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영구임대주택 주거복지 전문인력 배치를 통한 정책효과 사례 >

* (사례1) 기초생활 수급자로 영구임대 주택에 살고 있는 이OO(78세, 여성) 할머니는 파킨슨병, 관절염 등으로 거동이 불편하다. 다른 가족이 없이 혼자 살고 있는 터라 병원을 한 번 가는 것도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다.
☞ 영구임대주택에 배치된 주거복지사 등 전문인력이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건강·생활실태를 점검하고, 필요시 의료기관 방문 차량지원 등 돌봄서비스 제공
- 복지관, 관리사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등 유관기관과 협업하여 식사·생필품 지원, 고독사·우울증 정신건강 관리서비스 제공

* (사례2) 보육교사 경력이 있지만 육아를 위해 전업주부로 살아온 김OO(52세)은 자녀가 대학에 입학한 후 자신의 경력을 살려 주거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최근 영구임대단지 주거복지사 채용에 응시하였고 얼마 후면 영구임대단지 내 돌봄서비스를 전담하는 주거복지사로 일하게 된다.
☞ 향후 전국 영구임대주택 단지(LH·지방공사 173개 단지)로 대상을 확대할 경우 주거복지사 등 주거복지 전문인력 일자리(약 500개) 창출 기대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전국 15개 영구임대주택 단지에 주거복지 전문인력인 주거복지사를 2월 28일부터 배치하여 취약계층 돌봄서비스와 커뮤니티 활성화를 지원한다.

그간 국토부는 영구임대주택 공급을 통해 저소득·취약계층 주거안정에 크게 기여하였으나, 물리적 공간인 주택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입주민 특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개인 또는 단지 차원의 문제를 해소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평가하고, 지자체, 복지관, 보건소, LH, 주택관리공단 등과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건강, 안전, 일자리, 돌봄서비스 등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여 사각지대에 처한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영구임대주택 단지가 지역 공동체 속에서 함께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단지 특화형 사업을 추진할 전문인력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반영하여 시범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주거복지 전문인력은 영구임대주택 관리사무소 내 별도 공간에 상주하면서 입주자 대상 실태조사와 심층상담을 통해 입주자의 주거복지 욕구를 파악한 후 주거서비스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복지관, 보건소, 관리사무소 등 지역 유관기관과의 협력·연계를 통해 건강·고용·교육·신용 등 입주민이 겪을 수 있는 통합적 주거·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주거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한다.

국토부는 시범사업 점검 및 평가를 통해 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사업 개선방안을 마련한 후 전국 영구임대주택과 매입임대주택 등으로 확대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박선호 국토교통부 1차관은 2월 28일 오후에 서울 강서구 가양동의 영구임대단지에서 개최된 ‘찾아가는 마이홈센터’ 개소식에 참석하여 주거복지사와 관리사무소 직원을 격려하고, 단지 내 독거노인 세대를 방문하여 맞춤형 주거복지서비스 상담과정을 함께하고 불편사항을 직접 청취하였다.

박 차관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주거 취약계층에 대한 기초적인 생계지원을 넘어 한 차원 높은 주거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포용국가 실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올해 시범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단계적으로 전문인력 배치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더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주거복지 전달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 국토교통부 2019-02-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866 보험사기 피해로 할증된 자동차보험료를 환급받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7 19
6865 보험상품 비교공시를 소비자 친화적으로 개선하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3 13
6864 보험상품 전화가입(TM), 이제 더 신뢰할 수 있도록 바꾸겠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6.18 23
6863 보험상품의 사업비와 모집수수료를 합리적으로 개선하여 불완전판매를 감소시키고, 보험료 인하를 유도하겠습니다. - 「보험업감독규정」 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15 13
6862 보험설계사-GA 관련 정보, 이제 투명하게 보여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04 54
6861 보험설계사가 연루된 보험사기 기획조사로 136명, 21억원 적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4 133
6860 보험설계사의 보험사기 행위에 대한 첫 등록취소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9 90
6859 보험소비자 권익 제고를 위한 보험사의 알림서비스 개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25 61
6858 보험소비자 권익보호 등을 위한 자동차보험 표준약관 개정 안내 (전동킥보드, 음주운전 사고부담금 등 관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0.20 21
6857 보험소비자 권익보호를 위한 불합리한 보험약관 개선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6.29 17
6856 보험소비자 권익침해 행위에 대한 제재 강화 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0 78
6855 보험소비자 편의성 제고를 위한 보험금 청구절차 간소화 방안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04 84
6854 보험약관 - 쉬워지고 착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22 7
6853 보험업감독규정 개정안 규정변경 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6 66
6852 보험업법 개정안 입법예고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27 84
Board Pagination Prev 1 ... 460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