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질병관리본부,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안내

봄철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로 인한 입원율 증가

겨울철 대비 봄철에 1.8배, 2월 대비 3월에 2.2배로 입원율 증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봄철을 맞아, 보행자가 지켜야할 교통사고 예방 안전 수칙을 안내하였다.

<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수칙 >

  • 길을 걸을 때는 보도를 이용해야 하며 보도가 없을 경우 길 안쪽으로 통행해야 한다.
  • 도로를 건널 때는 항상 횡단시설을 이용하여 건너고 방어보행 3원칙(서다, 보다, 걷다)을 준수한다.
  • 보행 중 주의력을 저하시키는 다른 활동은 자제한다.
  • 운전자가 가시거리가 좋지 않은 날(눈, 비, 야간)에는 밝은 옷을 입어 자신의 위치를 알린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2004-2016년 보행자 교통사고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 현황(170개 병원 기록 조사*) 및 손상 발생 요인을 조사(23개 응급실 기록 조사** )하여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 퇴원손상심층조사(2004-2016) : 매년 100병상 이상 170개 표본병원의 퇴원환자 9%를 표본추출하여 의무기록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2005년에 조사를 도입하였고, 국가통계로 승인받았음

**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2012-2017) : 매년 23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손상환자의 기전을 비롯한 손상관련 심층자료를 전향적으로 수집하여 손상 통계 산출

보행자 교통사고로 입원한 손상 환자수는 지속적으로 감소 (‘04년 5만 8475명→’16년 5만 3057명)하고 있고,

이중 어린이(12세 이하) 보행자 사고로 입원한 손상 환자수 또한 급격히 감소(‘04년 1만 4284명→’16년 3798명)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성인(19세 이상)에 비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보행자 사고로 입원한 손상환자의 연도별 추이, 2004-2016, 붙임 1 참고> : 붙임 참조

또한 지난 5년간(2012-2016) 연령별 전체 교통사고 중 보행자 교통사고로 입원하는 환자 비율에서도 성인에 비해 어린이가 2.8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어린이 전체교통사고 환자에서 보행자 교통사고가 차지하는 비율: 40.4%(4706/1만 1660명)

* 성인 전체교통사고 환자에서 보행자 교통사고가 차지하는 비율 : 14.3%(4만 8063/33만 6776명)

<5년간 전체 교통사고 및 보행자 사고 후 연령별 입원 현황, 2012-2016> : 붙임 참조

어린이 보행자 사고는 봄철(3~5월)에 증가했으며, 특히 2-3월에 큰 변동률(2.2배)을 보였다.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사고 계절 및 월별 입원환자 현황, 2012-2016> : 붙임 참조

손상 발생 요인을 조사하는 응급실심층조사 분석 결과에 의하면,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은 오후 15-17시(36.2%)이고, 발생 장소로는 도로(85.3%), 특히 차도 및 횡단보도(57.8%)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사고 시간대별 현황, 2012-2017> : 붙임 참조

<만 12세 이하 어린이 보행자 사고 발생 장소별 현황, 2012-2017> : 붙임 참조

응급실손상환자심층조사사업의 운수사고 심층 분과장인 이강현 교수(연세대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응급의학과)는 “교통약자인 어린이는 교통사고 발생 시 사망위험이 크고, 부상 시 육체적·정신적 후유장애가 남을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하면서,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보행자 보호정책과 보행자에 대한 안전교육의 중요성을 사회적으로 확산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봄철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가 증가하는 신학기를 맞아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학교와 가정에서 평소 꾸준히 어린이가 올바른 보행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하였다.



[ 보건복지부 2019-03-0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99 납 성분 함유 기준을 초과한 자동 세제 디스펜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4.03.27
4198 낙상 위험이 있는 Yunoa 목욕 의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4.03.27
4197 과도한 농도의 납이 함유된 보풀 제거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1 2024.03.27
4196 감전 위험 있는 수조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4.03.27
4195 감전 위험 있는 USB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4.03.27
4194 수백~수천만원의 대출을 미끼로 한 초고금리 급전대출 사기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5 2024.03.26
4193 발기부전치료제 성분이 검출된수입 ‘커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4.03.25
4192 여드름 관련 화장품 사용 시 주의사항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2 2024.03.25
4191 대마성분 함유 젤리·사탕,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4.03.25
4190 액상담배 쇼핑몰 JUYOUSO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4.03.25
4189 이상운전 시험 시 기준온도 초과한 우진테크 발 보온기 교환 및 환불 조치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4.03.21
4188 화재 및 화상 위험이 있는 Lolanta 아동용 목욕 가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4.03.21
4187 탈락한 부품 삼킴으로 질식 위험 있는 장난감 기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 2024.03.21
4186 충전부 접촉 시 감전 위험성 있는 LED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4.03.21
4185 제품 일부가 떨어져 상해의 위험이 있는 Nordic Track 덤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4.03.21
4184 절연 미흡해 감전 위험 있는 LED 손전등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4 2024.03.21
4183 전압조정기 고장으로 화재 위험성 있는 잔디깎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4 2024.03.21
4182 적합성 평가를 받지 않아 익사 위험 있는 NEWAO 구명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4.03.21
4181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1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6 2024.03.21
4180 봄철 환절기 대비,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4.03.21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