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노인요양시설 내 대형가전 전기화재 위험 상존해

- 주기적인 안전점검 및 평가기준 마련 필요 -


노인요양시설에 비치된 대형가전 제품들이 전기화재에 취약해 화재발생 시 대형 인명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수도권 소재 노인요양시설 20개소에 설치된 대형가전* 411대를 대상으로 한 전기화재 안전실태조사 결과로 밝혀졌다.

* TV 137대, 세탁기 57대, 냉장고 56대, 김치냉장고 17대, 에어컨 144대

◎ 대형가전 2대 중 1대는 권장사용기간 초과했으나 안전점검 없어 화재위험에 노출

장기간 사용한 가전제품은 안전점검을 주기적으로 하지 않으면 내구성 저하, 전기 절연* 성능 저하 등으로 인해 전기화재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전기나 열이 잘 전달되지 않게 하는 성질

그러나 노인요양시설에 설치된 대형가전 411대 중 239대(58.2%)는 별도의 안전점검 없이 권장사용기간*을 초과한 채로 상시 사용되고 있어 전기화재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의 내용연수로, 통상 제조사에서 권장안전사용기간으로 사용함.


                                                              [ 주요 대형 가전제품 권장사용기간 초과사용 조사결과 ]

                                                                                                                                             (단위 ; 개소, 대, %)

구분

TV

세탁기

냉장고

김치냉장고

에어컨

권장사용기간 경과제품사용시설

14/20 (70.0)

14/20 (70.0)

18/20 (90.0)

7/20 (35.0)

11/20 (55.0)

권장사용기간 경과제품

68/137 (49.6)

17/57 (29.8)

47/56 (83.9)

10/17 (58.8)

97/144 (67.4)


특히, 노인요양시설에 설치·사용하는 가전제품은 대부분 일반적인 사용조건을 상회(TV 상시 시청, 세탁기 다량·다회세탁 등)하고 있어 장기 사용 가전제품의 주기적인 안전점검 및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대형가전 설치·사용 환경 관리 미흡해 개선 필요

노인요양시설에 설치·사용되는 대형가전 411대 제품들은 에어컨에 문어발식 배선 사용(21/144대, 14.6%), 불안전한 TV 설치(35/137대, 25.0%), 세탁기에 방적형 콘센트* 미사용(33/57대, 57.9%), 냉장고 방열판 내부 먼지 축적(21/56대, 37.5%), 김치냉장고 콘센트 접촉부 먼지 축적(6/17대, 35.3%) 등 설치·사용 환경 관리도 미흡해 전기화재 위험이 높았다.

* 덮개와 접지가 있는 콘센트

대형가전의 장기·상시 사용으로 인해 화재 발생 위험이 높은 노인요양시설의 안전확보를 위해 설치된 가전 제품에 대한 주기적인 안전점검 및 평가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한국소비자원은 금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부처에 ▲노인요양시설 가전제품 안전관리 매뉴얼 마련·제공 ▲노인요양시설 가전제품 안전점검·평가기준 마련 등을 요청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03-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893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3.11.28
3892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3.11.28
3891 스투시(STUSSY) 사칭사이트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6 2023.11.28
3890 골프장 예약취소 시 위약금 과다 청구로 소비자불만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 2023.11.27
3889 납 기준 초과 검출된 ‘과채주스’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3.11.27
3888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시 ‘빵류’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1.27
3887 배터리 오작동으로 화재가 발생한 Anchor 로봇청소기 (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3.11.22
3886 배터리 오작동으로 화재가 발생한 Anchor 로봇청소기 (4)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3.11.22
3885 배터리 오작동으로 화재가 발생한 Anchor 로봇청소기 (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11.22
3884 배터리 오작동으로 화재가 발생한 Anchor 로봇청소기 (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11.22
3883 배터리 오작동으로 화재가 발생한 Anchor 로봇청소기 (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11.22
3882 라벨 미표기 우유 성분을 함유한 Havasu Nutrition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 2023.11.22
3881 고정장치 고정 미흡으로 부상 위험 있는 Maxi-cosi 카시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3.11.22
3880 부상 위험 있는 Defender Security E2528 유리 문손잡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 2023.11.22
3879 부상 위험 있는 Defender Security E2537 유리 문손잡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 2023.11.22
3878 사양 다른 충전 케이블이 혼합된 상태로 판매된 Ambie 이어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 2023.11.22
3877 북 해킹조직의 정부기관·언론사 등 사칭 전자우편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3.11.21
3876 특정 상황에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 있는 알라딘 석유난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 2023.11.21
3875 포장 불량이 발생한 포장 불량이 발생한 요네야 피너츠 모나카 땅콩빵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3.11.21
3874 다른 제품이 혼입된 오쿠라 샤인머스캣만 캔디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 2023.11.21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