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일부 스퀴시 완구 제품에서 유해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최근 유럽연합(덴마크)은 어린이 완구인 스퀴시*에서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이 방출되어 다수 제품을 리콜한 바 있다.

* 스퀴시(Squishy) : 빵, 아이스크림, 과일, 동물 등의 모양으로 스펀지처럼 말랑말랑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가져 손으로 쥐었다 폈다를 반복할 수 있는 장난감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시중에 유통·판매중인 스퀴시 12개 제품을 대상으로 유해물질 방출 시험 및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점막 자극, 현기증 등을 유발할 수 있는 간독성 물질인 디메틸포름아미드가 방출되어 소비자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일부 스퀴시 제품에서 유해한 수준의 디메틸포름아미드 방출

시험 결과, 12개 스퀴시 전 제품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가 시간당 54㎍/㎥ ~ 16,137㎍/㎥ 수준의 농도로 방출됐다.


* 디메틸포름아미드 :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일종으로 노출 시 코·인후·눈·피부의 자극과 함께 현기증·수면장애·시야흐림·홍조·구토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간독성 물질임.

위해성평가*결과, 6개(50.0%) 제품의 방출량은 3세 이하 어린이에게 위해 우려가 있고, 이 중 2개 제품은 여러 개의 스퀴시에 노출될 경우 6세~12세의 어린이에게도 위해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별 노출시나리오에 따른 노출농도를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무영향수준, Derived No-Effect Level ; DNEL)의 농도로 나눈 값을 ‘위해도 결정비’(Risk Characterisation Ratio ; RCR)라고 하며, 산출 값이 1을 초과할 경우 위해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


                                           [ 디메틸포름아미드 방출 스퀴시 위해성평가 결과 ]

제품명

제조/수입사

디메틸포름아미드
방출량 (/)

위해도 결정비(RCR)

3세 이하 [RCR >1 : 위해도 높음]

밀크브레드*

위드미

16,137

14.9

펫 스퀴시 도시락**

()미미월드

7,912

7.3

수아베스퀴시(식빵)

()기드온

3,822

3.5

말랑말랑 오징징

앤트리/쓰임&끌림

3,455

3.2

버거속냥이

미정아트

1,899

1.8

석류스퀴시

필리

1,493

1.4

* 7개 노출 시 6~12RCR 1 초과, ** 14개 노출 시 6~12RCR 1 초과


그러나 현재 스퀴시 등 어린이 완구에 대한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 기준이 없어 완구의 재질·용도·사용연령 등에 따른 안전기준 마련 검토가 필요하다.

◎ 표시기준 부적합 제품 많아

어린이 완구는 최소단위 포장에 품명·모델명·제조연월·사용자의 최소 연령 등 일반 표시사항과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나타내는 KC마크를 표시해야 한다.

조사대상 12개 전 제품에 KC마크는 표시되어 있었으나, 10개(83.3%) 제품은 일반 표시사항을 일부 누락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위해 제품 시정권고 및 제도개선 요청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에서 어린이에게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제품의 사업자에게 판매중지 및 회수 등 자발적 시정을 권고했고, 해당 사업자는 이를 수용해 회수 조치하기로 했다.

또한, 국가기술표준원에는 ▲어린이 완구의 재질·용도·연령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방출량 기준 마련 검토를 요청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냄새나 향기가 있는 스퀴시의 구매를 피하고, 특히 3세 이하의 어린이가 스퀴시를 가지고 놀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 한국소비자원 2019-02-2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51 절연 미흡 등으로 전기 감전 위험이 있는 Vevor 트리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3.09.18
4050 야외활동 많은 나들이 철...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3.10.13
4049 불편한 빈대 출현! 이렇게 대응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3.10.31
4048 접지 연결 미흡하고 감전 우려 있는 Vevor 그라인더 연마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3.11.16
4047 아동의 질식 위험 가능성 있는 Ark Therapuetic 치발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3.11.20
4046 유리 혼입 가능성 있는 MAGGI 치킨 육수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3.12.19
4045 화상 등 부상 위험 있는 Rene Rofe 유아용 목욕가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3.12.21
4044 식중독균 검출 ‘과자’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1.04
4043 땜납부에 납이 과다하게 함유되어 있는 Flawlbss 얼굴용 제모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1.04
4042 낙상 우려 있는 Petzl 암벽 등산용 하네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1.08
4041 불법 채권추심 관련 3차 금융소비자 경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1.30
4040 의약품 성분 함유된 The Grind 운동 보조제(아이스 블루 라즈베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2.15
4039 폼알데하이드 검출된 FRIGG 노리개젖꼭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2.20
4038 반사율 미흡해 사고 발생 위험이 있는 AFAIK 안전 조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3.15
4037 살모넬라 오염 가능성이 있는 Quaker 시리얼류(9)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3.20
4036 납 성분 함유 기준을 초과한 자동 세제 디스펜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3.27
4035 낙상 위험 있는 Topfun 접이식 스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 2024.04.11
4034 인터파크 사칭사이트 주의게시글 타이틀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3.08.01
4033 감전 위험이 있는 SONOFF 전구홀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3.08.17
4032 ‘전화·문자금융사기’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3.10.25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