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본부,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안내

봄철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로 인한 입원율 증가

겨울철 대비 봄철에 1.8배, 2월 대비 3월에 2.2배로 입원율 증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봄철을 맞아, 보행자가 지켜야할 교통사고 예방 안전 수칙을 안내하였다.

<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

  • 길을 걸을 때는 보도를 이용해야 하며 보도가 없을 경우 길 안쪽으로 통행해야 한다.
  • 도로를 건널 때는 항상 횡단시설을 이용하여 건너고 방어보행 3원칙(서다, 보다, 걷다)을 준수한다.
  • 보행 중 주의력을 저하시키는 다른 활동은 자제한다.
  • 운전자가 가시거리가 좋지 않은 날(눈, 비, 야간)에는 밝은 옷을 입어 자신의 위치를 알린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2004-2016년 보행자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 현황(170개 병원 기록 조사*) 및 손상 발생 요인을 조사(23개 응급실 기록 조사** )하여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 퇴원손상심층조사(2004-2016) : 매년 100병상 이상 170개 표본병원의 퇴원환자 9%를 표본추출하여 의무기록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2005년에 조사를 도입하였고, 국가통계로 승인받았음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2012-2017) : 매년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의 기전을 비롯한 손상관련 심층자료를 전향적으로 수집하여 손상 통계 산출

보행자 교통사고로 입원한 손상 환자수는 지속적으로 감소 (‘04년 5만 8475명→’16년 5만 3057명)하고 있고,

이중 어린이(12세 이하) 보행자 사고로 입원한 손상 환자수 또한 급격히 감소(‘04년 1만 4284명→’16년 3798명)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성인(19세 이상)에 비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보행자 사고로 입원한 손상환자의 연도별 추이, 2004-2016, 붙임 1 참고> : 붙임 참조

또한 지난 5년간(2012-2016) 연령별 전체 교통사고 중 보행자 교통사고로 입원하는 환자 비율에서도 성인에 비해 어린이가 2.8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어린이 전체교통사고 환자에서 보행자 교통사고가 차지하는 비율: 40.4%(4706/1만 1660명)

* 성인 전체교통사고 환자에서 보행자 교통사고가 차지하는 비율 : 14.3%(4만 8063/33만 6776명)

<5년간 전체 교통사고 및 보행자 사고 후 연령별 입원 현황, 2012-2016> : 붙임 참조

어린이 보행자 사고는 봄철(3~5월)에 증가했으며, 특히 2-3월에 큰 변동률(2.2배)을 보였다.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사고 계절 및 월별 입원환자 현황, 2012-2016> : 붙임 참조

손상 발생 요인을 조사하는 응급실심층조사 분석 결과에 의하면,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은 오후 15-17시(36.2%)이고, 발생 장소로는 도로(85.3%), 특히 차도 및 횡단보도(57.8%)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사고 시간대별 현황, 2012-2017> :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사고 발생 장소별 현황, 2012-2017> : 붙임 참조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사업의 운수사고 심층 분과장인 이강현 교수(연세대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응급의학과)는 “교통약자인 어린이는 교통사고 발생 시 사망위험이 크고, 부상 시 육체적·정신적 후유장애가 남을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하면서,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보행자 보호정책과 보행자에 대한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사회적으로 확산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봄철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가 증가하는 신학기를 맞아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학교와 가정에서 평소 꾸준히 어린이가 올바른 보행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9-03-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513 Little Tikes 스퀴시 완구, 작은 조각 삼킴 우려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9.03.12
2512 Creatology 회전 장난감(Pottery Wheel, Spin Art), 내부 배선 과열로 화재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8.07.19
2511 설 연휴 기간 감염병 발생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8.02.13
2510 취업컨설팅 서비스, 계약 관련 소비자불만 많아 개선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8.01.24
2509 Stagg 통조림(Classic Chili Con Carne), 알레르기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7.12.06
2508 발화 위험 있는 Phonemax 방폭형 휴대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3.02.13
2507 라벨 미표기 우유 및 밀 성분 함유해 알러지 위험있어 리콜된 Alsultan Sweets 디저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3.02.10
2506 리튬이온배터리 오염돼 발열 및 화재 위험 있는 수소수 제조기 판매 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3.02.10
2505 피규어세상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3.02.07
2504 알레르기 유발 성분[계란흰자] 미표기된 맨담 데오드란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2.03.14
2503 2-클로로에탄올 성분 함유된 Boots 영양제[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2.03.08
2502 사용 중 가스 누설 가능성 있는 SOTO 레큘레이터 스토브(ST-310)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2.02.09
2501 배선이 끊겨 화재 및 화상 위험있는 Elektron 악기 전원공급장치 회수 및 환불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2.02.09
2500 안구보호 기능 미흡해 망막손상 및 시력저하 위험있는 QPX 레이저 보호 안경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2.02.09
2499 세균에 오염된 Creathek 물감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1.10.07
2498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 등록 및 이용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1.08.27
2497 문자 또는 카카오톡 등 메신저를 통해 가족 또는 친구를 사칭하는 보이스피싱에 유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0.11.04
2496 가을철 증가하는 발열성 감염병 주의 당부! 예방수칙 준수하여 건강하게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0.09.18
2495 본격적인 휴가철, 물놀이 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0.07.24
2494 어린이보호포장 미비한 Bob Smith Industries 순간 접착제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0 2020.07.01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