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새 학기를 맞아 초등학생들의 등·하교가 시작되면서 보행자 교통사고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도로교통공단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13~’17년) 초등학생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감소추세이나 여전히 많은 15,540건이 발생했다.

사상자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새 학기가 시작하는 3월(55%, 487명)에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1월 825명 → 2월 897명 → 3월 1,384명 → 4월 1,519명 → 5월 1,841명

특히, 연령대가 낮을수록 사상자 수가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저학년 자녀를 둔 보호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저학년 (9,765명):1학년3,550명(22.3%),2학년3,219명(20.2%),3학년2,996명(18.8%)고학년 (6,165명): 4학년2,143명(13.5%),5학년1,998명(12.5%),6학년 2,024명(12.7%)

시간대별로는 하교시간(12~18시, 9859명)과 등교시간(6~10시, 1774명)에 75%가 집중되었으며, 하교시간에 가장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여 해당 시간대 보호조치 강화가 요구된다.

법규위반 유형별 사상자 수를 살펴보면 안전운전의무(전방주시 등) 불이행이 55%, 보행자보호의무 위반이 26%로 나타나 운전자들이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리고 어린이보호구역에서 발생한 사고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 교통사고와 달리 뚜렷하게 사고가 줄지 않아 운전자와 보호자 모두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조금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전체 초등학생 보행자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 중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사상자(11.2%)보다 사망자 비중(23%)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 보행자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예방안전 수칙을 준수할 필요가 있다.

아이들에게 안전한 보행방법을 알려주어야 한다.

- 보행 시에는 반드시 인도로 다니고 골목길에서 넓은 도로로 나올 때에는 일단 멈춰 서서 차가 오는지 좌우로 살펴야 한다.

- 주정차 된 차량 사이를 지날 때는 주행 중인 차가 있는지 확인하고, 차가 멈추어 있어도 항상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다.

- 비오는 날에 어린이가 우산을 숙여 쓰면 보이지 않으므로 우산을 바르게 쓰도록 한다.

도로 횡단 시에도 안전수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 신호등이 있는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초록불이 들어오는 것을 확인하고, 차가 완전히 멈추었는지 살펴본 뒤 손을 들고 건넌다.

- 신호등이 없는 곳에서는 차가 오는지 좌우로 살피고 차가 정지한 경우에도 운전자와 눈을 맞춘 후, 반드시 차가 완전히 멈추는 것을 확인한 뒤 손을 들고 건넌다.

운전자는 안전운전의무를 다 하여야 한다.

- 학교 주변이나 어린이 보호구역을 운행하는 차량은 30km 이하로 서행하고 횡단보도나 건널목에서는 반드시 일시 정지한다.

- 좁은 골목길이나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어린이가 갑작스럽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염두하고 서행하여야 한다.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새 학기가 시작되는 3월에는 아이들의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만큼 보행사고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도 커지므로, 아이들이 올바른 보행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보살펴주고 운전자들도 안전운전의무를 준수해줄 것”을 요청했다.



[ 행정안전부 2019-03-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580 원료 원산지 정보 잘못 기재한 불독(ブルドック) 오꼬노미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1.01.27
2579 어린이보호포장 미비한 에코폭시(EcoPoxy) 에폭시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0.07.01
2578 초미세먼지 전국적 ‘나쁨’, 기저질환자 건강 관리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9.12.10
2577 일부 프로야구장 응원용 막대풍선, 어린이에게 유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9.10.18
2576 즐거운 여름휴가 안전하게 다녀오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9.07.11
2575 Wowmax 봉제인형, 질식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9.05.16
2574 「해외안전지킴센터」, 24시간·365일 가동 해외체류 국민 안전 책임지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8.05.31
2573 2018년 1/4분기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8.05.30
2572 Stagg 통조림(Classic Chili Con Carne), 알레르기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17.12.06
2571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2.02.09
2570 TBHQ 성분 함유된 몬델리즈 크래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1.09.13
2569 본격적인 휴가철, 물놀이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0.07.24
2568 전자담배 배터리 안전 관련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20.02.27
2567 “해외여행 전에 여행경보를 꼭 확인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9.12.04
2566 MUJI 디저트, 곰팡이 발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9.02.07
2565 해외 유입 홍역환자 증가에 따른 지속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9.01.21
2564 Evanhealy 화장품, 미생물 감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8.06.21
2563 봄 나들이 갈 때 교통안전도 챙기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8.04.06
2562 동남아 지역 여행 시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8.02.28
2561 생리대.팬티라이너 74종 VOCs 인체 위해 우려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6 2017.12.28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