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 더 지원한다!

-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 지원사업” 대상 확대하여 지원 중 (’19.1월∼)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영유아 건강검진의 효과를 높이고 발달장애 영유아의 조기발견 및 치료를 위해 올해(’19.1월~)부터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 대상을 확대하여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 기존 “의료급여 수급권자”, “차상위계층” 및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30% 이하”에서,

   -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50% 이하*”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올해 1,000명(총 2,000명)이 추가 지원을 받게 된다.

   * 직장가입자: 11만5000원 이하, 지역가입자: 7만8500원 이하

□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비 지원사업’은 건강검진 발달평가 결과 ‘심화평가 권고’ 판정을 받은 영유아에게 발달장애 정밀검사비를 지원하여 조기 치료 및 재활로 연계하고, 영유아의 장애 유병률을 낮추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작년 9월 발표한 ‘발달장애인 생애주기별 종합대책’에도 건강검진 지원 확대를 통한 발달장애 조기진단 강화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비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지원 대상) 영유아건강검진 대상자 중 의료급여수급권자, 차상위계층 및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50%인 자로서 검진결과 발달평가(한국영유아발달선별검사: K-DST)에서 ‘심화평가 권고’로 평가된 영유아이다.

 

영유아검진 >

○ 만 6세미만 영유아에 대하여 월령별로 7차례 실시

1(생후 46개월), 2(912개월), 3(1824개월), 4(3036개월), 5(4248개월), 6(5460개월), 7(6671개월)

문진 및 진찰신체계측발달평가 및 상담건강교육 및 상담구강검진

○ 2차부터 7차까지 한국영유아 발달선별검사(K-DST)” 도구를 이용하여 발달선별검사를 실시

○ 발달선별검사는 6개 핵심발당 영역(대근육운동소근육운동인지언어사회성자조)으로 구분

- “양호”, “추적검사 요망”, “심화평가 권고”, “지속관리 필요로 판정

○ 정밀검사비 지원대상은 심화평가 권고로 판정된 영유아임

 

 

 


 ○ (이용 방법) 검진기관에서 발급한 “영유아건강검진 결과통보서” 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서 발급한 “발달장애 정밀검사 대상자 확인서”를 지참하고 광역자치단체(시·도)에서 지정한 의료기관이나 원하는 의료기관에서 정밀검사를 받을 수 있다.


   * (정밀검사 의료기관) 건강IN 홈페이지(http://hi.nhis.or.kr) “건강정보-병(의)원 찾기-조건별 검색(특성별 병원/영유아발달정밀검사의료기관)”에서 전국 168개 기관 정보 조회 가능

   - 다만, 지정되지 않은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본인이 검사비를 먼저 지급한 후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청구하여 환급 받을 수 있다.

 ○ (비용 지원) 발달장애 정밀검사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검사 및 진찰료(법정 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포함)에 대하여 최대 40만 원*까지 지원한다.

   - 의료급여수급권자, 차상위계층 : 최대 40만 원

   -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50%이하인 자 : 최대 20만 원

□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비 지원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나 보건복지상담센터(국번 없이 129번)에 문의하면 자세하게 상담을 받을 수 있다.

□ 보건복지부 정영기 건강증진과장은 “취약계층 영유아의 발달장애, 뇌성마비 등을 빠르게 발견해 치료로 연계하는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비 지원사업’ 대상을 2022년까지 연간 7,000명 수준으로 늘릴 계획”이라면서,

 ○ 아울러 “포용국가의 주춧돌인 아동의 건강에 대한 투자를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9-03-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771 '15년 중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실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6 137
13770 '15년 항공여객 8,941만 명 기록, 역대 최고실적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1.28 318
13769 '16.10월 전월세 거래량은 12.6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2.4%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6 106
13768 '16.10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10.9만 건으로 전년동월대비 2.2%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6 101
13767 '16.11월 전월세 거래량은 12.3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6.9%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6 92
13766 '16.11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10.3만 건으로 전월 대비 5.3%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6 97
13765 '16.1월 전월세 거래량은 10.5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4.0%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8 159
13764 '16.1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6.2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21.4%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15 142
13763 '16.1월중(~27일)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2.02 167
13762 '16.2월 전월세 거래량은 14.0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9.6%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4 177
13761 '16.2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5.9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24.9%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3.14 168
13760 '16.3월 전월세 거래량은 14.5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10.4%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5 178
13759 '16.3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7.8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30.4%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5 138
13758 '16.4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국 8.6만 건으로 전년동월 대비 28.4%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6 148
13757 '16.5.9일 연합뉴스 중 '은행권 개설 ISA 4개 중 3개꼴 1만원 이하 깡통계좌' 관련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10 14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24 Next
/ 9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