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일부 스퀴시 완구 제품에서 유해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최근 유럽연합(덴마크)은 어린이 완구인 스퀴시*에서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이 방출되어 다수 제품을 리콜한 바 있다.

* 스퀴시(Squishy) : 빵, 아이스크림, 과일, 동물 등의 모양으로 스펀지처럼 말랑말랑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가져 손으로 쥐었다 폈다를 반복할 수 있는 장난감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시중에 유통·판매중인 스퀴시 12개 제품을 대상으로 유해물질 방출 시험 및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점막 자극, 현기증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간독성 물질인 디메틸포름아미드가 방출되어 소비자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일부 스퀴시 제품에서 유해한 수준의 디메틸포름아미드 방출

시험 결과, 12개 스퀴시 전 제품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가 시간당 54㎍/㎥ ~ 16,137㎍/㎥ 수준의 농도로 방출됐다.


* 디메틸포름아미드 :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일종으로 노출 시 코·인후·눈·피부의 자극과 함께 현기증·수면장애·시야흐림·홍조·구토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간독성 물질임.

위해성평가*결과, 6개(50.0%) 제품의 방출량은 3세 이하 어린이에게 위해 우려가 있고, 이 중 2개 제품은 여러 개의 스퀴시에 노출될 경우 6세~12세의 어린이에게도 위해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별 노출시나리오에 따른 노출농도를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무영향수준, Derived No-Effect Level ; DNEL)의 농도로 나눈 값을 ‘위해도 결정비’(Risk Characterisation Ratio ; RCR)라고 하며, 산출 값이 1을 초과할 경우 위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 디메틸포름아미드 방출 스퀴시 위해성평가 결과 ]

제품명

제조/수입사

디메틸포름아미드
방출량 (/)

위해도 결정비(RCR)

3세 이하 [RCR >1 : 위해도 높음]

밀크브레드*

위드미

16,137

14.9

펫 스퀴시 도시락**

()미미월드

7,912

7.3

수아베스퀴시(식빵)

()기드온

3,822

3.5

말랑말랑 오징징

앤트리/쓰임&끌림

3,455

3.2

버거속냥이

미정아트

1,899

1.8

석류스퀴시

필리

1,493

1.4

* 7개 노출 시 6~12RCR 1 초과, ** 14개 노출 시 6~12RCR 1 초과


그러나 현재 스퀴시 등 어린이 완구에 대한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 기준이 없어 완구의 재질·용도·사용연령 등에 따른 안전기준 마련 검토가 필요하다.

◎ 표시기준 부적합 제품 많아

어린이 완구는 최소단위 포장에 품명·모델명·제조연월·사용자의 최소 연령 등 일반 표시사항과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나타내는 KC마크를 표시해야 한다.

조사대상 12개 전 제품에 KC마크는 표시되어 있었으나, 10개(83.3%) 제품은 일반 표시사항을 일부 누락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위해 제품 시정권고 및 제도개선 요청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에서 어린이에게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제품의 사업자에게 판매중지 및 회수 등 자발적 시정을 권고했고, 해당 사업자는 이를 수용해 회수 조치하기로 했다.

또한, 국가기술표준원에는 ▲어린이 완구의 재질·용도·연령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량 기준 마련 검토를 요청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냄새나 향기가 있는 스퀴시의 구매를 피하고, 특히 3세 이하의 어린이가 스퀴시를 가지고 놀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9-02-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53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과다 함유된 코끼리 지갑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4.04.16
4052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된 아가츠마(Agatsuma) 샤워기 완구 판매차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0.12.07
4051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 및 질식 위험 있는 Wuleeuper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1.04.28
4050 프탈레이트 과다 함유해 어린이 생식 건강 및 질식 위험 있는 SYZ 비치볼 세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06 2022.06.14
4049 프탈레이트 검출된 에어팟 i10 (차이팟 i10) 블루투스 이어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2.06.07
4048 프탈레이트 검출된 Urban Fight 운동용 장갑(복싱패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23.04.05
4047 프탈레이트 가소제 등 과다 함유한 Flynova Pro 플라잉 스피너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4.01.05
4046 프탈레이드 과다 함유로 어린이 건강 위험있는 Ohuhu 어린이 악기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26 2022.04.04
4045 프리걸 / freegirl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21.10.25
4044 프론트 포크 파손 우려로 부상 위험이 있는 SCOTT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1 2023.04.04
4043 프레임이 파손될 우려가 있는 (주)알톤스포츠 자전거 사전 안전점검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031 2015.04.21
4042 프레임 균열로 운전자 낙상 위험성 있는 접이식 자전거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959 2016.08.09
4041 프레임 균열로 부상 위험 있는 전기 화물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4.04.16
4040 퓨즈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화재 위험이 있는 헤어드라이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6 2024.02.15
4039 퓨즈·플러그 결함으로 감전 및 부상의 위험이 있는 Aovopro 전동킥보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23.03.13
4038 품질 택에 소재가 잘못 표기된 티셔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 2024.05.13
4037 품질 및 위조품 문제로 리콜된 Vevor 휴대용 공기 압축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 2023.11.16
4036 품질 문제 있는 엽산 함유한 BetterYou 구강 스프레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 2021.01.27
4035 표시사항 요건 미준수해 화상 및 화재 위험있는 Hestia Canada 휴대용 난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4 2022.04.04
4034 표시사항 및 포장 요건을 위반한 Epoartist 에폭시 레진키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 2023.12.19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