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인요양시설 내 대형가전 전기화재 위험 상존해

- 주기적인 안전점검 및 평가기준 마련 필요 -


노인요양시설에 비치된 대형가전 제품들이 전기화재에 취약해 화재발생 시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수도권 소재 노인요양시설 20개소에 설치된 대형가전* 411대를 대상으로 한 전기화재 안전실태조사 결과로 밝혀졌다.

* TV 137대, 세탁기 57대, 냉장고 56대, 김치냉장고 17대, 에어컨 144대

◎ 대형가전 2대 중 1대는 권장사용기간 초과했으나 안전점검 없어 화재위험에 노출

장기간 사용한 가전제품은 안전점검을 주기적으로 하지 않으면 내구성 저하, 전기 절연* 성능 저하 등으로 인해 전기화재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전기나 열이 잘 전달되지 않게 하는 성질

그러나 노인요양시설에 설치된 대형가전 411대 중 239대(58.2%)는 별도의 안전점검 없이 권장사용기간*을 초과한 채로 상시 사용되고 있어 전기화재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의 내용연수로, 통상 제조사에서 권장안전사용기간으로 사용함.


                                                              [ 주요 대형 가전제품 권장사용기간 초과사용 조사결과 ]

                                                                                                                                             (단위 ; 개소, 대, %)

구분

TV

세탁기

냉장고

김치냉장고

에어컨

권장사용기간 경과제품사용시설

14/20 (70.0)

14/20 (70.0)

18/20 (90.0)

7/20 (35.0)

11/20 (55.0)

권장사용기간 경과제품

68/137 (49.6)

17/57 (29.8)

47/56 (83.9)

10/17 (58.8)

97/144 (67.4)


특히, 노인요양시설에 설치·사용하는 가전제품은 대부분 일반적인 사용조건을 상회(TV 상시 시청, 세탁기 다량·다회세탁 등)하고 있어 장기 사용 가전제품의 주기적인 안전점검 및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대형가전 설치·사용 환경 관리 미흡해 개선 필요

노인요양시설에 설치·사용되는 대형가전 411대 제품들은 에어컨에 문어발식 배선 사용(21/144대, 14.6%), 불안전한 TV 설치(35/137대, 25.0%), 세탁기에 방적형 콘센트* 미사용(33/57대, 57.9%), 냉장고 방열판 내부 먼지 축적(21/56대, 37.5%), 김치냉장고 콘센트 접촉부 먼지 축적(6/17대, 35.3%) 등 설치·사용 환경 관리도 미흡해 전기화재 위험이 높았다.

* 덮개와 접지가 있는 콘센트

대형가전의 장기·상시 사용으로 인해 화재 발생 위험이 높은 노인요양시설의 안전확보를 위해 설치된 가전 제품에 대한 주기적인 안전점검 및 평가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부처에 ▲노인요양시설 가전제품 안전관리 매뉴얼 마련·제공 ▲노인요양시설 가전제품 안전점검·평가기준 마련 등을 요청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03-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773 기아자동차(주) 쏘렌토 차량 인터쿨러 누유 관련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9 2019.07.22
3772 에어바운스 사용 시 주의사항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8 2019.08.13
3771 취미·레저용 드론, 안전기준 마련 시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8 2017.08.01
3770 이른 더위에도 식중독 없이 안전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7 2017.05.23
3769 화상사고 예방 위해 안전수칙 준수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6 2019.12.30
3768 블루보틀(Blue bottle) 커피원두, 캔 뚜껑 개봉 시 다칠 우려가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6 2019.09.23
3767 Super Jumper 트램펄린, 낙상 위험이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5 2019.09.23
3766 일부 기계식 주차장 발빠짐·추락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5 2017.08.22
3765 허용외 타르색소 검출 태국산 수입 과실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4 2019.05.23
3764 슬라임 부재료 파츠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초과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3 2019.07.23
3763 잘못된 의약품 정보에 절대 현혹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2 2020.01.21
3762 방문판매 교육서비스, 위약금 과다 등 계약해지 관련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2 2017.08.28
3761 목졸림 위험있는 Small Foot Company(LEGLER) 브랜드 끄는 완구 판매 중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0 2017.07.10
3760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6.12.2.∼2016.12.8.)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30 2016.12.12
3759 GHB 암벽등반용 벨트, 추락사고 유발 위험이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9 2019.04.11
3758 식품에 소비자 안전을 위한 주의사항 표시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9 2017.09.29
3757 어린이보호구역, 과속 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 높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9 2017.07.18
3756 호우 및 장마기간 낙뢰사고 각별히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8 2017.07.11
3755 일본산 수입식품 방사능검사 결과 (2017.1.20.∼2017.2.2.)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28 2017.02.06
3754 2017년 2월 소비자 위해정보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28 2017.04.03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