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안전사고도 급증하고 있으나, 이용자 대부분이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고, 정해진 주행공간도 지키지 않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200명) 및 이용 실태조사(50명) 결과로 밝혀졌다.

* 전동킥보드, 전동이륜평행차, 전동외륜보드, 전동이륜보드

◎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이용자 92% 보호장비 착용 안해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이용자 대부분이 안전모와 같은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아 안전사고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이용 실태조사 결과, 이용자 50명 중 46명(92.0%)이 보호장비를 전혀 착용하지 않았고, 설문조사에서도 보호장비를 항상 착용하는 이용자는 200명 중 53명(26.5%)에 불과했으며, 54명(27.0%)은 보호장비를 아예 가지고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운행 시에는 인명보호장구(승차용 안전모)를 착용해야 하며(도로교통법 제50조3항 및 동법 시행규칙 제32조), 위반시 20만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 과료에 처함(도로교통법 제156조제6호)

그럼에도 이용자 대부분은 보호장비 미착용의 위험성(190명, 95.0%) 및 착용 규제의 필요성(149명, 74.5%)에는 공감하고 있었다.

* 최근 3년(2016.1~2018.12)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관련 위해사례는 695건이 접수됐으며, 피해자 상당수는 ‘머리 및 얼굴’(311건 중 123건, 39.5%)을 다친 것으로 나타남.

* ‘경찰청’에 따르면 2017년에만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사고로 4명이 숨짐.

◎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주행공간 현실화해야

현재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의 주행공간은 차도로 규정되어 있으나, 설문조사 결과 주로 공원, 대학캠퍼스, 아파트 단지 등 `도로 이외 장소'(139명, 69.5%)나 `자전거도로'(136명, 68.0%)에서의 이용이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의 안전한 이용을 위해서는 주행공간 개선(135명, 67.5%)이 시급하며, 가장 안전한 주행공간으로 `자전거도로'(95명, 47.5%)를 꼽았다.

최근 공원에서도 제한적 이용이 가능하도록 관련법*이 개정(2018.12.11.)되었으나 자전거도로 등은 여전히 제한ㆍ금지되어 있어, 주행공간 현실화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제50조제5호나목)

한편 싱가포르ㆍ네덜란드ㆍ스웨덴 등에서는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의 자전거도로 이용을 허용하고 있다.

◎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 강화 등 관리방안 마련 필요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이용자 200명 중 46명(23.0%)이 실제 안전사고를 경험해 발생 빈도가 높았으나 대부분(156명, 78.0%)이 관련 안전교육을 받은 적이 없었다.

또한 운전면허*를 보유해야만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운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84명, 42.0%) 등 관련 규정에 대한 인식도 낮아 안전교육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사고 사례] 무면허 운전자 전동킥보드에 치인 보행자, 뇌출혈로 사망(2018.9.)

한편 이용자의 절대 다수(188명, 94.0%)가 보험가입의 필요성에 동의하였으나 실제로는 대부분(154명, 77.0%)이 가입하지 않고 있어, 사고 발생 시 원활한 사후처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와 달리 독일ㆍ네덜란드ㆍ스웨덴ㆍ일본 등에서는 도로 주행 시 일반 차량과 마찬가지로 보험 가입을 의무화하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관계 부처에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주행공간 개정(자전거도로 주행 허용 등) ▲전동형 개인 이동수단 안전 관리·감독 강화(보호장비 착용 규제 등) ▲이용자 안전교육 강화 등을 요청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02-1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13 향료 HICC 성분 존재해 알러지 위험으로 리콜된 Orlane 세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3 2022.12.07
3212 가맹사업거래 분쟁 및 피해 예방을 위한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2.12.07
3211 허용치 초과 에틸렌옥사이드 함유해 리콜된 Now Foods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1 2022.12.06
3210 벤젠 검출된 Bed Head 드라이 샴푸(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8 2022.12.06
3209 벤젠 검출된 Bed Head 드라이 샴푸(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2.12.06
3208 뚜껑 밀봉 미흡해 부패로 인한 건강위험 있어 리콜된 Similac 액상분유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 2022.12.06
3207 금속 입자 혼입 가능성 있어 리콜된 Apoday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2.06
3206 에틸렌옥사이드 농약 함유돼 건강위험으로 리콜된 Mi Sedaap 라면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0 2022.12.06
3205 손가락 끼임사고 위험 있는 유아용 자전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1 2022.12.06
3204 안전기준 미달 Punisher 자전거 안전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2.06
3203 날 분리 위험 있는 잔디깎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5 2022.12.06
3202 잠금장치 불량인 제트스키 승객용 좌석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12.06
3201 부품결함 있는 다이빙 부력조절용 쟈켓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4 2022.12.06
3200 화재 발생 시 대피는 이렇게 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6 2022.12.05
3199 SK가전 스토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6 2022.12.05
3198 ‘벤스가구’ A/S·배송 지연으로 인한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 2022.12.02
3197 국민신문고 사칭 이메일 주의 당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2.02
3196 홈플러스가전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7 2022.11.29
3195 "겨울철 전열기 사용 시 화재·화상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0 2022.11.28
3194 피해다발업체/뷰티히어로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3 2022.11.24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