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본부,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안내

봄철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로 인한 입원율 증가

겨울철 대비 봄철에 1.8배, 2월 대비 3월에 2.2배로 입원율 증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봄철을 맞아, 보행자가 지켜야할 교통사고 예방 안전 수칙을 안내하였다.

<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

  • 길을 걸을 때는 보도를 이용해야 하며 보도가 없을 경우 길 안쪽으로 통행해야 한다.
  • 도로를 건널 때는 항상 횡단시설을 이용하여 건너고 방어보행 3원칙(서다, 보다, 걷다)을 준수한다.
  • 보행 중 주의력을 저하시키는 다른 활동은 자제한다.
  • 운전자가 가시거리가 좋지 않은 날(눈, 비, 야간)에는 밝은 옷을 입어 자신의 위치를 알린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2004-2016년 보행자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 현황(170개 병원 기록 조사*) 및 손상 발생 요인을 조사(23개 응급실 기록 조사** )하여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 퇴원손상심층조사(2004-2016) : 매년 100병상 이상 170개 표본병원의 퇴원환자 9%를 표본추출하여 의무기록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2005년에 조사를 도입하였고, 국가통계로 승인받았음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2012-2017) : 매년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의 기전을 비롯한 손상관련 심층자료를 전향적으로 수집하여 손상 통계 산출

보행자 교통사고로 입원한 손상 환자수는 지속적으로 감소 (‘04년 5만 8475명→’16년 5만 3057명)하고 있고,

이중 어린이(12세 이하) 보행자 사고로 입원한 손상 환자수 또한 급격히 감소(‘04년 1만 4284명→’16년 3798명)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성인(19세 이상)에 비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보행자 사고로 입원한 손상환자의 연도별 추이, 2004-2016, 붙임 1 참고> : 붙임 참조

또한 지난 5년간(2012-2016) 연령별 전체 교통사고 중 보행자 교통사고로 입원하는 환자 비율에서도 성인에 비해 어린이가 2.8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어린이 전체교통사고 환자에서 보행자 교통사고가 차지하는 비율: 40.4%(4706/1만 1660명)

* 성인 전체교통사고 환자에서 보행자 교통사고가 차지하는 비율 : 14.3%(4만 8063/33만 6776명)

<5년간 전체 교통사고 및 보행자 사고 후 연령별 입원 현황, 2012-2016> : 붙임 참조

어린이 보행자 사고는 봄철(3~5월)에 증가했으며, 특히 2-3월에 큰 변동률(2.2배)을 보였다.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사고 계절 및 월별 입원환자 현황, 2012-2016> : 붙임 참조

손상 발생 요인을 조사하는 응급실심층조사 분석 결과에 의하면,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은 오후 15-17시(36.2%)이고, 발생 장소로는 도로(85.3%), 특히 차도 및 횡단보도(57.8%)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사고 시간대별 현황, 2012-2017> :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사고 발생 장소별 현황, 2012-2017> : 붙임 참조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사업의 운수사고 심층 분과장인 이강현 교수(연세대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응급의학과)는 “교통약자인 어린이는 교통사고 발생 시 사망위험이 크고, 부상 시 육체적·정신적 후유장애가 남을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하면서,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보행자 보호정책과 보행자에 대한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사회적으로 확산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봄철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가 증가하는 신학기를 맞아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학교와 가정에서 평소 꾸준히 어린이가 올바른 보행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9-03-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529 커넥터 과열로 화상 위험 있는 Cosori 에어프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3 2023.04.20
3528 재료 결함으로 베임 우려 있는 Mammut 눈삽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6 2023.04.20
3527 감전 위험 있는 Portable Fan Heater 팬히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6 2023.04.20
3526 날카로운 하단부에 전선손상 및 감전 우려 있는 SEKO 전기 티팟·트레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7 2023.04.20
3525 톨루엔 안전 기준을 위반한 Zhanlida 접착제(T800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1 2023.04.20
3524 톨루엔 안전 기준을 위반한 Zhanlida 접착제(E700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9 2023.04.20
3523 톨루엔 안전 기준을 위반한 Zhanlida 접착제(E800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8 2023.04.20
3522 톨루엔 안전 기준을 위반한 Zhanlida 접착제(E600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9 2023.04.20
3521 톨루엔 안전 기준을 위반한 Zhanlida 접착제(B-600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1 2023.04.20
3520 진료비 선납 후 계약해지 시 잔액 환급 거부·과다 공제 피해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5 2023.04.20
3519 톨루엔 안전 기준을 위반한 Zhanlida 접착제(T-6000)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23.04.18
3518 페룰(Ferrule) 부식으로 낙상 위험 있는 Wild Country 클라이밍 장비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5 2023.04.18
3517 시력 손상 위험 있는 Sculpfun 레이저 조각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3 2023.04.18
3516 천장 누수 발생 가능성으로 리콜된 The North Face 텐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23.04.18
3515 나사 불량으로 오작동 및 낙상 위험이 있는 Scarpa 스키부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23.04.18
3514 명품구매대행 쇼핑몰 ‘SD컬렉션’ 피해주의…배송지연?연락두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0 2023.04.18
3513 최저가 명품구매대행 '에스디컬렉션' 배송·환급 지연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23.04.14
3512 독초와 산나물, 혼동하지 마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23.04.14
3511 애슬리트/Athletekorea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8 2023.04.14
3510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접경지역에 대한 여행경보 4단계(여행금지)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3.04.13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