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설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 귀경‧귀성길 안전운전과 음식 조리 중 자리비우지 않기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설 명절을 맞이하여 교통사고와 화재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5년간(’13~’17년) 설 명절 전후*로 발생한 교통사고는 총 11,580건이며, 20,379명(사망 259명, 부상 20,120명)이 목숨을 잃거나 다쳤다.
* ’13.2.8∼2.11.(4일), ‘14.1.29 2.3.(5일), ’15.2.17∼2.22.(6일), ‘16.2.5∼2.10.(6일), ’17.1.26~1.30.(5일)

이러한 교통사고 중에서도 연휴 전날의 사고 건수는 670건(일평균)으로 연간 일평균(607건) 보다 더 많이 발생하였다.

사고 현황을 시간대별로 자세히 분석해 보면 연휴 전날과 첫날은 18시 전후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설날에는 14시에 가장 많았다.

명절에는 가족 단위의 차량 이동*이 늘기 때문에 교통사고 100건당 사상자가 176명으로 평소 153명 보다 많이(23명, 15%) 발생하였다.
* ‘17년 고속도로 교통량: 연간 일평균 4,347천대, 설날 5,190천대(한국도로공사)

또한,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 비율*도 평상시 보다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교통사고: 연간 10.32%, 설연휴 12.94%, 사상자: 연간 12.04%, 설연휴 15.11%

한편, 명절에는 음식 준비 등으로 화기 사용이 늘면서 화재 발생에도 주의해야 한다.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13~’17년) 설 명절* 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는 43건(일평균)으로 연간 일평균(31건) 보다 12건(39%) 더 많이 발생하였다.
*’13.2.9.∼2.11.(3일), ‘14.1.30.∼2.1.(3일), ’15.2.18.∼2.20.(3일), ‘16.2.7.∼2.9.(3일), ’17.1.27.~1.29.(3일)

화재 발생 원인은 음식물 조리나 화원방치 등으로 인한 부주의*가 463건(59%)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적 원인 151건(19%) 순이다.
* 음식물 조리중, 담배꽁초, 쓰레기 소각, 불씨, 불꽃 화원 방치 등(화재통계연감)

사고 없이 안전한 명절을 보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운전 중에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졸리거나 피곤할 때는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충분히 휴식을 취한 후에 운전한다.

차에 타면 전 좌석에 안전벨트 착용을 철저히 하고, 어린이는 반드시 체형에 맞는 카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특히, 음복 등으로 가볍게라도 음주를 했다면 절대 운전하지 말고, 반드시 술이 깬 후에 움직이도록 한다.

아울러, 고향으로 출발하기 2~3일 전에는 엔진, 제동장치 등 차량점검을 실시하고 타이어의 마모상태와 공기압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음식을 조리할 때는 주변 정리정돈에 유의하고, 특히 불을 켜 놓은 채 자리를 비우지 않도록 한다.
가스(전기)레인지 등을 사용 할 때는 연소기 가까이에 불이 옮겨 붙기 쉬운 가연성 물질은 멀리하고, 환기에 주의한다.

또한, 주방용 전기제품을 사용할 때 다른 전기용품과 문어발처럼 꽂아 쓰면 과열되어 위험하니 주의한다.

최근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예년(‘09~’18)에 비해 산불이 급증* 하고 있어, 성묘 등으로 산에 갈 때는 산불 발생에 각별히 주의해야한다.
* 1.1.~1.28. 산불 발생현황: 올해 90건(3.6배 증가), 예년(‘09~’18) 25건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을 맞아 평소보다 안전수칙을 더 잘 지켜, 안타까운 사고 없이 안전하고 평안한 설 명절 되시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9-01-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72 0∼1세 영아, 고데기 화상 사고 빈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1 2019.05.22
3071 허용외 타르색소 검출 태국산 수입 과실주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6 2019.05.23
3070 내가 사는 아파트 피난시설,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2 2019.05.23
3069 초여름 더위에 식중독 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3 2019.05.23
3068 국세청 사칭, 이메일에 속지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 2019.06.03
3067 살구씨 식품 섭취 시 시안화중독 사고 위험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1 2019.06.04
3066 식중독의 계절, 안전하고 건강하게 여름나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9 2019.06.05
3065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발생, 예방수칙 준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6 2019.06.07
3064 여름철 무더위 냉방기 화재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06.12
3063 삼성전자 빌트인 셰프컬렉션 냉장고 무상수리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72 2019.06.14
3062 Collegiate 말안장, 사용자 낙상 위험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2 2019.06.14
3061 Little Tikes 세발자전거, 유아 낙상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1 2019.06.14
3060 Weleda 배앓이 완화제, 영유아 삼킴 사고 유발할 수 있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9.06.14
3059 Clippasafe 아기띠, 사용 중 파손으로 인한 낙상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9 2019.06.14
3058 Infantino 아기띠, 사용 중 파손으로 인한 낙상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2 2019.06.14
3057 Nabisco 쿠키, 응고 성분 혼입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06.14
3056 Herbivore 수분크림, 곰팡이 오염 가능성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3 2019.06.14
3055 Theo Chocolate 초콜릿,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0 2019.06.14
3054 RXBAR 프로틴바,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0 2019.06.14
3053 Whole Earth 버터(3 Nut Butter Peanut, pecan & Walnut), 견과류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03 2019.06.14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