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고령자, 미끄러운 바닥재에서 가장 많이 다쳐

- 고령자의 중상해 사고 비율, 전체 연령대 대비 5배 높아 -

이 자료는 10월 2일(금) 조간부터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방송·인터넷 매체는 10월 1일 12시)

고령자는 신체의 노화와 여러 가지 질병으로 인해 안전사고를 당하기 쉽고, 사고 발생 시 상해의 정도도 심각하여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3년간(2012년~2014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65세 이상 고령자 위해사례 총 12,195건을 분석한 결과, 고령자들이 가장 많이 다치는 곳은 가정(7,617건, 62.5%)으로 나타났다. 계절별로는 겨울(4,643건, 38.1%)이 다른 계절에 비해 1.7배~2배 이상, 성별로는 여성(7,047건, 58.3%)이 남성보다 많았다.

주요사고 유형을 살펴보면, 넘어지거나 미끄러져 다친 사고가 4,829건(39.6%)으 가장 많았다. 이어 식중독·배탈 1,173건(9.6%), 추락·낙상 1,137건(9.3%), 이물질 삼킴 935건(7.7%), 충돌·충격 661건(5.4%), 화상 638건(5.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많을수록 넘어짐·미끄러짐, 추락·낙상 사고의 비율이 높았다.

1 

고령자 위해사례 중 치료기간이 확인되는 4,728건을 분석한 결과, 1개월 이상의 치료기간이 소요된 중상해 사고는 495건(10.4%)으로, 전체 중상해 사고 발생비율(2.0%)보다 5배 높았으며, 사망사고는 66건(1.4%)으로 전체 사망 사고 발생비율(0.2%)의 7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넘어짐·미끄러짐 사고의 원인 품목을 살펴보면, 내부마감재가 3,006건(62.2%)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 중 1,325건(44.1%)이 화장실이나 욕실 바닥재로 나타났다.

추락·낙상 사고의 주요 원인 품목으로는 가구가 554건(48.7%)으로 나타났고, 특히 침대에서 떨어져(438건, 79.1%) 골절 등 중상해를 입는 경우가 많았다. 의료용구가 원인이 되는 경우(71건, 6.2%)에도 요양원이나 병원 침대에서 떨어진 사고가 51건(71.8%)에 달했다.

이물질 삼킴 사고는 생선을 먹다 목에 가시가 걸리거나 낱알 포장된 약을 포장재와 함께 삼키는 사례가 많았고, 화상 사고의 경우 겨울철에 전기장판을 사용하다 화상을 입는 사례가 많았다.

한국소비자원은 고령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미끄러운 바닥재 사용을 가급적 하고 안전손잡이 등을 설치하며, 특히 침대 사용 시 추락·낙상에 주의하고, 전기장판의 장시간 사용을 지양하는 등 고령자 안전에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 2015-10-0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95 「안전신문고」신고건수 1백만 건 돌파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6.17 47
10894 「알레르기성 결막염」, 10대 미만 연령대가 가장 많아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5.23 83
10893 「여권 유효기간 만료 사전알림 서비스」시행 효과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07.30 15
10892 「여권사진 규격 안내문」개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1.25 42
10891 「여성폭력 2차 피해 방지 지침 표준안」 마련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1.26 107
10890 「여신전문금융업 감독규정」 개정안 규정변경 예고('24.4.29. ~ '24.5.9.)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4.04.30 34
10889 「연명의료 시범사업」 10월 23일부터 내년 1월 15일까지 실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0.23 31
10888 「영유아 건강검진」기간 연장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2.20 44
10887 「영유아 국가건강검진」기간 연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5 73
10886 「영유아보육법」시행규칙 일부 개정령 공포·시행 (6월 30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6.30 11
10885 「영유아보육법」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3.19 17
10884 「영유아보육법」시행령 및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 입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10 42
10883 「오십견」 50대 이상 환자가 전체 환자의 82% 차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7.11.20 39
10882 「오피스텔 건축기준」 일부개정 고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10.13 33
10881 「위생용품 관리법」 4월 19일 본격 시행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16 50
Board Pagination Prev 1 ... 195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 926 Next
/ 92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