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설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 귀경‧귀성길 안전운전과 음식 조리 중 자리비우지 않기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설 명절을 맞이하여 교통사고와 화재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5년간(’13~’17년) 설 명절 전후*로 발생한 교통사고는 총 11,580건이며, 20,379명(사망 259명, 부상 20,120명)이 목숨을 잃거나 다쳤다.
* ’13.2.8∼2.11.(4일), ‘14.1.29 2.3.(5일), ’15.2.17∼2.22.(6일), ‘16.2.5∼2.10.(6일), ’17.1.26~1.30.(5일)

이러한 교통사고 중에서도 연휴 전날의 사고 건수는 670건(일평균)으로 연간 일평균(607건) 보다 더 많이 발생하였다.

사고 현황을 시간대별로 자세히 분석해 보면 연휴 전날과 첫날은 18시 전후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설날에는 14시에 가장 많았다.

명절에는 가족 단위의 차량 이동*이 늘기 때문에 교통사고 100건당 사상자가 176명으로 평소 153명 보다 많이(23명, 15%) 발생하였다.
* ‘17년 고속도로 교통량: 연간 일평균 4,347천대, 설날 5,190천대(한국도로공사)

또한,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 비율*도 평상시 보다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교통사고: 연간 10.32%, 설연휴 12.94%, 사상자: 연간 12.04%, 설연휴 15.11%

한편, 명절에는 음식 준비 등으로 화기 사용이 늘면서 화재 발생에도 주의해야 한다.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13~’17년) 설 명절* 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는 43건(일평균)으로 연간 일평균(31건) 보다 12건(39%) 더 많이 발생하였다.
*’13.2.9.∼2.11.(3일), ‘14.1.30.∼2.1.(3일), ’15.2.18.∼2.20.(3일), ‘16.2.7.∼2.9.(3일), ’17.1.27.~1.29.(3일)

화재 발생 원인은 음식물 조리나 화원방치 등으로 인한 부주의*가 463건(59%)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적 원인 151건(19%) 순이다.
* 음식물 조리중, 담배꽁초, 쓰레기 소각, 불씨, 불꽃 화원 방치 등(화재통계연감)

사고 없이 안전한 명절을 보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운전 중에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졸리거나 피곤할 때는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충분히 휴식을 취한 후에 운전한다.

차에 타면 전 좌석에 안전벨트 착용을 철저히 하고, 어린이는 반드시 체형에 맞는 카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특히, 음복 등으로 가볍게라도 음주를 했다면 절대 운전하지 말고, 반드시 술이 깬 후에 움직이도록 한다.

아울러, 고향으로 출발하기 2~3일 전에는 엔진, 제동장치 등 차량점검을 실시하고 타이어의 마모상태와 공기압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음식을 조리할 때는 주변 정리정돈에 유의하고, 특히 불을 켜 놓은 채 자리를 비우지 않도록 한다.
가스(전기)레인지 등을 사용 할 때는 연소기 가까이에 불이 옮겨 붙기 쉬운 가연성 물질은 멀리하고, 환기에 주의한다.

또한, 주방용 전기제품을 사용할 때 다른 전기용품과 문어발처럼 꽂아 쓰면 과열되어 위험하니 주의한다.

최근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예년(‘09~’18)에 비해 산불이 급증* 하고 있어, 성묘 등으로 산에 갈 때는 산불 발생에 각별히 주의해야한다.
* 1.1.~1.28. 산불 발생현황: 올해 90건(3.6배 증가), 예년(‘09~’18) 25건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을 맞아 평소보다 안전수칙을 더 잘 지켜, 안타까운 사고 없이 안전하고 평안한 설 명절 되시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9-01-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007 Achva 타히니 소스, 살모넬라균 오염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3 2019.01.31
» 설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2 2019.01.31
4005 해외직구 시 사기의심 사이트 거래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41 2019.02.01
4004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가 검출된 햄 회수 알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5 2019.02.07
4003 ALL-PRO 태양광 조명, 화재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11 2019.02.07
4002 Arnott's 비스켓, 알레르기 유발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1 2019.02.07
4001 Clairmen 화장품, 피부 자극 우려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19.02.07
4000 Collegiate 말안장, 사용자 낙상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2 2019.02.07
3999 CT+ 화장품, 피부염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5 2019.02.07
3998 Del Monte 통조림 옥수수, 세균 감염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2 2019.02.07
3997 Incharacter 영유아 코스튬, 화상 가능성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19.02.07
3996 King Arthur's Tools 원형 체인톱, 상해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94 2019.02.07
3995 Manhattan Toy 헝겊책, 떨어진 쇠고리 삼킬시 질식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9762 2019.02.07
3994 Medline 반창고, 곰팡이 발생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19.02.07
3993 MUJI 디저트, 곰팡이 발생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19.02.07
3992 My Baby 조명, 아동 삼킴사고 발생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19.02.07
3991 Nutrex 보조제, 미승인 성분 함유돼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8 2019.02.07
3990 Rock Empire 등반장비, 파손 가능성 및 부상 위험으로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8 2019.02.07
3989 S&W 통조림,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19.02.07
3988 Skip Hop 하이체어, 좌석 다리 분리 가능성으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5 2019.02.07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 258 Next
/ 25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