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2018년 광역알뜰교통카드 시범 사업 시 제기된 사례 >

* (체험단 A씨) 출장을 자주 다니는 직장이라 타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럴 때마다 별도의 교통카드를 써야 하니 좀 불편합니다. 광역알뜰교통카드 한 장만으로 어디서나 쓸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 (체험단 B씨) 정기권을 집에서 거리가 있는 편의점까지 가서 충전해야 해서 불편해요. 충전하러 가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애주세요.
* (체험단 C씨) 대중교통을 타면 당연히 도보로 이동하게 되는데, 그 부분을 마일리지로 적립해주니 좋은 것 같아요. 다만, 앱 작동법이 복잡해 이 부분을 좀 편하게 바꿔주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
* (학생 E씨) 저는 주로 광역급행버스를 타고 통학을 하는데 교통비 부담이 만만치 않아요. 제가 사는 경기 지역에도 도입해주세요.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2018년 세종·울산·전주시에서 실시한 시범사업에 참여했던 체험단과 일반 국민들로부터 제기된 불편과 개선 필요사항을 반영해, 더욱 개선 보완된 ‘광역알뜰교통카드 2.0’을 선보일 계획이다.
* `18년 세종시(`18.4~8월) 및 울산·전주시(`18.9~`19.2월) 시범사업 시행

특히, 올해 상반기부터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확대할 계획으로 더 많은 국민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현재, 일반 성인 기준으로 대중교통 기본구간 요금은 평균 1,250원(현금 기준, 지역마다 다름)으로, 매일 출퇴근·통학 등으로 버스나 지하철을 타는 경우 교통비로만 한 달에 5만원을 훌쩍 넘는다.

광역알뜰교통카드는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로, 출퇴근·통학 등으로 대중교통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국민들의 주머니는 가볍게 하면서, 대중교통과 보행·자전거 등 친환경 교통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교통비도 아끼고, 건강도 챙기고, 우리 지역 환경도 살리는 ‘1석 3조’ 광역알뜰교통카드가 다양한 시범사업을 거쳐 불편은 줄이고(Down), 혜택은 늘렸다(Up).

① 전국 어디서나 이용이 가능합니다

(기존) 시범사업 지역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광역권 추가 환승이 불가해, 타 지역을 이동하거나 광역버스 등 더 비싼 요금 구간 탑승 시 별도의 교통카드로 결제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 (개선) 전국 모든 지역에서 호환될 뿐만 아니라, 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간 환승을 하더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마을버스, 광역버스, 지하철 등 다양한 요금 이용·결제가 가능해져, 개인별 사용 패턴에 맞게 전국 어디서나 광역알뜰교통카드 한 장이면 이용이 가능하다.

② 번거로운 충전, 선불 부담이 사라집니다

(기존) 기존 선불교통카드 방식은 지정 충전소를 직접 방문해 충전을 하고, 월 5.5만원 수준의 선불보증금을 먼저 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또한, 정기권의 특성상 기간 내 사용을 하지 못했더라도 잔액이 소멸되어 혜택을 충분히 누리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 (개선) 높은 보급률과 편의성을 가진 ‘후불교통카드’를 출시하여 충전 부담은 없애고 수도권 등 전국 확대를 위한 서비스 기반을 조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전용 모바일 앱(가칭, ‘알뜰 Pay') 출시 등을 통해 별도로 카드를 소지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 하나로 이용 및 결제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기존 선불교통카드도 스마트폰으로 어디서든 충전이 가능( NFC 기능을 사용)하다.

③ 이용은 더욱 간편해 집니다

(기존) 단계별 인증 방식이 복잡해 이용에 번거로움이 많았고, 실수로 한 단계라도 작동을 누락한 경우 실적이 인정되지 않았다.

☞ (개선) 보행·자전거 마일리지 앱 작동방식을 대폭 간소화하고, 출발지·도착지와 대중교통 이용 실적을 토대로 자동으로 마일리지를 산정해 이용자들의 번거로움을 대폭 개선하였다.

④ 교통비 절감 혜택은 더욱 강화됩니다

(기존) 정기권(10% 할인, 약 5천원)과 보행·자전거 마일리지 적립(최대 20%(약 1만원) 할인, 평균 6천원 적립)을 통해, 월 평균 만원(대중교통비 5.5천원 기준)의 교통비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 (개선) 기존 할인혜택에 덧붙여 카드사, 지자체,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교통비를 추가 지원해, ‘30%+α’ 혜택이 가능해 진다.

국가와 지자체가 지급하는 보행·자전거 마일리지 보조 뿐만 아니라, 차량 2부제 등 환경친화적 교통수단 이용 및 대중교통 이용 실적에 비례한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 카드사 : 자체 재원(포인트 등)으로 추가 마일리지 등 다양한 파생서비스 제공지자체 : 지자체별 특화 서비스 제공 유도(차량 2부제, 건강포인트 제도 등)기업 : 교통유발부담금 공제제도 신설로 종사자에 대한 추가 마일리지 제공 유도보험사 : 생명·자동차 보험사 등과 관련 보험상품 출시 협의

또한, 교통유발부담금에 대한 공제제도를 신설*하여, 민간 기업과 종사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도 유도할 계획이다.
* (교통유발부담금) 일정규모(1,000㎡) 이상 시설물 소유자에게 교통량 유발비용을 일부 부담토록 하고, 교통량 감축 활동시에는 이를 일부 경감

기업이 종사자에게 추가 마일리지 제공시 교통유발부담금 부과분에서 전액 공제

국토교통부는 3월 7일(목)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 금년도 광역알뜰교통카드 시범사업 계획을 공유하고, 지자체 공식 공모절차를 통해 4월 중 대상 지자체를 선정해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교통정책조정과 강주엽 과장은 “매일 정기적으로 지출하게 되고 나날이 늘어만 가는 가계비 부담을 생각할 때, 광역알뜰교통카드가 국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무엇보다 지난해 시범사업을 거쳐 환골탈태한 광역알뜰교통카드를 기대하셔도 좋다. 앞으로도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국토교통부 2019-03-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0 맛있는 수박, 꼭지 길이와 비례하지 않아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31 106
1639 해외 인터넷 판매제품 구입 주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08 106
1638 5.6일 임시공휴일 지정에 따른 금융소비자 유의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9 106
1637 부적절한 행위 공무원 직위해제 및 징계조치 - 비위공무원에 무관용원칙 적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6 106
1636 풀무원 홍삼키즈업 판매중지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30 106
1635 즉석섭취·편의식품류 제조업체 점검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01 106
1634 '16.5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8.9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18.8%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15 106
1633 일부 렌터카 업체, 차량관리 소홀한 것으로 나타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0 106
1632 여름철 생활용품 28개 수거·교환 등 명령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7.27 106
1631 일본의 보이스피싱 피해실태와 예방노력 및 시사점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6 106
1630 김장철, 배추가격 큰 폭 오름 없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04 106
1629 금융소비자정보 포털「파인」제공 금융거래 조회 서비스확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09 106
1628 에너지 음료 비교정보 생산 결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6 106
1627 연예기획사의 연습생 계약서 불공정 약관에 대한 건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8 106
1626 학생회원 150만 명 온라인교육서비스 ‘e학습터’개통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3.12 106
Board Pagination Prev 1 ... 812 813 814 815 816 817 818 819 820 82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