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새 학기를 맞아 초등학생들의 등·하교가 시작되면서 보행자 교통사고에 주의할 것을 당부하였다.

도로교통공단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13~’17년) 초등학생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감소추세이나 여전히 많은 15,540건이 발생했다.

사상자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새 학기가 시작하는 3월(55%, 487명)에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1월 825명 → 2월 897명 → 3월 1,384명 → 4월 1,519명 → 5월 1,841명

특히, 연령대가 낮을수록 사상자 수가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저학년 자녀를 둔 보호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저학년 (9,765명):1학년3,550명(22.3%),2학년3,219명(20.2%),3학년2,996명(18.8%)고학년 (6,165명): 4학년2,143명(13.5%),5학년1,998명(12.5%),6학년 2,024명(12.7%)

시간대별로는 하교시간(12~18시, 9859명)과 등교시간(6~10시, 1774명)에 75%가 집중되었으며, 하교시간에 가장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여 해당 시간대 보호조치 강화가 요구된다.

법규위반 유형별 사상자 수를 살펴보면 안전운전의무(전방주시 등) 불이행이 55%, 보행자보호의무 위반이 26%로 나타나 운전자들이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리고 어린이보호구역에서 발생한 사고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 교통사고와 달리 뚜렷하게 사고가 줄지 않아 운전자와 보호자 모두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조금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전체 초등학생 보행자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 중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사상자(11.2%)보다 사망자 비중(23%)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 보행자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예방안전 수칙을 준수할 필요가 있다.

아이들에게 안전한 보행방법을 알려주어야 한다.

- 보행 시에는 반드시 인도로 다니고 골목길에서 넓은 도로로 나올 때에는 일단 멈춰 서서 차가 오는지 좌우로 살펴야 한다.

- 주정차 된 차량 사이를 지날 때는 주행 중인 차가 있는지 확인하고, 차가 멈추어 있어도 항상 움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다.

- 비오는 날에 어린이가 우산을 숙여 쓰면 보이지 않으므로 우산을 바르게 쓰도록 한다.

도로 횡단 시에도 안전수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 신호등이 있는 횡단보도를 건널 때는 초록불이 들어오는 것을 확인하고, 차가 완전히 멈추었는지 살펴본 뒤 손을 들고 건넌다.

- 신호등이 없는 곳에서는 차가 오는지 좌우로 살피고 차가 정지한 경우에도 운전자와 눈을 맞춘 후, 반드시 차가 완전히 멈추는 것을 확인한 뒤 손을 들고 건넌다.

운전자는 안전운전의무를 다 하여야 한다.

- 학교 주변이나 어린이 보호구역을 운행하는 차량은 30km 이하로 서행하고 횡단보도나 건널목에서는 반드시 일시 정지한다.

- 좁은 골목길이나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어린이가 갑작스럽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염두하고 서행하여야 한다.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새 학기가 시작되는 3월에는 아이들의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만큼 보행사고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도 커지므로, 아이들이 올바른 보행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보살펴주고 운전자들도 안전운전의무를 준수해줄 것”을 요청했다.



[ 행정안전부 2019-03-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73 아플라톡신 초과 검출된 '땅콩가루'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08
3772 GS SHOP 사칭 쇼핑몰 아르바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09.08
3771 절연 조치 미흡으로 감전 우려 있는 DSHOW 고데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9.07
3770 플러그 설계 불량으로 감전 위험 있는 Vevor 건습식 진공청소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 2023.09.07
3769 구성 불량으로 화재발생 우려 있는 Vevor 플라즈마 절단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1 2023.09.07
3768 납 성분 검출된 Kid Casters 어린이 낚시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09.07
3767 라벨 미표기 성분(디하이드로라타노프로스트) 함유된 RefectoCil 속눈썹 세럼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3.09.07
3766 제품 개폐 시 화상 위험 있는 PowerXL 와플메이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09.07
3765 히터 팬 고장으로 과열 및 화재 우려 있는 Brod & Taylor 식품건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9.07
3764 기울기가 가파른 문제로 낙상 우려 있는 CaTeam 유아용 해먹 그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9.07
3763 손가락 끼임 우려 있는 IRIS OHYAMA 써큘레이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3.09.07
3762 배터리 문제로 화재 위험 있는 Zooby 차량용 베이비 모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3.09.07
3761 가을 산행 및 벌초 시 벌 쏘임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 2023.09.07
3760 올해 일본뇌염 첫 환자 발생! 모기물림 주의 및 예방접종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3.09.07
3759 일교차 큰 가을철,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9.07
3758 건강식품 관련 소비자피해 전년 동기대비 48.7%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3.09.07
3757 두부 손상 가능성이 있는 Xinerter 자전거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3.09.06
3756 감전 위험 있는 Vevor 머그프레스 기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3.09.06
3755 감전 위험이 있어 리콜된 LDNIO 멀티탭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09.06
3754 충격흡수 성능이 미흡하여 상해 위험이 있는 Vihir 헬멧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8 2023.09.06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