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겨울의 끝, 2월에는 이런 재난에 주의하세요!
- 교통사고, 화재, 대설, 한파, 해빙기 안전사고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2월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선정하고, 피해예방을 위해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중점 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은 통계(재해연보, 재난연감/행정안전부)에 따른 발생빈도*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나타난 국민의 관심도**를 고려하였다.
* 2월에 사고 발생 건수나 사망자 수가 월평균보다 높은 유형
** 2월(‘13~’18) 국내 발생 재난안전 관련 트윗(1억4,738만건) 분석(국립재난안전연구원)

행정안전부는 중점 관리유형을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하여 적극적인 예방 대책으로 이어지게 하고, 국민들에게는 재난 유형별 예방요령을 알려 대비하도록 할 계획이다.

(교통사고) 설 명절 전 물류 이동이 증가하고 귀성‧귀경 등으로 인한 차량 이동이 늘면서 교통사고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연휴기간 동안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사고 비율은 2.41%로 평상시 1.72%보다 높다.
교통사고 10건 중 9건이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68%)이나 안전거리 미확보(24%)가 원인이다.
※ 최근 5년간(‘12~’16)고속국도 교통사고 현황: 평상시 1.72% 설연휴 2.41%

운전 중에는 휴대폰 사용 등을 자제하고 차량 간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졸리거나 피곤할 때는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충분히 휴식한 후에 운전하도록 한다.
또한, 전 좌석 안전벨트 착용을 철저히 하는 등 안전수칙을 지킨다.

(화 재) 2월은 연중 세 번째로 화재가 많이 발생하는 달이다.

특히, 소방시설 근처에 물건을 쌓아두면 제 기능을 못해 화재발생 시 대형 화재로 이어지기 쉽다.
또한, 음식을 준비할 때는 화기 취급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전통시장 등에서는 소방시설물 앞에 물건을 쌓아두지 않도록 하고, 전열기 등의 취급에 각별히 주의한다.
음식을 조리할 때는 주변에 불이 붙기 쉬운 물건을 가까이 두지 않도록 주변 정리정돈에 유의하고 절대 자리를 비우지 않는다.

(대설) 최근 10년간(‘08~‘17) 2월에 발생한 대설 피해는 총 9회이며, 596억원의 재산피해가 있었다.
※ 2월 눈일수: ’18년 5.1일 평년(’81~‘10) 4.7일

눈이 내릴 때는 내 주변의 눈을 수시로 치우고, 피해가 우려되는 비닐하우는 등 시설물은 받침대를 세우는 등 관리에 주의한다.
또한, 차량이 고립되었을 때는 즉시 119에 신고하고, 차 안에서 라디오 등을 통해 기상상황을 확인하며 구조를 기다린다.

(한파) 2월은 우랄 산맥 부근과 베링 해 부근에서 형성된 상층 찬 공기가 우리나라로 유입되면서 한파가 자주 발생한다.

특히,‘18년 2월 초순에는 경북 봉화가 –20.9℃를 기록 하는 등 강한 한파가 있었다.
※ ‘18.2.4.~2.7. 한파일최저기온(℃): (7일) 봉화 -20.9, 파주 -20.6, 천안 –19.0,북춘천 -19.2, 홍성 -15.6

한파 예보 시 노약자와 영유아는 난방온도 관리에 유의하고, 외출 할 때는 동상에 걸리지 않도록 모자와 장갑 등을 챙긴다.

또한, 추운 곳에 오래 있어 손‧발 등에 동상이 의심될 때는 미지근한 물에 30분 정도 담근 후 온도를 유지하며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다.

(해빙기 안전사고) 겨우내 얼었던 땅이 녹기 시작하는 2월 하순 부터는 땅 속 수분이 녹아 지반이 약해지면서 건설 공사장, 노후주택, 축대‧옹벽, 절개지 등에서의 낙석이나 붕괴사고 위험이 높다.
※ 최근 10년(’08~’17년) 간 해빙기(2~3월) 안전사고 현황: 발생 45건, 인명피해 20명(사망 8, 부상 12)

해빙기에는 생활 주변의 축대나 옹벽 등이 배부름 현상으로 부풀어 오르거나 없었던 균열 등이 생겼는지 잘 살펴보아야 한다.

건설공사장에서는 주변의 도로나 건축물 등에 균열이 생기거나 땅이 꺼지는 등의 이상 징후가 있는지 수시로 점검한다.

허언욱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장은“2월에 발생하기 쉬운 재난안전사고에 대해 각 부처와 지자체가 함께 중점 관리하여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관심을 가지고 사전에 행동요령을 숙지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비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9-01-2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369 품질 문제 있는 엽산 함유한 BetterYou 구강 스프레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1.01.27
1368 이물질 혼입 가능성 있는 Leggo’s 소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1.10.08
1367 하이드로퀴논 함유량이 허용치를 초과한 Caro 피부미백오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1.11.29
1366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Tesco 영양제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2.03.10
1365 롯데온, 하이마트, 전자랜드 사칭 온라인몰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3.04.04
1364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접경지역에 대한 여행경보 4단계(여행금지)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4 2023.04.13
1363 Manhattan Toy 치발기(Winkel Colorburst activity toy), 질식 위험으로 교환·환불 및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7.10.31
1362 여름철 무더위 냉방기 화재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06.12
1361 여름철 살모넬라 식중독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08.20
1360 전동휠체어 의료용 스쿠터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08.29
1359 겨울철 증가하는 고령소비자 낙상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19.11.29
1358 P2P 투자하기 전, 투자자 유의사항을 꼭 확인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0.03.23
1357 뚜껑 분리되거나 폭발 위험 있는 FLSK 텀블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0.10.05
1356 제품 결함으로 감전 위험 있는 Depilatory Roll on Wax Heater전기 제모기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0.10.05
1355 시간이 경과할수록 품질 저하 우려 있는 GENTOS LED 헤드라이트(GH-100RG)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1.09.14
1354 사용 금지된 요오드화염을 함유한 조미상사 후리카케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1.12.27
1353 2-클로로에탄올이 포함된 Boots 영양제[5]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2.03.10
1352 어린이 타박상 위험 있는 Hasbro 코끼리 장난감 판매 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3.02.13
1351 라디언스㈜ 온열매트 리콜정보 재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5 2023.08.16
1350 수입 부적합 중국산 천연향신료 제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6 2017.09.22
Board Pagination Prev 1 ...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 220 Next
/ 2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