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한랭질환자 열명 중 네명은 노년층에서 발생
◇ 전년대비 한랭질환자는 줄었지만, 사망자는 늘어
◇ 갑작스런 한파에 실외활동 자제 및 건강수칙 준수해야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이번 겨울「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운영 결과 현재까지(2018.12.1.~2019.2.6.) 한랭질환자는 320명이고 이 중 사망자는 11명이 신고 되었다고 밝혔다.
※ 한랭질환자 및 사망자는 응급실감시체계에 참여한 500여개 의료기관로부터 신고된 수치임

○ 한랭질환자의 43%, 사망자의 55%가 65세 이상 노년층으로 갑작스런 한파 시 특히 노년층은 한랭질환에 각별히 주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한랭질환: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질환으로 저체온증과 동상이 대표적이며, 특히 저체온증은 체온이 35℃이하로 떨어져 정상체온을 유지하지 못하는 중증질환으로 주의가 필요

□ 전년 동기간 대비 한랭질환자는 약 40% 감소했으나 사망자는 9명에서 11명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17-’18년 동기간(’17.12.1.∼’18.2.6.) 한랭질환자 수: 535명(사망자 9명 포함)

○ 전일 대비 기온이 크게 떨어지는 한파 시에 한랭질환자가 증가했고, 기온 낙폭이 컸던 12월 초순에 사망자가 집중발생(55%, 6명)하였다.

○ 한랭질환자 320명 중 78%는 길가나 집주변과 같은 실외에서 발생하였고, 35%는 음주상태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 한랭질환 사망자 11명의 사망원인은 모두 저체온증으로 추정되며, 남자 7명(성별), 무직 9명(직업별), 실외 발생 6명(발생장소별)으로 높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고 특히, 인지장애 또는 음주상태였던 경우가 55%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한랭질환은 심각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지만 건강수칙을 잘 지키는 것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므로 한파 시 내복‧장갑‧목도리‧모자 등으로 따뜻하게 몸을 보호하는 등 「한파대비 건강수칙」을 준수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 특히 고령자와 어린이는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 유지에 취약하므로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보온에 신경써야 하고,

- 만성질환(심뇌혈관질환, 당뇨, 고혈압 등)이 있는 경우에는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등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위에 갑자기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 또한, 술을 마시는 경우 신체는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만 추위를 인지하지 못하여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하도록 해야 한다.

○ 아울러 저체온증은 응급상황이므로 발생 즉시 병원에 내원해야 하며, 적절한 조치가 없으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관심과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추위와 같이 앞으로도 갑작스런 추위가 있을 수 있으므로 한파특보 등 기상예보에 주의를 기울이고, 한파에 특히 취약한 독거노인, 인지장애가 있는 노인, 음주자, 노숙인에 대해 개인의 주의와 가족, 이웃, 지자체의 각별한 관심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2019-02-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973 이상운전 시험 시 기준온도 초과한 우진테크 발 보온기 교환 및 환불 조치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4.03.21
3972 감전 위험 있는 USB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 2024.03.27
3971 단추형 전지 노출로 부상 및 질식 위험 있는 LED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2.07.19
3970 전동킥보드 화재! 예방이 최선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3.08.24
3969 잔류농약 기준 초과 검출된 수입 '목이버섯'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3.09.14
3968 감전 위험 있는 LDNIO 멀티탭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3.11.16
3967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시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3.11.20
3966 카카오톡 고객센터 사칭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3.12.12
3965 높은 수준의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를 함유한 Zwergenwiese 토마토 소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3.12.20
3964 납 성분 과다 함유된 Creativity Street 단추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4.01.04
3963 감전 우려 있는 닌텐도(NINTENDO) 게임기 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4.01.04
3962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오션 블루)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4.02.16
3961 과다한 착색제 함유된 레모네이드 음료(파라다이스 펀치)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4.02.16
3960 과도한 농도의 유해물질 함유된 손가락 물감 판매차단 안내(2)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4.03.13
3959 독성 식물로 확인된 테호코테(Tejocote) 다이어트 보조제(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4.03.15
3958 대마성분 함유 젤리·사탕, 이런 해외직구식품 구매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 2024.03.25
3957 부착 지점 미흡으로 아이가 떨어질 위험이 있는 Ainomi 아기 캐리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08.18
3956 화장품이 지방을 분해?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08.29
3955 해외 유명 주얼리 브랜드 사칭해 판매하는 해외쇼핑몰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08.30
3954 감전 위험 있는 멀티탭(브랜드 미상)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 2023.09.18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217 Next
/ 21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