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설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 귀경‧귀성길 안전운전과 음식 조리 중 자리비우지 않기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설 명절을 맞이하여 교통사고와 화재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5년간(’13~’17년) 설 명절 전후*로 발생한 교통사고는 총 11,580건이며, 20,379명(사망 259명, 부상 20,120명)이 목숨을 잃거나 다쳤다.
* ’13.2.8∼2.11.(4일), ‘14.1.29 2.3.(5일), ’15.2.17∼2.22.(6일), ‘16.2.5∼2.10.(6일), ’17.1.26~1.30.(5일)

이러한 교통사고 중에서도 연휴 전날의 사고 건수는 670건(일평균)으로 연간 일평균(607건) 보다 더 많이 발생하였다.

사고 현황을 시간대별로 자세히 분석해 보면 연휴 전날과 첫날은 18시 전후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설날에는 14시에 가장 많았다.

명절에는 가족 단위의 차량 이동*이 늘기 때문에 교통사고 100건당 사상자가 176명으로 평소 153명 보다 많이(23명, 15%) 발생하였다.
* ‘17년 고속도로 교통량: 연간 일평균 4,347천대, 설날 5,190천대(한국도로공사)

또한,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 비율*도 평상시 보다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교통사고: 연간 10.32%, 설연휴 12.94%, 사상자: 연간 12.04%, 설연휴 15.11%

한편, 명절에는 음식 준비 등으로 화기 사용이 늘면서 화재 발생에도 주의해야 한다.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13~’17년) 설 명절* 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는 43건(일평균)으로 연간 일평균(31건) 보다 12건(39%) 더 많이 발생하였다.
*’13.2.9.∼2.11.(3일), ‘14.1.30.∼2.1.(3일), ’15.2.18.∼2.20.(3일), ‘16.2.7.∼2.9.(3일), ’17.1.27.~1.29.(3일)

화재 발생 원인은 음식물 조리나 화원방치 등으로 인한 부주의*가 463건(59%)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적 원인 151건(19%) 순이다.
* 음식물 조리중, 담배꽁초, 쓰레기 소각, 불씨, 불꽃 화원 방치 등(화재통계연감)

사고 없이 안전한 명절을 보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운전 중에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졸리거나 피곤할 때는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충분히 휴식을 취한 후에 운전한다.

차에 타면 전 좌석에 안전벨트 착용을 철저히 하고, 어린이는 반드시 체형에 맞는 카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특히, 음복 등으로 가볍게라도 음주를 했다면 절대 운전하지 말고, 반드시 술이 깬 후에 움직이도록 한다.

아울러, 고향으로 출발하기 2~3일 전에는 엔진, 제동장치 등 차량점검을 실시하고 타이어의 마모상태와 공기압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음식을 조리할 때는 주변 정리정돈에 유의하고, 특히 불을 켜 놓은 채 자리를 비우지 않도록 한다.
가스(전기)레인지 등을 사용 할 때는 연소기 가까이에 불이 옮겨 붙기 쉬운 가연성 물질은 멀리하고, 환기에 주의한다.

또한, 주방용 전기제품을 사용할 때 다른 전기용품과 문어발처럼 꽂아 쓰면 과열되어 위험하니 주의한다.

최근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예년(‘09~’18)에 비해 산불이 급증* 하고 있어, 성묘 등으로 산에 갈 때는 산불 발생에 각별히 주의해야한다.
* 1.1.~1.28. 산불 발생현황: 올해 90건(3.6배 증가), 예년(‘09~’18) 25건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을 맞아 평소보다 안전수칙을 더 잘 지켜, 안타까운 사고 없이 안전하고 평안한 설 명절 되시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9-01-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160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로 건강한 여름나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20.07.23
2159 승강기 사고 발생 시 이렇게 대응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18.07.03
2158 가족을 납치했다는 사기 전화에 침착하게 대응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3 2017.12.12
2157 금속성 이물 또는 유리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음료 가루(10)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2.02.14
2156 작은 부품 분리되어 질식의 위험 있는 Wooden puzzle 퍼즐 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2.02.09
2155 벤젠 검출된 Coppertone 자외선 차단 스프레이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1.12.21
2154 전국적 강추위 예상, 한랭질환을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1.12.17
2153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Lake Champlain Chocolates 초콜릿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1.03.18
2152 작은 부품 탈락해 삼킴 사고 위험 있는 Plan toys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1.02.01
2151 Satelite City 강력접착제, 어린이 보호포장 미비하여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20.05.21
2150 만성콩팥병 환자 중 건강한 비만 환자도 콩팥기능 악화될 위험 높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18.03.29
2149 감비아·세네갈 등 아프리카 위험지역 방문 시 리프트밸리열 감염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2 2018.01.26
2148 정책자금대출 빙자 보이스피싱 소비자경보 주의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3.02.08
2147 커버가 쉽게 제거되어 감전 및 화상 입을 가능성 있는 히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3.01.17
2146 고정장치 불량으로 분리되어 상해 위험있는 휴대용 Spark 오디오 무상수리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2.07.11
2145 학교 응급처치 교육, 실습 확대로 교육 실효성 높여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2.05.31
2144 발화 우려가 있는 칼텍 휴대용 살균탈취기(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2.03.14
2143 벤젠 검출된 SECRET 데오드란트(3)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2.02.09
2142 작은 부품 분리되어 질식의 위험 있는 Disney 주방놀이 세트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2.02.09
2141 벤젠 검출된 Old Spice 데오드란트(4)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1 2022.02.10
Board Pagination Prev 1 ...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