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동북아시아 전반의 대기정체 속에 국외유입과 오염물질 축적으로 고농도 발생·지속, 이후 강한 2차 유입으로 최고농도 발생

  * 기상악화와 장시간 오염물질 축적으로 한국과 중국 모두 고농도가 강했던 사례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장윤석)은 1월 11일부터 15일까지 발생한 미세먼지(PM2.5) 고농도 발생 원인을 지상 관측자료, 기상 및 대기질 모델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고농도 사례는 '나쁨' 수준의 농도가 1월 11일부터 5일간 지속되며, 1월 12일 올해 첫 일평균 '매우나쁨'(75㎍/㎥ 초과) 수준의 강한 고농도 현상이었다.

특히, 1월 14일은 19개 예보권역 중 서울 등에서 2015년 미세먼지(PM2.5) 측정 이후 각각 지역별로 최고기록을 경신했다. 2015년 이후 역대 미세먼지(PM2.5) 측정 최고치는 2015년 10월 22일 전북에서 기록한 128㎍/㎥이나 경기북부에서 이날 131㎍/㎥을 기록하며, 이를 경신했다.

* 서울(129㎍/㎥), 인천(107㎍/㎥), 경기북부(131㎍/㎥), 경기남부(129㎍/㎥), 대전(94㎍/㎥), 세종(111㎍/㎥), 충북(123㎍/㎥)

국립환경과학원이 대기질 모델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번 사례는 국외 영향은 전국 기준 69∼82%로 평균 75%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2018년 11월 3~6일 사례의 경우 대기정체 하에서 국내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축적되면서 고농도 상태가 발생하였으며, 이 때 국외 영향은 18∼45%에 불과하여 국내외 기여도는 기상상황에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국외 영향 : 중국, 몽골, 북한 및 일본 등 포함

이번 고농도는 중국 산둥반도 및 북부지역에 위치한 고기압권 영향으로 인한 대기정체 상태에서 1월 10∼11일 1차 유입된 후, 13일 이후 북서풍 기류로 강한 국외 오염물질이 2차로 추가 유입되는 등 매우 이례적인 상황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북아시아 전반의 대기정체 속에 축적되었던 오염물질들이 10일 중국 산둥반도 부근 고기압의 영향으로 서풍기류가 형성되어 유입되고 서해상 기류 재순환에 의해 해소되지 못한 상태에서 13일부터 다시 중국 북부 고기압의 영향으로 국외 미세먼지가 추가 유입·축적되어 고농도 현상이 나타났다.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오염집중측정소 측정결과를 분석한 결과, 평상시 (1월 1~3일) 대비 이번 1월 11~15일의 황산염은 4.4(중부권)~8.7(백령도)배, 질산염은 3.8(중부권)~8.9(백령도)배 증가를 보였으며, 질산염과 황산염 모두 유입 후 지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 평상시 : (황산염) 1.0(영남권)~2.6(중부권)㎍/㎥, (질산염) 2.1(영남권)~4.5(수도권)㎍/㎥

11∼13일까지 수도권측정소의 질산염 농도는 평상시 4.5㎍/㎥ 대비 3.9배, 황산염은 평상시 1.8 ㎍/㎥ 대비 3.3배 증가한 반면, 2차 유입시기에는 질산염은 7.6배, 황산염은 11.9배 증가하여 2차 유입 시 더 큰 증가가 나타났다.  

위성을 활용한 에어로졸 광학두께(AOD*) 분석결과, 11~13일 한반도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미세먼지를 포함한 에어로졸이 많이 분포하였으며, 특히 12일과 14~15일은 전국적으로 고농도의 에어로졸이 관측되었다.

* AOD : 대기 중 에어로졸에 의해 빛이 산란 또는 흡수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대기 중 에어로졸이 많이 존재(고농도 미세먼지) 할수록 높은 값을 나타냄  

국립환경과학원은 이번 고농도는 한국과 중국 양국 모두 기상악화와 장시간 오염물질의 축적으로 고농도가 강했던 사례이므로 중국 측에 분석결과를 전달하는 등 연구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양국 간 조기경보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올해 2월 20일 일본에서 개최되는 한·중·일 정책대화 시 별도의 세션을 마련하여 미세먼지 예·경보 정보를 상호 공유하기 위한 실무협의를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 환경부 2019-02-0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40 자동차 리콜 소비자 불만, “바로 신고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30 38
6739 대학·학생·교육부, 2022년까지 대학 입학금 전면 폐지 합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9 38
6738 친환경차 충전소 도로점용료 50% 감면 · 1만원 미만 면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8 38
6737 ‘우리 마을에 깃든 이야기를 찾아 떠나는 농촌 여행 선정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7 38
6736 의료용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술 적용된 제품의 의료기기 해당 여부 구분 기준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4 38
6735 장애인연금! 이제 복지로 온라인으로도 신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4 38
6734 차(車)에 스노우 체인·접이식 삽 등 월동장비 비치할 때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4 38
6733 산불예방 위해 국립공원 일부 탐방로, 11월 15일부터 통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3 38
6732 제주도 제주시(하도리) 야생조류 분변에서 H5N2형 AI 바이러스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13 38
6731 11월은 종합소득세 중간예납 납부의 달입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8 38
6730 2017년 사회조사 결과(복지, 사회참여, 문화와 여가, 소득과 소비, 노동)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7 38
6729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일부개정법률안 국무회의 통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7 38
6728 벤츠, 폭스바겐, BMW, 기아, 토요타, 볼보 리콜실시(총 52개 차종 56,084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7 38
6727 2017년 10월 소비자물가 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01 38
6726 ‘18.2.8일부터 법정 최고금리가 24%로 인하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31 38
Board Pagination Prev 1 ...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