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국민 생활 속에 뿌리내린 전자정부
- 행안부, 2018년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실태 조사결과 발표 -

2018년 한 해 동안 우리 국민 10명(만 16세~74세)중 9명 정도(87.5%)가 전자정부 서비스를 이용했고, 이용 국민의 97.2%가 서비스에 만족했으며, 정부 관련 정보검색 및 민원신청·교부 서비스를 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8년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실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전자정부서비스 인지도·이용률 및 만족도’가 6년 연속 상승하였고, ‘인터넷·모바일 등 전자정부서비스 이용비중(56.6%)’이 ‘직접방문(40.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정부서비스 인지도’는 전년 대비 1.8%p 상승하여 92.5%였고, 특히 만 16세~49세 연령층에서 인지도는 99%이상으로 높았으며, 만 60~74세 고령층 인지도도 전년대비 4.6%p 높게 나와 전 연령대별 가장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이용자의 53.3%는 지인을 통해서 전자정부서비스를 알게 됐고, 41.9%는 인터넷 직접검색으로, 39.7%는 관공서 직원을 통해 인지했다고 답했다.

‘전자정부서비스 이용률’은 전년 대비 0.8%p 상승하여 87.5%였으며, 이들 대부분(98.8%)이 향후에도 계속 이용할 의향이 있고 96.1%는 주위 사람들에게 이용을 추천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90.9%는 정부 관련 정보검색 및 조회, 90.4%는 행정‧민원처리를 목적으로 전자정부서비스를 이용한다고 답했다.

또한, 자주 이용하는 전자정부서비스로는 경제‧활동 분야에서 국세청 홈택스(85.2%), 생활‧여가 분야에서 기상청 날씨정보(73.4%) 공공·민원 분야에서 정부24(72.6%)로 확인되었다.

‘전자정부서비스 만족도’는 전년 대비 0.6%p가 상승하여 97.2%였으며, 전 연령층에서 90%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만족하는 사유로는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어서(63.0%)’, ‘편리한 시간과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어서(61.3%)’, ‘필요한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서(40.9%)’ 등이었다.

‘모바일서비스 이용률과 만족도’는 각각 78.8%, 93.9%로 전년 대비 상승(0.8%p, 0.1%p)하였다.

주 이용목적과 이용분야는 정부 관련 정보검색 및 조회(93.8%), 도로명주소/새주소 찾기(83.1%)였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최근 5년간 모바일을 통한 민원처리가 크게 상승했다는 것이다(‘13년 4.1%→’18년 62.1%).

이번 조사에서 추가적으로 조사한 ‘인공지능을 도입한 전자정부서비스’의 이용의향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자의 91.4%가 이용하겠다고 답했으며, 이용방법으로는 스마트폰(63.8%), AI(인공지능)스피커(35.6%)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이버, 페이스북의 민간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로그인 정보를 활용해 전자정부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81.3%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한편, 이번 조사결과, 향후 전자정부서비스의 지속적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고령층의 관심 증대, 개인정보보호 강화, 인증절차 개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령층(만 60세~74세)의 경우 인지도(67.0%)와 이용률(58.1%)에 비해 이용만족도(93.4%)가 높아 고령층을 대상으로 보다 홍보를 강화하고 쉽고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이용방법 교육 등을 확대하여 이용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중단 사유로는 개인정보 유출 우려, 인증절차가 복잡하다는 의견이 높게 나와 향후 개인정보보호 홍보 강화, 인증절차 간소화, 공인인증절차 개선 등을 추진함으로써 전자정부서비스 이용과정에서의 우려나 불편사항을 줄여나갈 예정이다.

윤종인 행정안전부 차관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지능정보기술을 전자정부서비스에 도입하여 지능형 서비스로 도약함으로써, 디지털 약자,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더욱 더 편리하고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한층 더 국민 눈높이에 맞춘 전자정부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 라고 밝혔다.



[ 행정안전부 2019-02-10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30 급증하는 대장암 환자, 치료 잘 하는 병원 찾아 드려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7 55
5029 2017년 2월 생필품 가격동향 분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3 55
5028 행복드림 열린소비자포털 1단계 서비스 정식 개통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1 55
5027 고혈압·당뇨병, 동네의원 정해놓고 진료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55
5026 ‘간이역이 있는 농촌’으로 떠나는 농촌 테마 여행코스 선정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55
5025 1381 인증표준콜센터, 시장진출을 위해 기업과 함께 뛴 3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8 55
5024 2월 항공여객 884만 명…전년 동월 대비 8.7% 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29 55
5023 아플라톡신 기준 초과 검출 ‘땅콩’ 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6 55
5022 모든 부동산 거래는 전자계약으로 우대금리 받으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1 55
5021 건강한 사람을 위한 보험료 할인특약 가입 활성화 방안(제3차 국민체감 20大 금융관행 개혁 과제 (5)추진계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2 55
5020 연내 푸드트럭 600대 이상 운영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14 55
5019 3월 주택 인·허가 5.2만호, 분양승인은 3.5만호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7 55
5018 유통구조 및 마진 개선방안 모색 토론회 결과 보도자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28 55
5017 설 성수식품에 대한 전국 일제 합동점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2 55
5016 「고령자-유병자-장애인-외국인 등을 위한 금융서비스 개선」추진실적 및 향후계획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06 55
Board Pagination Prev 1 ...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 921 Next
/ 9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