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흡연자들이 국가가 제공하는 다양한 금연지원서비스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금연지원서비스를 안내하는 홍보영상을 2월 19일(화)부터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홍보영상은 자신의 흡연상황에 따른 차별화된 금연지원서비스를 안내함으로써 흡연자가 금연을 적극 시도할 수 있도록 하고, 금연지원서비스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제작되었다.

초반부에는 흡연자에게 ‘실패해도 괜찮아‘, ’도와줄게 우리가‘ 등 응원의 말(메시지)로 금연을 시작하도록 격려하고, 후반부에 다양한 금연지원서비스*를 소개하여 금연을 계속하도록 돕는다.

* 금연상담전화, 보건소 금연클리닉, 병의원 금연치료, 찾아가는 금연서비스, 금연캠프 등

(금연상담전화) 흡연사실의 노출을 꺼리거나, 시간적 여유가 없어 보건소, 병의원 등 치료기관에 방문하기 어려운 흡연자를 대상으로 전화상담, 문자메시지, 이메일 등 다양한 경로로 상담서비스를 제공한다.

금연상담전화(☏1544-9030)는 전문 금연상담사와 1:1 상담을 통해 개개인의 흡연특성과 금연동기를 고려한 금연프로그램(7일, 30일, 100일, 1년)을 운영하고 있으며, 운영시간은 평일 09시~22시, 주말 09시~18시이다.

(보건소 금연클리닉) 전국 254개 보건소에서 흡연자를 대상으로 6개월 동안 상담과 행동요법 및 약물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보건소 금연클리닉은 흡연자에게 6개월간 9차례 이상 금연상담 서비스, 일산화탄소 측정, 다양한 금연행동요법, 니코틴 보조제(니코틴 패치 및 껌), 금연치료제(부프로피온, 바레니클렌) 및 6개월 금연성공 기념품을 제공한다.

청소년은 물론 주민등록상 지역 주민이 아닌 경우에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병의원 금연치료) 병의원에서 8~12주 동안 6회 이내의 전문상담과 금연치료 의약품 또는 금연보조제(니코틴패치, 껌, 정제)를 제공한다.

모든 비용은 무료(1~2회차는 본인부담금 20% 발생하나 프로그램 이수 시 전액 환불), 운영시간은 평일 오전 9시~18시이다. 금연치료기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에서 확인 가능하다.

(찾아가는 금연서비스) 전국 17개 지역금연지원센터에서 위기청소년, 여성, 대학생, 장애인 등 기존 금연지원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흡연자들을 대상으로 직접 찾아가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흡연자가 있는 단체나 기관*에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6개월 간 9회에 걸쳐 방문 및 전화 상담이 이루어지며 호기 일산화탄소(CO) 측정**, 금연보조제(위기청소년은 제외), 행동강화 물품*** 등을 제공한다.

* 대학생, 여성, 장애인 및 소규모사업장 근로자 5~20인 기준

** 내쉰 숨 속에 있는 일산화탄소(CO)를 측정하여 흡연여부 및 혈중 내 일산화탄소 농도 파악

*** 금단증상이나 흡연갈망이 발생할 경우, 그런 증상을 완화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물품(예: 칫솔, 치약, 은단, 비타민, 지압봉 등)

(금연캠프) 전국 17개 지역금연지원센터는 전문 금연치료 및 심리 상담을 제공하는 합숙형 금연서비스를 제공하며, 중증고도흡연자*는 전문치료형(4박5일) 금연캠프를, 중증이 아닌 일반흡연자는 일반지원형(1박2일) 금연캠프를 이용할 수 있다.

* 중증·고도흡연자 : 20년 이상의 흡연력이 있고, 2회 이상 금연실패 경험자, 흡연 관련 질병(폐암, 후두암, 협심증, 뇌졸중 등)이 있는 자.

전문치료형 금연캠프에서는 금연상담 및 교육, 건강검진, 운동프로그램, 집중심리상담, 니코틴보조제 또는 금연치료제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금연캠프 수료 후에도 6개월 간 금연상담 등을 계속 실시하고, 6개월 후까지 금연성공자께는 성공기념품을 증정한다.

일반지원형 금연캠프에서는 1박2일간 집중 상담, 금연 전문교육, 스트레스 관리 등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료 후 6개월 간 보건소, 병의원, 금연상담전화 등 서비스 연계를 통한 사후관리가 진행된다.

이번 홍보영상은 2월 19일부터 3월 18일까지 지상파, 유튜브, 페이스북 등 온라인 매체, 각 보건소 및 지역금연지원센터 등에서 만나볼 수 있다.

보건복지부 정영기 건강증진과장은 “금연상담전화, 보건소 금연클리닉(진료실), 병의원 금연치료, 찾아가는 금연서비스, 금연캠프 등 정부에서 다양한 금연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면서,

“개인뿐만 아니라 종업원의 금연을 희망하는 회사 및 단체 등에서도 상황에 맞는 국가금연지원서비스를 적극 이용하여 금연문화 확산에 참여해주시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2019-02-2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951 금감원, 온라인 결제서비스 '삼성페이' 보안성심의 완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04 132
8950 금감원, 자금세탁방지 점검 강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4.08 95
8949 금감원, 카드사의 취약계층에 대한 무분별한 압류관행 근절시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28 121
8948 금감원,「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조직적이고 지능적인 자동차보험사기 대거 적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8.28 42
8947 금감원,서울시,6개 주요은행, 손잡고 금융사기 예방 나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6 41
8946 금감원-경찰청 '금융사기 근절' 협력 성과 및 향후 대응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7 80
8945 금감원-대부금융협회, 무등록 대부업체 발 못 붙이게 대출중개사이트 개선키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4.26 193
8944 금감원-영화 '함정' 보이스피싱 예방 공동 캠페인 실시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20 137
8943 금감원을 사칭하는 가짜 이메일 피싱(Email-phishing)에 주의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12 63
8942 금감원이 적발한 허위-과다입원 나이롱 환자 분석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2.24 132
8941 금년 12월 4일부터는 '통합연금포털'에서 우체국 연금정보도 확인 가능합니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2.04 104
8940 금년 6월 22일부터 여권 분실신고 즉시 여권 효력 상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0 50
8939 금년 7월, 틀니, 치과임플란트 만 70세 이상으로 확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5.22 83
8938 금년 상반기 온라인 해외구매 소비자불만 전년 대비 65.7%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04 41
8937 금년 여름부터 안전기준을 적용한 전기 모기채 구매 가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30 61
Board Pagination Prev 1 ...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