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효성)와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문용식)이 실시한 2018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 사이버폭력 경험률이 32.8%로 인터넷이용자 10명 중 3명은 사이버폭력 가해(21.6%) 또는 피해(24.7%)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10월 2일부터 11월 23일까지 총 7,562명(학생, 일반성인, 교사, 학부모)을 대상으로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에 대해 8개* 유형별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17년(26.0%) 대비 6.8%p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8개 유형 : 언어폭력, 명예훼손, 스토킹, 성폭력, 신상정보유출, 따돌림, 갈취, 강요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 주요 내용>

o (대상별 경험률) 학생은 29.5%, 성인은 43.1%가 사이버폭력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2017년 대비 학생 4.7%p, 성인 13.3%p가 증가한 것으로 성인의 증가 폭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의 경우 중학생이, 성인의 경우는 특히 20대가 사이버폭력 경험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o (유형별 경험률) 학생과 성인의 가해와 피해 경험 모두에서 ‘언어폭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생의 경우, 언어폭력(가해 경험 19.3%, 피해 경험 18.7%)을 제외한 유형의 경험은 5% 내외인 반면, 성인은 언어폭력 외의 유형에 대한 가해 또는 피해 경험이 10%대에서 많게는 20%대로 집계되어 상대적으로 더 다양한 유형의 사이버폭력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o (사이버폭력 공간) 가해행동 공간은 학생과 성인 모두 ‘채팅, 메신저’(학생:53.1%, 성인:34.0%)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피해를 경험한 공간 역시 가해 경험 공간과 유사하나 성인의 경우, ‘이메일, 문자 메시지’를 통한 피해 경험(성인:29.3%)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 (가해이유 및 가해 후 심리) 가해 이유는 ①‘상대방이 먼저 그런 행동을 해서’(학생:43.1%, 성인:30.4%), ②‘상대방에게 화가 나서‘(학생:35.7%, 성인:31.2%)가 많았으며, 가해 후 심리는 ①’미안하고 후회스러움‘(학생:53.2%, 성인:53.6%), ②‘문제가 생길까 봐 걱정됨’(학생:48.9%, 성인:54.1%)이란 답변이 많아 가해 행동에 대한 문제 인식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이버폭력 예방 및 올바른 인터넷 이용 교육을 통해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청소년 대상 교육은 물론 사이버폭력 경험률이 높게 나타난 성인 대상 교육을 더욱 강화하는 한편, 실태조사를 통해 사이버폭력의 실태를 진단하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건전한 인터넷 이용문화 조성과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및 교육 홍보 등을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2019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는 방송통신위원회 홈페이지(www.kcc.go.kr)와 한국정보화진흥원 ‘아름다운 인터넷 세상’ 홈페이지(www.아인세.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방송통신위원회 2019-01-2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58 긴급한 환자 전원, 보다 신속하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7 50
6757 식약처, 의약외품 '휴대용 산소' 첫 허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7 62
6756 2019년 4월 강원도 고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7 57
6755 2019년 1분기 강원지역 경제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17 56
6754 유해야생동물 포획을 위한 이장의 피해사실 확인, 주민 확인으로 대체 가능해진다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0 56
6753 ‘디엠지(DMZ) 평화의 길’ 철원 구간 6월 1일부터 개방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0 50
6752 의료행위와 건강관리서비스 구분 기준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0 45
6751 장롱 속 국민주택채권 상환금 98억 원 찾아가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2 41
6750 사업 계속 의사 있어도 사실상 폐업상태라면 도산한 것으로 봐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2 28
6749 장애여성의 건강한 임신 출산 지원을 위한 안내자료 발간한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2 45
6748 자동차세 등 상습 체납차량 일제 단속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2 29
6747 24일부터 주택성능보강 융자지원…“화재에 안전한 우리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3 44
6746 포르쉐, 혼다, 푸조 등 수입사 자동차 리콜 실시 [총 12개 차종 4,197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3 55
6745 유방암 위암치료 모두 잘하는 1등급 병원 전국에 분포, 지역에서의 암 치료 접근성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3 52
6744 7월 1일(월)부터 동네병원 2.3인실 건강보험 적용 등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5.23 41
Board Pagination Prev 1 ... 470 471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