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7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따뜻한 봄 날씨에 산을 찾는 인파가 증가하면서 산행안전에 각별히 주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국립공원공단 통계에 따르면 ‘17년 총 탐방객 수는 3,200만 명에 이르며, 최근 5년(’13~‘17년) 간 연평균 3,129만 명에 달한다.
※ 국립공원 16개 산 기준(제외:경주, 한려해상, 태안해안, 다도해 해상, 변산반도)

특히, 봄이 시작되는 3월부터 5월까지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인다.
※ 3월: 197만 명 → 4월: 254만 명 → 5월: 319만 명

행정안전부 재난연감 통계를 살펴보면 최근 5년(‘13~’17년) 간 등산사고 역시 봄철(3~5월)에 사고가 급격하게 많아진다.

사상자 수는 ‘17년을 기준으로 1,292명(사망 25, 부상 1236, 실종 31)으로 가을철(9~11월)을 제외하고는 가장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봄철에는 얼었던 땅이 녹으면서 낙석 등 해빙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 국립공원공단 통계에 의하면, 최근 5년(‘14~’18년) 간 낙석사고는 봄철 해빙기에 집중되어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국립공원공단에서는 설악산 등 주요 등산로 6곳에 낙석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우회탐방로 개설과 낙석방지책 설치 등 낙석사고 방지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낙석통합관리시스템 : 실시간으로 암반의 경사와 균열을 측정하여 기준치인 5mm를 초과할 경우 낙석위험 발생 안내방송을 실시

따뜻한 봄, 안전한 산행을 즐기려면 안전수칙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안전한 등산을 위해서는 다음 사항을 숙지하여야 한다.

- 산행은 아침 일찍 시작하여 일몰 2시간 전에 마치고, 하루 8시간을 초과하여 산행하지 않는다.

- 비상상황에 대비해 랜턴, 우의, 휴대전화(예비축전지), 상비약 등을 준비해야 하며, 30kg 이상의 짐을 지지 않는다.

- 수시로 지형과 지도를 대조하며, 등산로에 설치된 위치판의 고유번호를 확인한다.

아울러, 해빙기 산행은 다음 사항을 추가로 고려해야 한다.

- 정해진 등산로를 준수하고, 낙석이 발생할 수 있는 협곡 등은 피한다.

- 저지대와 고지대의 기온차가 크고, 정상 부근에서는 비나 눈이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날씨정보를 미리 확인하여야 한다.

-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크기 때문에 여벌의 옷과 장갑 등 보온용품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 낙엽 아래에는 얼음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밟지 않도록 주의한다.

그리고 국립공원공단의 “국립공원 산행정보” 앱을 활용하면 안전지수를 반영한 안전한 등산로 소개, 날씨정보, 조난신고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산행이 가능하다.

서철모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봄철 산을 찾는 경우 반드시 정해진 등산로를 이용하고 그늘진 곳 등 땅이 얼어있는 지점에서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조심해 달라.”라고 당부했다.



[ 행정안전부 2019-03-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93 Selecta 당나귀모양 완구(Pia lah),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17.12.06
1892 Neca 봉제인형,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18.12.04
1891 전국적인 무더위 시작, 온열질환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19.07.03
1890 전국적 무더위 예고, 온열질환 예방수칙 준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0.08.19
1889 가구 소비자피해 2건 중 1건은 온라인 구입 제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0.12.24
1888 세균 함유한 액체가 새어나올 위험이 있는 공룡 스퀴시 완구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0.12.07
1887 잠금탭이 분리되어 손 부상 위험 있는 Mueller Austria 양파용 채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1.27
1886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03.23
1885 단추형전지 단자함 고정 미흡으로 삼킴 및 질식 위험있는 고양이 장난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1.10.08
1884 자석이 분리되어 삼킬 경우 질식 위험있는 Hysagtek 볼펜 회수 및 환불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2.02.09
1883 2-클로로에탄올 성분 함유된 Pileje 유산균 보충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2.03.14
1882 새우 성분 등 표시 누락돼 알러지 위험 등으로 리콜된 Acecook 조미 소금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3.02.10
1881 봄철 패류.피낭류에서 생기는 독소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3.03.02
1880 배터리 단자함 미고정으로 질식 위험 있는 피아노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23.03.13
1879 노로바이러스 예방수칙 철저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2.13
1878 교통사고, 보행자 사고 예방이 우선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2.27
1877 Goya 소스(양념) 2종, 살모넬라균 감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3.21
1876 생애주기별 감염병 관리, 예방이 최선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3.22
1875 질병관리본부, 비브리오패혈증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3.29
1874 지인 사칭 메신저피싱 등 주의, 소비자경보 "경고"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18.04.24
Board Pagination Prev 1 ...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