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소비생활만족도 2년 전보다 7.8점 낮아져, 제주·서울 높고 경남·충북 낮아

- 「2015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

이 자료는 10월 6일(화)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10월 5일 12시)

한국소비자원(www.kca.go.kr)은 국민이 체감하는 소비생활의 경험과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측정한『2015 한국의 소비생활지표』를 발표하였다.

『한국의 소비생활지표』는 1991년부터 시작되었으며, 2013년 지표 체계를 대폭 개편하여 소비여건, 소비경험, 소비자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함. 금번 지표는 지난 4월, 20세 이상 국민 2,5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표본조사 결과임.

□ 국민 소비생활만족도, 식·의료·문화/여가 순으로 높아

최근 1년간 경험한 소비생활 전반의 만족수준은 100점 만점에 평균 63.8점으로 나타나 2013년 만족도 71.6점에 비해 7.8점 낮아졌다. 이는 2013년에 비해 소비생활에서 기대와 요구의 충족 정도가 하락하였음을 의미한다. 소비분야별로는 식생활·의료·문화/여가 순으로 만족도가 높아 각각 66.5점, 64.2점, 64.0점이었으며 반대로 경조사지원·뷰티/헬스·금융/보험 순으로 낮아 각각 59.1점, 60.6점, 61.2점이었다. 경조사지원서비스는 2013년에 이어 올해도 만족도가 가장 낮은 분야로 나타났다.

1  

지역별로는 제주, 서울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경남, 충북 순으로 낮았다. 제주와 서울의 경우, 식·주·의생활·의료분야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경남과 충북은 소비분야 대부분 만족도 점수가 낮았다.

 

□ 소비생활 중산층 인식, ‘중산층 상’은 감소하고 ‘중산층 하’는 증가

 

한국소비자원은 1994년 이후 지속적으로 소비자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소비계층(상류층, 중산층, 하류층을 각각 상, 하로 나누어 6단계로 구분) 파악해 왔다. 올해 조사에서 자신을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는 65.2%, 2013년 62.5%에 비해 2.7%p 증가하였다. 그러나 ‘중산층 상’은 3.0%p 감소한 반면 ‘중산층 하’는 5.7%p 증가하였다. 상류층에 대한 하류층 비율로 산출한 소비양극화 지수올해 167(2007년=100)로, 1994년 조사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여 소비생활의 양극화 정도는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소비자 100명 중 60명은 소비자문제 경험, 이 중 14명 실제 피해 경험

소비생활 분야 전반에서 연간 어느 정도로 문제를 경험하는지 ‘소비자문제경험률’을 측정한 결과, 평균 59.6%로 나타나 100명 중 약 60명은 연간 최소 1회 이상 소비자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소비자문제 : 소비생활 시 장애요인, 불편사항, 거래 시 불만, 소비자피해 등 모두 포함한 경험

* 소비자불만 : 사업자와 거래 혹은 구매 시 품질, 가격, 기타 서비스 등에 대한 불만족

* 소비자피해 : 제품 결함 혹은 하자 등으로 인한 신체, 생명, 재산상의 실제 손해 발생

 

소비자문제 유형별 경험률을 살펴보면 품질대비 비싼 가격 25.5%로 가장 많았고 소비자정보 부족 12.6%, 품질불량 11.9%, 부당 표시·광고 10.6% 순이었다.

사업자와의 거래 시 불만을 경험한 경우는 39.3%이고 이 중 제품 결함 및 하자 등 소비자피해로까지 이어진 경우는 13.6%로 나타나, 100명 중 약 14명은 연간 최소 1회 이상 소비자피해를 경험하였다. 피해 경험자 14명 중 소비자관련기관·단체에 분쟁해결을 의뢰한 경우는 21.0% 약 3명으로, 연간 우리나라의 소비자분쟁 의뢰 건수추정(2014년 현재 20세 이상 인구수 40,747,638명)하면 약 1백2십2만건 이상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3 

□ 소비생활 분야별 연간 피해경험, 식·의·주·의료·정보통신 순으로 높아

 

최근 1년 동안 소비생활 분야별 소비자피해 경험률을 집계한 결과, 식생활 5.7%, 의생활 5.4%, 주생활 2.6%, 의료서비스 2.5%, 정보통신서비스 2.3% 순으로 높아 식생활과 의생활 등 구매빈도가 높고 생활 유지를 위한 기본 소비 분야에서 소비자피해가 더욱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금번 지표조사 결과 주생활·정보통신·금융/보험 등과 같이 만족도낮고 피해 경험많은 분야는 소비자정책 수립 시 우선 순위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또한 식·의료·의생활과 같이 만족도와 피해 경험이 모두 높은 분야는 높아진 소비자의 기대수준으로 인해 사업자와의 분쟁 및 피해가 더욱 다발하는 점을 고려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아울러, 충북 등 일부 지역소비자의 경우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낮고 피해 경험률은 더 높아 소비생활의 취약성을 드러낸 만큼 지방소비자행정 강화소비자역량 증진 등의 개선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 2015-1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16 세계 속 자주국을 꿈꾼 대한제국과 세계 음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11 36
6015 세계 식량가격지수, 완만한 상승세 유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1.14 71
6014 세계 최초 전국 시내버스 무료 데이터 이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2.14 21
6013 세계1위 전기차 테슬라, 손해배상의 범위를 주문수수료로 제한한 것은 약관법 위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8.21 11
6012 세계유산 김포 장릉에서 즐기는 자연 생태 체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9.12 48
6011 세계지도도 점자로, “선생님! 지리수업이 재미있어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08 44
6010 세균 유래물질로 기관지 천식 치료길 열린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9.14 96
6009 세균발육 양성, '식육추출가공품' 회수 알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17 12
6008 세균발육 양성, '혼합프레스햄'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25 22
6007 세균수 초과 국수 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14 82
6006 세금 고민, 이제 전국 어디서나 마을세무사와 상담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6.01 96
6005 세금 신고 길라잡이! 홈택스 내비게이션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5.11 39
6004 세금계산서 없어도 신규 법인은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14 136
6003 세대원 주택 소유가 무조건 임대주택 계약해지 사유 안 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8 244
6002 세무서 민원실 대기자 수, 스마트폰에서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3 17
Board Pagination Prev 1 ... 519 520 521 522 523 524 525 526 527 528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