014년 기준, 여성이 전체 진료인원의 70.9%(78,910명)로 남성보다 2.4배 더 많은 데 비해, 최근 5년간 진료인원의 연평균 증가율 추이를 살펴보면 남성이 여성보다 약 1% 더 높았다.

2010~2014년도 연령별 건강보험 진료인원 변화 추이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연평균 증가율(%)
진료인원 (명) 전체 75,830 89,572 110,800 109,613 111,372 10.1
남성 21,540 25,610 32,365 32,189 32,462 10.8
여성 54,290 63,962 78,435 77,424 78,910 9.8
10만명당 진료인원 (명) 전체 155 182 223 219 221 9.3
남성 87 103 130 126 128 10.1
여성 224 261 318 316 315 9.0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 이상 중‧장년층이 전체 진료인원의 90% 이상으로 이 중 40대 이상 환자의 비율이 2010년에는 78.3%, 2014년에는 80.8%를 차지하고 있었다.

연도별 인구 10만명당 건강보험 진료인원 추이를 살펴보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전체 진료인원 수는 4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보다 진료인원 수는 많지만, 최근 5년 새 10대 이하 및 60대 이상을 제외한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남성의 증가율이 여성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가장 증가율이 높은 것은 10대 이하 청소년과 20대 및 7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인구 10만명당 건강보험 진료인원 현황(2014)
구 분 전체 10대 미만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이상
전체 2010년 155 2 35 68 112 155 232 368 496
2014년 221 4 56 96 146 204 292 453 698
증감률(%)※ 42.6 100.0 60.0 41.2 30.4 31.6 25.9 23.1 40.7
남성 2010년 87 2 26 32 57 81 127 231 377
2014년 128 4 40 49 79 110 162 285 526
증감률(%)※ 47.1 100.0 53.8 53.1 38.6 35.8 27.6 23.4 39.5
여성 2010년 224 2 45 107 170 232 337 494 571
2014년 315 4 74 149 216 301 422 613 813
증감률(%)※ 40.6 100.0 64.4 39.3 27.1 29.7 25.2 24.1 42.4

※주. 2010년 대비 2014년 연령대별 증감률(%)

2014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메니에르병으로 인한 진료인원 수는 여성이 315명으로 남성보다 2.5배 더 많으며, 이러한 성별의 차이는 전 연령대에서 유사하지만 특히 20~60대에서 두드러진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메니에르병(H81.0)’진료에 지출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0년 83억 5천여 만원에서 2014년 121억 3천여 만원으로 45.2%(연평균 9.8%) 증가하였다.

진료형태별로 살펴보면, 2014년 기준 전체 진료비의 52.6%를 외래 진료비가 차지했고, 약제비(31.2%), 입원 진료비(16.1%) 순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5년 새 외래 진료비의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래 진료비가 2010년 41억 5천여 만원에서 2014년 63억 8천여 만원으로 11.4% 증가하였고, 같은 기간 입원 진료비는 8.2%, 약제비는 8.1% 증가하였다.

<표3> 2010~2014년도 진료형태별 ‘메니에르병’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

2010~2014년도 진료형태별 ‘메니에르병’ 건강보험 진료비 현황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연평균 증가율(%)
총진료비 (백만원) 전체 8,356 9,587 11,440 11,948 12,136 9.8
입원 1,430 1,578 1,830 2,110 1,959 8.2
외래 4,152 4,825 5,947 6,197 6,387 11.4
약국 2,775 3,184 3,664 3,641 3,791 8.1
총급여비 (백만원) 전체 5,530 6,390 7,668 8,018 8,189 10.3
입원 1,059 1,175 1,362 1,591 1,477 8.7
외래 2,498 2,944 3,683 3,819 3,991 12.4
약국 1,974 2,271 2,622 2,608 2,721 8.4

주) 반올림 관계로 총합과 내용의 합이 다를 수 있음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한수진 교수는‘메니에르병(H81.0)’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원인 및 특징

