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해외에서 안전 문제로 리콜된 제품이 국내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유통·판매되고 있어, 제품 구입 시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해외에서 리콜된 132개 제품의 국내 유통·판매 차단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2018년 한 해 동안 유럽·캐나다·미국 등 해외에서 리콜된 결함·불량제품의 국내 유통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총 132개 제품*에 대해 판매차단·무상수리·교환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시정 권고했다.

* ’17년 106개 제품 대비 24.5% 증가

132개 제품 중 국내 공식 수입·유통업자가 판매하는 ATV, 승차식 잔디깎이 등 11개 제품은 사업자의 자발적인 교환 및 환급·무상수리가 이루어졌다. 그 외 국내 공식 수입·유통업자가 판매하지 않거나 유통경로 확인이 어려운 121개 제품은 통신판매중개업자 정례협의체* 등을 통해 판매게시물을 삭제하거나 판매 차단 조치했다.

* 온라인 유통 제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한국소비자원과 네이버(쇼핑), SK플래닛(11번가), 이베이코리아(옥션, 지마켓), 인터파크(쇼핑), 쿠팡 등 5개사가 참여

◎ ‘중국 생산 제품’, ‘아동·유아용품’ 시정조치 가장 많아

시정조치된 132개 제품 중 제조국 정보가 확인되는 87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이 35개(40.2%)로 가장 많았고, 미국 생산 제품이 23개(26.4%)로 뒤를 이었다.

* 제조국 미상 또는 정보 미기재 등으로 제조국(원산지) 확인 불가한 45개 제품 제외

품목별로는 ‘아동·유아용품’이 38개(28.8%)로 가장 많았고, ‘음·식료품’ 24개(18.2%), ‘화장품’ 21개(15.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유아용품’의 경우 완구 부품 삼킴 등의 우려로 시정조치된 사례가 51.3%로 가장 많아 작은 부품이나 자석을 포함한 완구 등에 대한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부상 : 제품 파손 등으로 인한 신체의 외적 상해(열상, 낙상 등)

** 기타 : 알레르기·화재 위험

◎ 판매차단 조치한 해외리콜 제품의 재유통 여부 모니터링 강화

해외리콜 제품은 글로벌 온라인 유통사를 통해 유통·판매되는 특성상 이미 판매가 차단되었더라도 다시 유통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기존에 판매를 차단한 제품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유사·동일 제품의 재유통 여부를 확인하고 추가 조치하는 등 사후감시를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을 구매하지 않도록 해외직구나 구매대행 시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www.ciss.go.kr)* 또는 열린 소비자포털 행복드림(www.consumer.go.kr)**에서 해외제품 리콜정보를 확인할 것을 소비자에게 당부했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www.ciss.go.kr) 홈페이지, ‘안전이슈 - 위해정보처리속보’

** 행복드림(www.consumer.go.kr) 홈페이지, ‘상품안전정보 - 위해정보처리속보’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은 통신판매중개업자·TV홈쇼핑·대형마트 등 다양한 유통업체 사업자 정례협의체를 통해 해외에서 리콜된 결함·불량제품의 국내 유통차단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 한국소비자원 2019-02-1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80 따뜻하고, 스마트한 차세대 복지정보 시스템 구축 추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02 25
6079 디지털성범죄물 삭제요청이 어렵다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12.28 12
6078 디지털성범죄 예방법 알고 싶다면 ‘디클’ 접속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5 14
6077 디지털 증거물 위·변조 원천 봉쇄한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1.13 88
6076 디지털 음원서비스, 고객 유인 할인행사에 주의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02 78
6075 디지털 운행기록장치, 무상으로 점검 해드립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6.26 42
6074 디지털 신호로 위험상황 알려주는 똑똑한 가로등 만든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4.01 11
6073 디지털 성범죄, “처벌은 무겁게, 보호는 철저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23 38
6072 디지털 성범죄 예방을 위한 7가지 안전수칙 제안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4.08 8
6071 디지털 성범죄 남성 피해자 지원 수, 전년 대비 2배로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4.04 6
6070 디지털 민원서비스 일상화하고, 디지털 취약계층 지원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11.17 7
6069 디지털 뉴딜, 온라인거래도 공공데이터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29 13
6068 디지털 관광주민증으로 할인받으면서 여행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6.10 6
6067 디지털 게임 국제거래 소비자 불만 전년 대비 11.3% 증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2.06.14 338
6066 디부틸프탈레이트 기준 초과 수입 머그컵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3 50
Board Pagination Prev 1 ...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524 525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