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버려진 공간, 주민이 원하는 공간으로 직접 바꾼다
- 행안부,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사업에 총 173.4억 원 투입 -

쓰지 않거나, 사용하고 있지만 제대로 활용되지 않는 지자체 소유의 유휴‧저활용 공간을,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주민 플랫폼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주민 권한이 강화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옛 주민센터와 동네창고, 폐교 등 비어있는 공공 공간을 마을도서관이나 공유사무실 등 지역 주민의 삶을 변화시키는 공간으로 직접 기획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사업’을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이 사업은 저출산‧고령화, 고용위기 등 지역문제 해결을 위해 공공의 유휴·저활용 공간을 주민주도 참여공간으로 조성하여 활력을 잃은 지역 주민들의 삶을 변화(재설계)시키는 공간 활성화를 목적으로 한다.

행안부는 본격 시행에 앞서 지난해 공모사업을 통해 강원도 동해시와 부산시 동래구, 경기도 시흥시, 서울시 금천구 등 4곳을 선정하고, 이 곳에 공유 도서관과 마을민주주의 플랫폼 등 시민들이 참여하는 공간 활성화 사업을 시범적으로 펼쳐 상반기 중 운영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지자체 주도로 공간을 먼저 개선한 후 시민에게 개방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시민이 사업초기부터 직접 참여해 공간 활용 계획을 세우고 공간 조성과 운영의 권한을 주민에게 부여해 주민이 체감하도록 추진된다.

행안부는 지방분권시대를 맞아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로 편성하여 각 시·도의 지역 특성에 맞는 사업을 자율적으로 추진하고, 초년도의 사업정착을 위해 정부가 5.1억 원, 17개 시도별로 최소 5.1억 원 이상을 지원하는 등 173.4억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8개 시도의 9개 사업에 대해, 전문가 자문, 현장 방문 등을 통해 20일 1차로 보조금을 교부하며, 나머지 9개 시‧도에 대해서도 사업 계획을 조속히 보완하여 1분기 중 보조금을 교부할 계획이다.

시‧도별 건축공사 대부분은 올해 또는 내년까지 마무리되며, 주민들은 빠르면 올 하반기부터 이 공간에서 취․창업, 문화, 봉사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수 있게 된다.

이번에 보조금을 교부받은 시도는 서울, 부산, 세종, 경기, 충북, 전북, 경남, 제주 등이다.

먼저, 서울특별시는 고령인구가 가장 많은 강북구에 청년들의 소통과 관계망 구축을 위한 청년 활력공간을 조성하여 청년들이 스스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한다.

부산광역시는 급경사 지역에 위치하여 반찬 등 생활필수품 구매에 어려움을 겪는 감천마을에, 생필품을 구하거나 지역공동체가 자유롭게 지역문제를 논의할 수 있는 ‘감내 행복나눔센터’를 마련한다.

상대적으로 저소득층 밀집지역인 광안3동에 수영구의 6대 우물 중 하나를 복원하여 지역 노인을 돌보고 낙후 지역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먼물샘 공유센터’를 조성한다.

세종특별자치시는 공공 부문만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신생 도시 지역의 문제를 지역 혁신활동가와 주민의 참여를 통해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회혁신센터를 마련한다.

경기도는 주민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하여 문화를 향유할 기회가 적은 주민들에게 문화체험 기회를 증진하고, 지역 농산물을 홍보 및 판매하는 주민문화공간을 평택시에 조성한다.

충북도는 농촌이면서 옥천군내 청년인구가 집중된 옥천읍에 주민들의 만남과 소통 등을 지역공동체가 적극 나서서 활동할 수 있는 공동체허브 활동공간(일명 ‘누구나’)을 마련한다.

전북도는 일반 노동시장에 진입이 어려운 사람들을 대상으로 근로 기회를 제공하여 자활기반을 조성할 수 있도록 자활사업 운영 복합공간을 조성한다.

경남도는 도 단위 공익활동을 지원하는 구심점이 필요하다는 각계의 제언을 수용하여 창원시에 시민사회 주도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간을 조성하고, 경남형 지역혁신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관광객 등 유동인구가 많은 한림지역의 상가에 전시, 공연 등 문화혜택을 제공하고, 주민과 관광객이 쉴 수 있는 생활문화 활성화 공간을 조성한다.

행정안전부는 사업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전문가 상담·컨설팅을 지원하고, 각 시·도의 성과를 공유할 수 있는 워크숍을 개최하는 한편, 사업 평가 등을 통해 사업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김현기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분권실장은 “인구소멸과 저성장시대를 맞아 정부의 힘만으로 풀 수 없는 난제들이 늘어나고 있다.”라며, “문제해결의 당사자인 주민들이 직접 참여해 공유 공간을 확대해 나감으로써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19-02-1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15 65세 이상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사전예약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8 38
3214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 이용자 안전관리 및 서비스 운영 미흡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8 60
3213 국민권익위, “본인명의 휴대전화 없으면 재난지원금 신청 어려워...방법 개선해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33
3212 버팀목 전세대출 이용이 편리해집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44
3211 10월부터 불법이륜차 및 교통법규 위반 집중단속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43
3210 등산화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40
3209 식약처, '농산물 직매장' 유통 농산물 수거.검사 결과 발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42
3208 일회용 폴리스티렌(PS) 용기 안심하고 사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105
3207 식약처, 식품 등 온라인 중고거래 점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68
3206 먼저 해결하고 싶은 생활 속 불편 규제, 국민이 뽑아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29 56
3205 국민권익위, “신고자 보호ㆍ보상 대폭 강화” 청탁금지법 개정안 29일 국회 정무위 통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30 53
3204 10월 1일부터 연말까지 화물차 불법증차 및 안전관리 실태 집중점검 실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30 53
3203 반려동물 유기 최소화하고 구조·보호를 대폭 강화한다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30 66
3202 마이데이터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고,중소 마이데이터 사업자의 부담을 경감하였습니다.(신용정보업감독규정 일부개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30 56
3201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의약품 정보를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30 47
Board Pagination Prev 1 ... 707 708 709 710 711 712 713 714 715 716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