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한랭질환자 열명 중 네명은 노년층에서 발생
◇ 전년대비 한랭질환자는 줄었지만, 사망자는 늘어
◇ 갑작스런 한파에 실외활동 자제 및 건강수칙 준수해야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이번 겨울「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운영 결과 현재까지(2018.12.1.~2019.2.6.) 한랭질환자는 320명이고 이 중 사망자는 11명이 신고 되었다고 밝혔다.
※ 한랭질환자 및 사망자는 응급실감시체계에 참여한 500여개 의료기관로부터 신고된 수치임

○ 한랭질환자의 43%, 사망자의 55%가 65세 이상 노년층으로 갑작스런 한파 시 특히 노년층은 한랭질환에 각별히 주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한랭질환: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질환으로 저체온증과 동상이 대표적이며, 특히 저체온증은 체온이 35℃이하로 떨어져 정상체온을 유지하지 못하는 중증질환으로 주의가 필요

□ 전년 동기간 대비 한랭질환자는 약 40% 감소했으나 사망자는 9명에서 11명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17-’18년 동기간(’17.12.1.∼’18.2.6.) 한랭질환자 수: 535명(사망자 9명 포함)

○ 전일 대비 기온이 크게 떨어지는 한파 시에 한랭질환자가 증가했고, 기온 낙폭이 컸던 12월 초순에 사망자가 집중발생(55%, 6명)하였다.

○ 한랭질환자 320명 중 78%는 길가나 집주변과 같은 실외에서 발생하였고, 35%는 음주상태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 한랭질환 사망자 11명의 사망원인은 모두 저체온증으로 추정되며, 남자 7명(성별), 무직 9명(직업별), 실외 발생 6명(발생장소별)으로 높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고 특히, 인지장애 또는 음주상태였던 경우가 55%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한랭질환은 심각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지만 건강수칙을 잘 지키는 것으로도 예방이 가능하므로 한파 시 내복‧장갑‧목도리‧모자 등으로 따뜻하게 몸을 보호하는 등 「한파대비 건강수칙」을 준수하여 줄 것을 당부하였다.

○ 특히 고령자와 어린이는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 유지에 취약하므로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보온에 신경써야 하고,

- 만성질환(심뇌혈관질환, 당뇨, 고혈압 등)이 있는 경우에는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등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위에 갑자기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 또한, 술을 마시는 경우 신체는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만 추위를 인지하지 못하여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 시에는 과음을 피하고 절주하도록 해야 한다.

○ 아울러 저체온증은 응급상황이므로 발생 즉시 병원에 내원해야 하며, 적절한 조치가 없으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관심과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추위와 같이 앞으로도 갑작스런 추위가 있을 수 있으므로 한파특보 등 기상예보에 주의를 기울이고, 한파에 특히 취약한 독거노인, 인지장애가 있는 노인, 음주자, 노숙인에 대해 개인의 주의와 가족, 이웃, 지자체의 각별한 관심을 당부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2019-02-0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151 Boosted Dual+ 전동스케이트보드 판매중지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84 2017.06.02
4150 Boxer 유니콘 키우기(Grow a unicorn) 완구, 질식 및 장폐색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566 2017.10.23
4149 Boy Story LLC 인형, 삼킴으로 인한 질식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3 2019.01.31
4148 BRIO 유아용 딸랑이(Soft Hammer Rattle), 파손 위험으로 교환·환불 및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7.12.06
4147 Britax BOB 유모차(Jogging Strollers), 사용 중 앞바퀴 분리될 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9.11.04
4146 Britax社, B-Agile, BOB Motion 유모차 판매중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02 2017.04.07
4145 Bumble and Bumble 헤어 스프레이 11종, 오용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8 2017.12.06
4144 BUSSE Belton 승마용 신체 보호 장구 판매중지 안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605 2016.06.13
4143 B형 인플루엔자 유행 증가세, 지금이라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 2024.02.01
4142 California Basics 건강기능식품(Zero For Him),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이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8.03.21
4141 Camlink 카메라 삼각대(Flexible Foam Tripod), 유해물질 검출되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8 2018.04.12
4140 CAN-AM Outlander ATV, DPS 샤프트 파손으로 사고 위험 있어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823 2018.06.20
4139 Candyland 젤리, 견과류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9.04.11
4138 Cargo White 미백 크림(Lightning Beauty Cream), 피부염 유발 물질 검출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17.12.06
4137 Caro light 화장품, 피부자극성분 함유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19.07.22
4136 Caro White 미백 로션(Lightning Beauty Lotion), 피부염 유발 물질 검출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7.12.06
4135 Caro White 미백화장품(Lightening Beauty Cream),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7 2018.03.21
4134 Carotone 피부미백크림(Light & Natural brightening cream), 피부염 위험으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2 2018.12.05
4133 Christina 세럼 화장품(Forever Young (Absolute Fix - Expression-Line Reducing Serum)), 접촉성 피부염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3 2018.07.19
4132 Chuan Qi 훠궈용 소스 5종, 알레르기 유발 물질 미표기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7 2017.12.06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