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잠복결핵감염자 10명 중 3명만 치료 받고,
치료 미실시자는 결핵 발생 위험률 7배 높아
- 질병관리본부, 집단시설 내 잠복결핵감염 검진사업 결과발표 및 정책토론회 개최 (3.7) -


잠복결핵감염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 치료를 완료한 경우에 비해 결핵 발생 위험이 7배 높음

집단시설 잠복결핵감염 검사결과 양성반응이 나온 비율은 14.8%, 이중 치료를 시작한 경우는 10명 중 3명에 불과(31.7%)

집단시설 내 잠복결핵감염 검진 및 치료율 향상을 위한 범부처 협력방안 토론회 개최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3월 7일(목) 잠복결핵감염 검진 범부처 정책토론회를 개최하여 「집단시설 잠복결핵감염 검진 사업 결과분석 및 코호트 구성방안」*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잠복결핵감염 검진 및 치료율 향상을 위한 제도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 연구 배경 : 「결핵 안심국가 실행계획(’16년)」에 따른 집단시설 등 잠복결핵감염 검진 사업(’17년)의 국가결핵 발병 예방효과의 체계적 분석연구 책임자 : 가톨릭대학교 김주상 교수

연구결과에 따르면 집단시설 내 잠복결핵감염자 중 치료 완료자에 비해 치료 미실시자가 결핵 발생 위험률이 7배 높았고, 감염자 10명 중 3명만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잠복결핵감염은 몸 안에 결핵균이 존재하지만 활동 및 증식하지 않아 결핵이 발병하지 않은 상태. 잠복결핵감염자는 다른 사람에게 결핵을 전파하지는 않음. 다만, 결핵환자와 밀접 접촉 시 30%가 감염되고 이중 10%가 발병하는데 5%는 2년 이내에, 그 나머지는 평생에 걸쳐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잠복결핵감염 검진사업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잠복결핵감염 검사결과 양성자를 평균 1년 2개월 정도 관찰했을 때 치료 미실시자가 완료자에 비해 결핵 발생 위험률이 7배 높았다.

잠복결핵감염 검진결과 양성으로 반응이 나온 비율은 14.8% (85만 7765명 중 12만 6600명)이며, 연령이 높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그리고 남성보다 여성의 양성반응 비율이 높았다.

잠복결핵감염 검진 양성자 중 치료시작률은 31.7%, 치료를 시작한 사람들 중 완료율은 76.9%로 미완료 사유는 부작용(40.8%), 비협조(23.5%), 연락두절(14.6%)로 나타났다.

< (참고) 해외 사례 >

  • (일본) 잠복결핵감염 치료시작률은 95% 이상, 이중 치료완료율은 71.9% (정책목표는 85%)
    • 2007년도부터 2014년까지 잠복결핵감염을 진단받고 치료를 시작한 4만 6128명 (접촉자 검진으로 시행한 대상자가 78.3%로 가장 많았음)대상으로 조사
  • (네덜란드) 잠복결핵감염 치료시작률은 77% 이상, 이중 치료완료율은 82%
    • 1993년도부터 2013년까지 잠복결핵감염을 진단받고 치료를 시작한 2만 8931명 (접촉자 검진으로 시행한 대상자가 79%로 가장 많았음)대상으로 조사

「집단시설 잠복결핵감염 검진 사업 결과분석 및 코호트 구성방안」 연구 책임자인 가톨릭대학교 김주상 교수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결핵퇴치를 위한 잠복결핵감염 검진과 치료를 통한 발병예방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로 국내 잠복결핵감염 검진사업의 발병 예방 효과를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전했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결핵은 잠복결핵을 검사하고 치료하는 것으로 발병예방이 가능하다. 우리나라가 결핵 발병 세계 1위의 오명을 빨리 벗어나기 위해서는 집단시설 소관 부처의 검진, 치료율 향상을 위한 범부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면서,

아울러, “잠복결핵감염 검진 및 치료에 대한 영향의 추적조사 및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 잠복결핵감염 코호트* 연구 과제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특정요인에 노출된 집단과 노출되지 않은 집단을 추적하고 연구 대상 질병의 발생률을 비교하여 요인과 질병발생 관계를 조사하는 연구방법



[ 보건복지부 2019-03-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013 대출을 권유하는 사기 전화나 문자메시지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8 40
7012 살충제 검출‘계란’회수․폐기 등 후속조치 알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3 40
7011 금년 추석(10.3~5)부터 명절 3일간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2 40
7010 추석연휴에 따른 특별징수분 지방소득세 납부기한 연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08 40
7009 2017년 8월 소비자물가 동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01 40
7008 국민이 직접 민관 협업 아이디어를 디자인하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31 40
7007 해외안전여행 정보, 카카오톡으로 확인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23 40
7006 금융꿀팁 200선- (62) 음주운전하면 받게되는 자동차보험 불이익 7가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17 40
7005 개인운영 공동생활가정에도 공공임대주택 입주자격 부여된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9 40
7004 과도한 가격할인, 이벤트 등 광고, 의료기관 318개 적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8 40
7003 폭우로 침수된 취약 독거노인 가구 지원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4 40
7002 메르스·지카 검사시약 긴급사용 종료… 허가 제품 통해 민간의료기관에서 검사 가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4 40
7001 여름휴가철을 맞이하여 보이스피싱 사기 증가 우려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1 40
7000 신나는 여름방학,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와 함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01 40
6999 더욱 편리해진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를 이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7.31 40
Board Pagination Prev 1 ...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