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해외여행 시 여러 명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저렴한 요금으로 해외용 포켓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으나, 관련 소비자불만도 함께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 3G, 4G(LTE) 등 현지의 이동통신망 신호를 와이파이(Wi-Fi) 신호로 바꿔 주는 휴대용 네트워크 장비

◎ ‘통신 장애’ 관련 소비자상담 가장 많아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최근 3년간('15년 ~ '17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해외용 포켓 와이파이 관련 소비자상담 119건을 분석한 결과, 통신 장애가 36건(30.3%)으로 가장 많았다. 계약해제·해지(23건, 19.3%), 구성품 불량(21건, 17.6%), 분실·파손 등에 따른 손해액(14건, 11.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 1372소비자상담센터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전국 단위 소비자상담 통합 콜센터(국번없이 1372)로 소비자단체·한국소비자원·광역지자체가 참여하여 상담을 수행

◎ 4명 중 1명이 통신 장애를 경험하지만 배상받기 어려워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해외에서 통신 장애로 포켓 와이파이 이용이 어려웠던 경험이 있는 이용자가 전체의 27.6%(138명)로 4명 중 1명이 통신 장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1년 이내 해외용 포켓 와이파이 이용 경험이 있는 남녀 소비자 500명 대상

그러나 해외용 포켓 와이파이 이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13개 업체*의 이용약관을 조사한 결과, 5개(38.5%) 업체는 현지에서 통신 장애로 와이파이가 연결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해도 이에 대해 책임지지 않는다는 문구를 명시하고 있었다.

* 굿로밍, 글로벌와이파이, 말톡, 소리샘네트웍스, 스마텔, 스카이패스로밍, 와그, 와이파이도시락, 와이파이망고, 월드로밍, 유심스토어, 토마토와이파이, 플레이와이파이 등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소비자상담이 접수된 업체

조사대상 13개 업체 중 5개(38.5%) 업체는 해외용 포켓 와이파이를 분실·파손한 경우 구체적인 기한없이 분실 처리 및 파손 수리를 완료하는 시점까지 발생한 손해액을 납부하도록 명시하고 있었다.

또한, 2개(15.4%) 업체는 분실·파손 등에 따른 손해액이 자동 결제된다는 내용을 계약 과정에서 소비자에게 고지하거나 동의를 얻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사업자에게 ▲통신 장애 시 이용요금 환급 또는 타 데이터 로밍 서비스 지원 ▲분실·파손 손해액 산정 관련 분실 처리 및 파손 수리 기한 명시 등 이용약관 개선을 권고할 예정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03-0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72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Branston 피클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0 2020.05.21
4071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Branston 피클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3 2020.05.21
4070 플라스틱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Branston 피클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3 2020.05.21
4069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4)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 2022.08.23
4068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8.23
4067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2.08.23
4066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과자(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08.23
4065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된 Enjoy Life 과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2.11.16
4064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TOBLERONE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4.02.29
4063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 가능성이 있는 Jay robb 단백질 파우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 2024.01.04
4062 플라스틱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Nippon 초콜릿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7 2022.08.26
4061 플라스틱 이물 혼입으로 질식 위험 있는 Milupa 이유식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2.10.17
4060 플라스틱 섭취 줄이는방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0 2019.08.21
4059 플라스틱 부품이 혼입될 가능성이 있는 크리스마스 초콜릿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3.03.16
4058 프탈레이트를 과다 함유한 무선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 2024.06.12
4057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RHP)를 함유한 JANOD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6 2021.10.14
4056 프탈레이트계 가소제(DEHP) 과다 함유한 SEA 700 유아용 튜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2.11.16
4055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과다 함유한 플라스틱 장난감 총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8 2022.06.13
4054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과다 함유한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4.01.05
4053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과다 함유한 공기주입식 주사위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5 2022.09.30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