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만성콩팥병, 진행될수록 합병증과 사망 위험성 커져!


만성콩팥병은 진행될수록 합병증과 사망 위험성이 커짐

만성콩팥병 예방·관리를 위해 비만관리, 금연 및 저염식 등 생활습관 관리가 중요함

질병관리본부는 전 국민 대상 만성콩팥병 예방가이드라인 및 교육 자료를 보급하고 있음

질병관리본부(정은경 본부장)는 3월 14일(목) ‘세계 콩팥의 날’을 맞이하여 “전 국민이 만성콩팥병 예방을 위해 지속적인 운동과 식이조절 등을 통해 비만은 감소시키고 근육은 증가시켜야 한다”고 당부하였다.

특히, 만성콩팥병* 환자는 비만관리, 금연 및 저염식 등을 생활화하여 만성콩팥병의 진행을 지속적으로 예방․관리해야함을 강조하였다.

* 만성콩팥병(만성신장질환) : 3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콩팥의 손상이 있거나 콩팥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각종 질환

만성콩팥병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당뇨병과 비만, 대사증후군, 고혈압 등 위험요인이 증가하면서 매년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만성콩팥병이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되면 투석이나 신장이식을 해야 한다.

일부 환자들의 경우, 만성콩팥병이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되기 전에 관상동맥질환이나 뇌졸중이 먼저 생겨 사망하는 경우도 있어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도 중요하다.

* 말기신부전: 만성콩팥병이 악화되어 콩팥기능이 현저히 감소되어 투석 또는 이식과 같은 콩팥을 대치하는 요법을 받지 않으면 살 수 없는 상태

질병관리본부(정은경 본부장)는 2011년부터 전국의 17개 대학병원이 참여하는 만성콩팥병 환자 장기추적 정책용역 연구인 ‘유형별 만성신장질환 생존 및 신기능 보존 장기 추적조사연구 (KNOW-KIDNEY, 연구책임자: 서울대학교병원 안규리/오국환 교수)’를 진행하고 있다.(붙임1 참조)

이 연구에 따르면, 만성콩팥병 환자가 일반인 보다 사망률이 높고, 만성콩팥병이 진행될수록, 심혈관계 질환, 빈혈 및 골다공증 등의 합병증 발생이 증가하고, 특히 당뇨병성 콩팥병 환자에서 동반질환 지수가 가장 높았다.(붙임2 참조)

※ 동반질환지수: 동반되는 질환에 따라 점수를 부여한 것으로, 여러 가지 질병모형에서 사망률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3점 이하를 낮음, 4점에서 5점을 중등도, 6점에서 7점을 높음, 8점 이상을 매우 높음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외국 환자와 비교하였을 때, 우리나라 만성콩팥병 환자가 투석 또는 이식이 필요한 말기신부전 발생 위험이 더 높았다.

이는 우리나라 만성콩팥병 환자가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되기 전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율이 외국 환자에 비해 낮아 상대적으로 만성콩팥병이 말기신부전으로 진행되는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 말기신부전 발생률: 만성콩팥병 환자 100명 중 매년 투석 또는 이식을 받는 말기신부전이 발생하는 환자 수

이 연구를 통해 만성콩팥병 발생 및 예후와 관련된 위험요인을 밝혔으며, 밝혀진 위험요인도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예방할 수 있다.

비만과 대사이상은 만성콩팥병을 악화시킨다.

만성콩팥병 환자 중, 비만 또는 대사이상이 있는 환자에서 말기신부전으로 진행 위험성이 약 1.4배 증가하였다.

흡연은 만성콩팥병을 악화시킨다.

비흡연자에 비해 과거 및 현재 흡연자의 만성콩팥병 악화 위험도가 각각 약 1.7배, 1.8배 증가하였다.

이러한 위험도는 흡연량이 증가함에 따라 더 높아지는 반면, 금연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고염식이 콩팥기능을 악화시킨다.

24시간동안 모은 소변으로부터 소금배설량을 측정하여, 1일 섭취 염분량을 계산했을 때, 만성콩팥병 환자들의 1일 소금섭취량은, 권장섭취량인 5g의 2배 이상이었다.

특히, 소금섭취량이 가장 많은 4분위군에서, 유의하게 콩팥기능이 악화되었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만성콩팥병 예방관리를 위한 교육자료 등을 보급하고 있다.

만성콩팥병에 대한 이해와 예방관리를 위해 대상별 맞춤 교육 자료인 일반인을 위한 만성콩팥병 바로알기*(3종)를 만들어 배포하였다.(붙임3 참조)

* 일반인편, 고혈압·당뇨병·콩팥병 환자편, 소아청소년편(3종)

학교 교육용 자료*도 배포 중에 있으며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붙임4-6 참조)

* 고혈압, 단백뇨, 요당, 요잠혈 (청소년, 보호자용 및 어린이용 각 4종)

*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cdc.go.kr→ 민원/정보공개 → 정보공개 → 교육자료)



[ 보건복지부 2019-03-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93 [공지]컴퓨터, 휴대전화 판매사이트 윤영솔루션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56 2015.05.21
4292 질식 위험있는 Plastoy 목욕장난감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51 2015.03.16
4291 [보도]다이어트식품, 무료체험 미끼로 한 해외 결제사기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48 2015.03.19
4290 생활화학제품 사용 관련 소비자 주의사항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28 2016.06.09
4289 Polaris SPORTSMAN 570 시리즈 무상수리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22 2017.03.02
4288 [공지]식품 판매사이트 코코몰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12 2015.05.15
4287 주간 해외 안전정보 동향(141208-141212)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604 2014.12.29
4286 주간 해외 안전정보 동향(141215-141219)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96 2014.12.29
4285 핀이 풀어져 낙상 위험 있는 스노보드 바인딩 판매 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88 2015.05.22
4284 전자담배 니코틴 오·남용 우려 높아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82 2015.05.19
4283 숀리 엑스바이크 무상점검 및 무상수리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81 2016.08.10
4282 2014년 4/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64 2015.02.26
4281 낙상 사고 위험 있는 Stokke 유모차 무상 수리 안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43 2015.04.23
4280 [공지]가전제품 판매사이트 하은가전, 하은커넥터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41 2015.05.27
4279 가전제품 판매사이트 쵸코렛콤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10 2014.12.30
4278 화재·감전 위험있는 LED 등기구 등 리콜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09 2015.04.15
4277 피부관리서비스 무료 체험을 빙자한 화장품 판매 피해 지속적 발생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508 2015.06.11
4276 발암물질 산업용 색소 사용한 빌리밥 고무젖꼭지 판매 중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89 2015.05.12
4275 서울시, 어버이날 앞두고 알뜰폰 구매 피해 주의보 발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85 2015.05.07
4274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5.3.13.∼2015.3.19.)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1482 2015.03.2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