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2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설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 조심하세요!
- 귀경‧귀성길 안전운전과 음식 조리 중 자리비우지 않기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설 명절을 맞이하여 교통사고와 화재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최근 5년간(’13~’17년) 설 명절 전후*로 발생한 교통사고는 총 11,580건이며, 20,379명(사망 259명, 부상 20,120명)이 목숨을 잃거나 다쳤다.
* ’13.2.8∼2.11.(4일), ‘14.1.29 2.3.(5일), ’15.2.17∼2.22.(6일), ‘16.2.5∼2.10.(6일), ’17.1.26~1.30.(5일)

이러한 교통사고 중에서도 연휴 전날의 사고 건수는 670건(일평균)으로 연간 일평균(607건) 보다 더 많이 발생하였다.

사고 현황을 시간대별로 자세히 분석해 보면 연휴 전날과 첫날은 18시 전후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설날에는 14시에 가장 많았다.

명절에는 가족 단위의 차량 이동*이 늘기 때문에 교통사고 100건당 사상자가 176명으로 평소 153명 보다 많이(23명, 15%) 발생하였다.
* ‘17년 고속도로 교통량: 연간 일평균 4,347천대, 설날 5,190천대(한국도로공사)

또한,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 비율*도 평상시 보다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교통사고: 연간 10.32%, 설연휴 12.94%, 사상자: 연간 12.04%, 설연휴 15.11%

한편, 명절에는 음식 준비 등으로 화기 사용이 늘면서 화재 발생에도 주의해야 한다.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13~’17년) 설 명절* 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는 43건(일평균)으로 연간 일평균(31건) 보다 12건(39%) 더 많이 발생하였다.
*’13.2.9.∼2.11.(3일), ‘14.1.30.∼2.1.(3일), ’15.2.18.∼2.20.(3일), ‘16.2.7.∼2.9.(3일), ’17.1.27.~1.29.(3일)

화재 발생 원인은 음식물 조리나 화원방치 등으로 인한 부주의*가 463건(59%)으로 가장 많았고, 전기적 원인 151건(19%) 순이다.
* 음식물 조리중, 담배꽁초, 쓰레기 소각, 불씨, 불꽃 화원 방치 등(화재통계연감)

사고 없이 안전한 명절을 보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운전 중에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졸리거나 피곤할 때는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충분히 휴식을 취한 후에 운전한다.

차에 타면 전 좌석에 안전벨트 착용을 철저히 하고, 어린이는 반드시 체형에 맞는 카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특히, 음복 등으로 가볍게라도 음주를 했다면 절대 운전하지 말고, 반드시 술이 깬 후에 움직이도록 한다.

아울러, 고향으로 출발하기 2~3일 전에는 엔진, 제동장치 등 차량점검을 실시하고 타이어의 마모상태와 공기압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음식을 조리할 때는 주변 정리정돈에 유의하고, 특히 불을 켜 놓은 채 자리를 비우지 않도록 한다.
가스(전기)레인지 등을 사용 할 때는 연소기 가까이에 불이 옮겨 붙기 쉬운 가연성 물질은 멀리하고, 환기에 주의한다.

또한, 주방용 전기제품을 사용할 때 다른 전기용품과 문어발처럼 꽂아 쓰면 과열되어 위험하니 주의한다.

최근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예년(‘09~’18)에 비해 산불이 급증* 하고 있어, 성묘 등으로 산에 갈 때는 산불 발생에 각별히 주의해야한다.
* 1.1.~1.28. 산불 발생현황: 올해 90건(3.6배 증가), 예년(‘09~’18) 25건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을 맞아 평소보다 안전수칙을 더 잘 지켜, 안타까운 사고 없이 안전하고 평안한 설 명절 되시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9-01-31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300 눈썰매 탈 때 보호장비 착용으로 안전사고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1.18
2299 봄철 축제 기본질서 지키며 안전하게 즐기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4.05
2298 자동차 완구[Reassembly Screw Car], 질식 위험으로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4.12
2297 산나물과 비슷한 독초 중독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5.11
2296 부처님 오신 날 촛불·전기 화재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5.18
2295 물기와 습기 많은 여름 감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6.22
2294 어린이 화상사고, 가정 내 주방에서 많이 발생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7.27
2293 유사투자자문 피해신고 급증, 금융소비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08.27
2292 깊어진 가을, 10월에는 어떤 사고에 주의해야 할까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10.04
2291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11.07
2290 목욕탕 찜질방 레지오넬라 안심!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8.12.31
2289 Jakks 스퀴시 완구, 작은 조각 삼킴 우려 있어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9.03.12
2288 [소비자안전주의보] 제품 리콜에 따른 소비자 · 사업자의 적극적인 대응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19.10.21
2287 여름철 안전사고 이렇게 예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0.07.16
2286 여름철, 살모넬라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0.08.11
2285 살모넬라균 오염 가능성 있는 The Spice Hunter 향신료(Cilantro Organic 고수잎)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01.28
2284 젤란검 함유로 어린이 질식 위험 있는 Furuta 젤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02.01
2283 차량용 블랙박스 보조배터리 2개 제품 리콜명령(8/2 조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08.02
2282 일회용 기저귀, 올바르게 선택하고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08.13
2281 SPAC(기업인수목적회사) 투자자 유의사항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8 2021.08.26
Board Pagination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