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경찰청은 KT와 공동으로 범죄 데이터와 유동인구 데이터를 결합한 수도권 지하철역 디지털 성범죄 위험도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지하철역 디지털 성범죄 위험도를 토대로 순찰 및 단속 등 실 업무에 적용할 뿐만 아니라 해당 정보를 인터넷·모바일을 통해 국민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앞으로 지하철역에서의 불법 촬영 등 디지털 성범죄 예방이 보다 과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경찰청의 디지털 성범죄 위험도 개발은 지난 해 4월 한국정보화진흥원(NIA) 주관 ‘2018 빅데이터 플래그십 시범사업참여를 통해 올해 결실을 맺었다.

 

불 특정인을 대상으로 하는 불법촬영은 온라인을 통해 빠르게 유포됨으로써 피해자에게 정신적·심리적으로 큰 피해를 야기하기 때문에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이에 경찰청과 KT는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와 경찰 프로파일러를 협업 팀으로 구성하여, 시민들의 생활과 가장 밀접한 지하철 노선··출구 별로 KT 통신의 유동인구 데이터와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불법촬영 위험도 즉, 디지털 성범죄 발생 위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과거 범죄발생 빈도뿐만 아니라 범죄발생 현장의 유동인구 수·시간대별 인구 구성 비율·혼잡도 등 환경 요인과 노선별 특성, 계절적 특성 등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디지털 성범죄 위험도는 경찰청에서 운영 중인 지오프로스(GeoPros)에 탑재하여 지하철 경찰대 등 경찰관이라면 누구나 업무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지하철 노선·시간대와 같이 원하는 조건검색으로 범죄 발생 위험지역을 추천받아 예방 또는 단속을 위한 순찰을 할 수 있으며, 선제적 예방 순찰을 통해 범행의지를 제압하고 현장에서 바로 범인을 검거할 수 있다.

 

경찰청은 KT와 협업하여 국민들이 디지털 성범죄 위험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안심맵을 구축한다.

 

구축한 안심맵은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생활안전지도(www.safemap.go.kr)에 연계하고, 사이버경찰청(www.police.go.kr)에 링크하는 방안을 4월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국민들에게 안심맵서비스가 널리 공유될 있도록 도시철도공사 등에 위험도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 중에 있다.

 

서울 및 수도권 지하철역을 이용하는 시민들은 온라인이나 모바일로 언제든 자신이 이용하는 노선, 지하철역, 출구의 디지털 성범죄 위험도를 찾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KT 등 관계기관과 협업하여 사이버경찰청 홈페이지 등 기관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홍보할 예정이다.

 

경찰청장은 지하철 디지털 성범죄 위험지역에 대한 과학적 관리를 통해 불법 촬영범죄 등 대 여성 범죄를 예방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고도화된 민생 치안 서비스 개발로 국민의 안전에 이바지하겠다.”라고 전했다



[ 경찰청 2019-03-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976 보험약관 - 쉬워지고 착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2 7
6975 보험소비자 편의성 제고를 위한 보험금 청구절차 간소화 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04 84
6974 보험소비자 권익침해 행위에 대한 제재 강화 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78
6973 보험소비자 권익보호를 위한 불합리한 보험약관 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17
6972 보험소비자 권익보호 등을 위한 자동차보험 표준약관 개정 안내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사고부담금 등 관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0 21
6971 보험소비자 권익 제고를 위한 보험사의 알림서비스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61
6970 보험설계사의 보험사기 행위에 대한 첫 등록취소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9 90
6969 보험설계사가 연루된 보험사기 기획조사로 136명, 21억원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4 133
6968 보험설계사-GA 관련 정보, 이제 투명하게 보여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04 54
6967 보험상품의 사업비와 모집수수료를 합리적으로 개선하여 불완전판매를 감소시키고, 보험료 인하를 유도하겠습니다. - 「보험업감독규정」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15 13
6966 보험상품 전화가입(TM), 이제 더 신뢰할 수 있도록 바꾸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8 23
6965 보험상품 비교공시를 소비자 친화적으로 개선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3 13
6964 보험사기 피해로 할증된 자동차보험료를 환급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7 19
6963 보험사기 피해로 할증된 자동차보험료 환급현황 점검결과 및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4 60
6962 보험사기 척결 특별대책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15 74
Board Pagination Prev 1 ...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461 462 ... 923 Next
/ 92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