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겨울의 끝, 2월에는 이런 재난에 주의하세요!
- 교통사고, 화재, 대설, 한파, 해빙기 안전사고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2월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선정하고, 피해예방을 위해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중점 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은 통계(재해연보, 재난연감/행정안전부)에 따른 발생빈도*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나타난 국민의 관심도**를 고려하였다.
* 2월에 사고 발생 건수나 사망자 수가 월평균보다 높은 유형
** 2월(‘13~’18) 국내 발생 재난안전 관련 트윗(1억4,738만건) 분석(국립재난안전연구원)

행정안전부는 중점 관리유형을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하여 적극적인 예방 대책으로 이어지게 하고, 국민들에게는 재난 유형별 예방요령을 알려 대비하도록 할 계획이다.

(교통사고) 설 명절 전 물류 이동이 증가하고 귀성‧귀경 등으로 인한 차량 이동이 늘면서 교통사고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연휴기간 동안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사고 비율은 2.41%로 평상시 1.72%보다 높다.
교통사고 10건 중 9건이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68%)이나 안전거리 미확보(24%)가 원인이다.
※ 최근 5년간(‘12~’16)고속국도 교통사고 현황: 평상시 1.72% 설연휴 2.41%

운전 중에는 휴대폰 사용 등을 자제하고 차량 간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졸리거나 피곤할 때는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충분히 휴식한 후에 운전하도록 한다.
또한, 전 좌석 안전벨트 착용을 철저히 하는 등 안전수칙을 지킨다.

(화 재) 2월은 연중 세 번째로 화재가 많이 발생하는 달이다.

특히, 소방시설 근처에 물건을 쌓아두면 제 기능을 못해 화재발생 시 대형 화재로 이어지기 쉽다.
또한, 음식을 준비할 때는 화기 취급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전통시장 등에서는 소방시설물 앞에 물건을 쌓아두지 않도록 하고, 전열기 등의 취급에 각별히 주의한다.
음식을 조리할 때는 주변에 불이 붙기 쉬운 물건을 가까이 두지 않도록 주변 정리정돈에 유의하고 절대 자리를 비우지 않는다.

(대설) 최근 10년간(‘08~‘17) 2월에 발생한 대설 피해는 총 9회이며, 596억원의 재산피해가 있었다.
※ 2월 눈일수: ’18년 5.1일 평년(’81~‘10) 4.7일

눈이 내릴 때는 내 주변의 눈을 수시로 치우고, 피해가 우려되는 비닐하우는 등 시설물은 받침대를 세우는 등 관리에 주의한다.
또한, 차량이 고립되었을 때는 즉시 119에 신고하고, 차 안에서 라디오 등을 통해 기상상황을 확인하며 구조를 기다린다.

(한파) 2월은 우랄 산맥 부근과 베링 해 부근에서 형성된 상층 찬 공기가 우리나라로 유입되면서 한파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18년 2월 초순에는 경북 봉화가 –20.9℃를 기록 하는 등 강한 한파가 있었다.
※ ‘18.2.4.~2.7. 한파일최저기온(℃): (7일) 봉화 -20.9, 파주 -20.6, 천안 –19.0,북춘천 -19.2, 홍성 -15.6

한파 예보 시 노약자와 영유아는 난방온도 관리에 유의하고, 외출 할 때는 동상에 걸리지 않도록 모자와 장갑 등을 챙긴다.

또한, 추운 곳에 오래 있어 손‧발 등에 동상이 의심될 때는 미지근한 물에 30분 정도 담근 후 온도를 유지하며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다.

(해빙기 안전사고) 겨우내 얼었던 땅이 녹기 시작하는 2월 하순 부터는 땅 속 수분이 녹아 지반이 약해지면서 건설 공사장, 노후주택, 축대‧옹벽, 절개지 등에서의 낙석이나 붕괴사고 위험이 높다.
※ 최근 10년(’08~’17년) 간 해빙기(2~3월) 안전사고 현황: 발생 45건, 인명피해 20명(사망 8, 부상 12)

해빙기에는 생활 주변의 축대나 옹벽 등이 배부름 현상으로 부풀어 오르거나 없었던 균열 등이 생겼는지 잘 살펴보아야 한다.

건설공사장에서는 주변의 도로나 건축물 등에 균열이 생기거나 땅이 꺼지는 등의 이상 징후가 있는지 수시로 점검한다.

허언욱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2월에 발생하기 쉬운 재난안전사고에 대해 각 부처와 지자체가 함께 중점 관리하여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관심을 가지고 사전에 행동요령을 숙지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비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9-01-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91 농기계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19.04.11
3090 인플루엔자 지속 증가,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3 2019.04.12
3089 여드름약 '이소트레티노인' 사용 전 임신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4 2019.04.16
3088 주식투자정보서비스, 소비자 피해 4배 이상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04.16
3087 식약처, 사용 금지 살균보존제 함유 세척제 회수.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7 2019.04.17
3086 휴대폰 앱을 이용한 신종 보이스피싱 사례 발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92 2019.04.18
3085 수족구병 환자 발생 증가, 올바른 손씻기 생활화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5 2019.04.18
3084 이사철 가스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1 2019.04.18
3083 베트남, 필리핀 등 홍역유행 계속, 여행 전 예방접종 필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1 2019.04.23
3082 인터넷교육서비스, 6개월 이상 장기계약 피해 많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3 2019.04.23
3081 말라리아, 위험지역 거주나 여행 시 감염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7 2019.04.24
3080 제조일자 변조한 수입 냉동가오리날개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2 2019.04.26
3079 나들이 철 5월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를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9.04.26
3078 에어컨 사전 구매 및 점검으로 설치·수리 지연 예방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1 2019.04.26
3077 5월 가정의 달 맞아,해외여행 시 뎅기열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7 2019.04.29
3076 질병관리본부, 여름철(5~9월) 감염병 예방 관리 강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5 2019.05.02
3075 5월 가정의 달 나들이, 식중독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19.05.02
3074 국민청원 안전검사제, '노니 분말.환 제품' 조사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05.02
3073 의료기기인 '모유착유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4 2019.05.02
3072 중금속 기준초과 검출 농산물 '우슬'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05.02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218 Next
/ 2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