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위기가구 발굴 위한 정보연계 확대한다!”


- 「사회보장급여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1.30∼3.11)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위기가구 발굴・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복지 부정수급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약칭 사회보장급여법)」의 시행령과 시행규칙 개정안을 마련하여 입법예고(1.30~3.11, 40일간)한다고 밝혔다.
 
 ○ 이번 법령 개정은 지난해 7월 발표된 복지위기가구 발굴대책의 일환으로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강화하기 위해 위기가구 관련 정보연계를 확대*하고, ’18.12월 개정된 「사회보장급여법」에서 하위법령에 위임한 세부사항**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 「복지위기가구 발굴대책(’18.7월)」 : 발굴 대상자 및 신고의무자 범위 확대


                                                           < 개정 법률의 주요내용 및 위임사항 >

사회보장급여법 주요내용

위임법령 및 위임사항

ㅇ 9조의2(위기가구 발굴)

자살자 ·자살시도자 가구를 위기가구로 발굴·지원

시행령

자살자 ·자살 시도자 가구 중 발굴대상 가구기준

ㅇ 12조의2(발굴조사실태점검)

발굴조사 분기별 실시발굴체계 운영실태 점검

시행
규칙

발굴조사 및 운영실태 
점검에 관한 구체적 사항

ㅇ 19조의2(부정수급 실태조사)

3년마다 부정수급 실태조사 실시 및 결과공개

시행
규칙

실태조사의 방법내용 및 결과의 공개 등

ㅇ 53조의2(신고포상금)

부정수급 신고자에 신고포상금 지급

시행령

포상금 지급기준절차홍보방법 등

 

 □ 입법예고 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시행령 개정안 >

① 위기가구 발굴 정보수집 범위 확대 (안 별표2)
 
 ○ 현재 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서 위기가구 발굴을 위해 활용 중인 27종의 정보 외에 공동주택관리비 체납정보, 휴·폐업사업자 정보, 세대주가 사망한 가구정보를 추가로 수집하여 변수를 확대한다.(연계정보 27종 → 30종)

     * 건강보험료 체납기간 단축(6개월 → 3개월), 신고의무자 확대(공동주택 관리자 등)는 법률 개정 사항으로 별도 추진 예정
 
   - 또한, 현재 연계되는 정보 중에서도 국민연금 보험료 체납기간 단축(6개월→3개월), 자살시도자·자해시도자 정보 확대(개인→가구)를 통해 위기가구 발굴 범위를 확대한다.

② 자살자·자살시도자 가구 중 위기가구 기준 마련 (안 제6조의2 신설)
 
 ○ 자살예방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등에서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가구의 정보를 보장기관에 제공하고, 보장기관이 이 중에서 경제적 위기 등을 판단해서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 각 센터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가구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자살자가 주소득원인 가구, 자살시도가 우려되는 자살자 유족, 자살 재시도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자살시도자, 빈번한 자살시도자와 그 가구 등이다.

③ 복지 부정수급 신고포상금 지급기준 등 마련 (안 제28조 신설)

 ○ 신고포상금은 부정수급으로 환수통보된 금액의 30% 범위내로, 1인당 연간 5,000만 원 이내에서 지급하도록 하였다.
 
   - 다만, 신고내용이 이미 언론 등에 공개된 경우, 이미 신고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의 신고인 경우, 타 법령에 따라 이미 포상금이 지급된 경우 등에는 지급하지 않는다.
 
   - 또한, 다른 법령에서 지급기준 등을 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당법령의 규정을 적용하여 지급하도록 하였다.

 ○ 허위 및 부정한 방법 또는 포상금이 잘못 지급된 경우에는 포상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반환하도록 하였다.

 ○ 또한, 관계자 및 관련공무원은 신고자에 대한 비밀을 유지하여야 한다.

 ○ 포상금 지급이 결정되면, 신고자에게 통보 후 60일 이내에 포상금을 지급하도록 하였다.
 
 < 시행규칙 개정안 >

① 분기별 발굴조사 방법, 절차 등 규정 (안 제1조의3 신설)

 ○ 보장기관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등 취약계층 정보를 활용하여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와 개선방안 등을 마련하여 다음해 3월까지 보건복지부에 제출하도록 하였다

 ○ 또한, 보건복지부는 제출자료를 기초로 매년 운영실태를 점검하고 필요시 현장조사를 병행 할 수 있도록 하였다.

② 부정수급 실태조사의 범위, 방법 등 규정 (안 제2조의2 신설)

 ○ 부정수급 발생현황, 유형, 사후관리 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였다.
 
 
□ 보건복지부는 입법예고 기간 중 국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한 후 개정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 이번 개정안에 대하여 의견이 있는 단체 또는 개인은 2019년 3월 11일까지 보건복지부 급여기준과로 의견을 제출하면 된다.

 ○ 개정안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ohw.go.kr) → 정보 → 법령 → “입법·행정예고 전자공청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견 제출방법(우편) >

 

 

 

○ 제출처 

주소 (30113) 세종특별자치시 도움4로 13, 6보건복지부 급여기준과

- FAX : (044) 202 - 3953

 

○ 기재사항

입법예고 사항에 대한 항목별 의견(찬반 여부와 그 의견)

성명(법인 또는 기타 단체인 경우에는 그 명칭과 대표자의 성명), 주소 및 전화번호

기타 참고사항 등

 

※ 통합입법예고시스템(http://opinion.lawmaking.go.kr)을 통하여서도 의견 제출 가능

 

 

[ 보건복지부 2019-01-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85 황열, 콜레라 추가한 총 23종 감염병지침 개정·발간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05.15 98
1984 금융꿀팁 200선 - (4) 카드 분실-도난 피해예방 요령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2 98
1983 '17년 1분기 해외 리콜제품 국내 유통 모니터링 결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21 98
1982 10월 1일부터 임산부 등 초음파 검사 건강보험 적용 확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9 98
1981 견인 시 파손차량 피해구제 쉬워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0.11 98
1980 중고차 시세정보 여기에 다 있어…모바일 서비스 제공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12.12 98
1979 '16년 전월세 거래량은 전국 146.0만 건으로 전년 대비 0.9% 감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1.17 98
1978 이사업체 허가여부 확인하고, 계약서 꼼꼼히 작성해야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06 98
1977 연 100만 건의 렌터카 공문, '문서24'로 한 번에 끝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02 98
1976 환경성 위반 제품, 온라인쇼핑에서도 발빠르게 감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0 98
1975 화장비누.흑채.제모왁스 화장품 전환에 따른 제도적 지원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10.02 98
1974 '수소수' 미세먼지 제거.질병 치료 효과 근거 없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3.27 98
1973 희소.긴급 의료기기, 자가사용용 의료기기의 환자 접근성 확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1.17 98
1972 화재로부터 안전한 건축물로 도시환경을 더욱 안전하게 지키겠습니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05 98
1971 전세사기 피해자가 거주 중인 주택을 낙찰 받아도 청약 시 무주택자로 인정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4.06 98
Board Pagination Prev 1 ... 789 790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