(원인) 병태 생리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미로 내의 내림프가 생성이 과다하거나 흡수가 안되어 내림프 수종 상태에 있게 되면 이로 인하여 청각 증상 및 어지러움증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림프낭 및 정맥동의 해부학적인 변이, 내이 이온 채널의 기능 저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영향요인) 편두통 환자에게서 메니에르병의 발병률이 높다는 보고가 있으며, 메니에르병의 가족력을 가진 경우가 약 20%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가면역 질환의 발생 기전이 메니에르병의 병인과 관련성을 시사하지만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다. 특히 여성 환자가 남성에 비해 1~3배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임신 및 호르몬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고, 스트레스 호르몬과 관련된 병인이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측되는 정도이다.

주요 증상 및 관련 질환

초기에는 어지러움증과 동반하여 청력이 저하되었다가 어지러움증이 호전되면 난청도 호전되는 변동성 난청 양상을 보일 수 있으나, 어지러움증이 재발하여 진행되면 결국 청력이 소실될 수 있다. 이는 전형적인 메니에르병에 해당하며, 청력에는 변화 없이 어지러움증만 나타날 수도 있고 난청과 이명, 이충만감 등의 청력 증상만 나타나는 비전형적 양상을 보일 수도 있다.

급성기 어지러움증 상태나 특히 메니에르병이 처음 발현된 경우는 급성 전정신경염이나 돌발성 난청과 동반된 현기증과 감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현기증을 동반하면서 점차 청력이 소실되는 외림프 누공이나 재발성 현기증이 짧게 순간적으로 반복되면서 만성적인 현기증이 발생하는 뇌혈관 질환, 그 외 중추성 질환과도 감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어지러움증, 이충만감, 갑작스러운 청력 변화 등의 증상이 발생했을 때 진료 및 검사를 받고, 이러한 증상의 재발과 청력 변화에 대한 경과 관찰을 통해 메니에르병으로 진단을 좁혀갈 수 있다.

치료 및 관리

우선 현기증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알려진 스트레스, 과로, 불면 등 육체적 피로를 피하고, 식이요법으로 염분 섭취를 제한하며 카페인 음료의 과다한 섭취 및 음주와 흡연을 삼간다. 급성기 적절한 약물 치료와 생활습관 관리로 메니에르병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으나, 재발성 현기증이 약물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발작 증세 및 주기, 청력 소실 정도에 따라서 치료 방침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주치의와 치료 및 관리 계획을 세우는 게 좋다.

 

[보건복지부 2015-10-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645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담배연기 성분 분석 분야‘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 받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20 122
12644 보험계약을 부활시킬 수 있는 기간이 연장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4 122
» 귀가 먹먹하고 어지러운「메니에르병」, 평소 생활습관 관리 중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08 122
12642 포드, 페라리, 스카니아, 혼다 리콜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18 122
12641 자동차리스 관련 소비자 권익 제고 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08 122
12640 직류전원장치, 유아용모자 등 중점관리대상 품목 42개 리콜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07 122
12639 한국소비자원 부산지원, ‘신발 전문 섬유제품심의위원회’ 운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1 122
12638 '15년 상반기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실적 분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0 122
12637 2014년도 하루 평균 요양기관 4.54개씩 증가 ´한방병원´ 확대 vs ´요양병원´ 둔화 추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13 122
12636 2014년 병원 많이 찾은 이유?...디스크.기관지염 환자 늘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3.26 122
12635 학교감염병 감기, 수두, 유행성이하선염 순으로 많이 발생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13 122
12634 소비자단체와 공동으로 민원 현장조사를 실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05 122
12633 ‘열여덟 어른’ 보호종료아동, 보호기간을 최대 24세까지 연장합니다 「아동복지법」, 6월 22일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03 121
12632 금융꿀팁 200선 - (22) 치아보험 가입시 유의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8 121
12631 바닷가 주변 횟집 비브리오균 특별검사 강화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8.10 121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919 Next
/ 9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