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18년말 주민등록 인구 5,182만 6천명, 1년간 약 5만 명 증가
-50대가 8,615,884명(16.6%)으로 가장 많고, 65세 이상 인구 14.8%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에 따르면 ’18년 말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는 51,826,059명으로, 지난 '17년 말(51,778,544명)에 비해 47,515명(0.1%) 늘었다. 연령별 분포는 50대가 8,615,884명(16.6%)으로 전년대비 125,680명 늘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40대 8,488,587명(16.4%), 30대 7,270,143명(14.0%), 20대 6,823,973명(13.2%), 60대 5,949,639명(11.5%) 등의 순이다.

0세에서 14세 인구는 6,628,610명으로 전체 인구의 12.8%이며, '17년 말 6,785,965명(13.1%)에 비해 157,355명(0.3%p) 감소했다.

15세에서 64세 인구는 37,547,041명으로 전체 인구의 72.4%이며, '17년 말 37,636,473명(72.7%)에 비해 89,432명(0.3%p) 감소했다.

65세 이상 인구는 7,650,408명으로 전체 인구의 14.8%이며, '17년 말 7,356,106명(14.2%)에 비해 294,302명(0.6%p) 증가했다.

성별로 살펴보면, 여자는 25,959,930명(50.1%), 남자는 25,866,129명(49.9%)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93,801명이 더 많았다.

주민등록 세대수는 22,042,947세대로, 지난 '17년 21,632,851세대보다 410,096세대(1.9%)가 증가했다. 세대당 평균 인구는 2.35명이다.

'17년과 비교하여 경기(203,258명), 세종(34,026명), 제주(10,108명), 충남(9,512명), 인천(6,100명), 충북(4,820명) 6개 시도의 인구는 늘었다.

서울(△91,803명), 부산(△29,200명), 전북(△17,775명), 경북(△14,875명), 대구(△13,462명), 전남(△13,454명) 등 11개 시도의 인구는 감소하였다.

'18년 시·도별 주민등록 인구변동 요인을 자연적 인구 증감(출생등록-사망말소)과 사회적 인구 이동(전입-전출)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7년보다 인구가 증가한 지역 중 경기, 세종, 제주 3곳은 자연적 인구 증가와 타 시도로부터 순유입이 많았다.

충북, 충남은 자연적 인구는 감소했으나 타 시도로부터 순유입이 많았다. 인천은 타 시도로 순유출이 많았으나 자연적 인구가 증가하였다.

'17년보다 인구가 감소한 서울, 대구, 대전, 울산, 광주 포함 5곳은 자연적 인구는 증가하였으나 타 시도로의 순유출이 많았다.

부산, 전북, 경북, 전남, 강원, 경남 포함 6개 지역은 자연적 인구 감소와 함께 타 시도로의 순유출도 많았다.

시‧도간 사회적 인구변동 중 순유입(전입-전출)이 많은 지역은 경기(170,118명), 세종(31,432명), 충남(10,084명) 등 5곳이고, 순유출이 많은 지역은 서울(△110,216명), 부산(△26,762명), 대전(△14,754명) 등 12곳이다.

시·군·구에서 ’17년 말보다 인구가 증가한 지역은 경기 화성(67,636명), 김포(31,078명), 용인(31,045명) 등을 포함한 63곳이다.

경기 안산(△17,367명), 인천 부평(△15,301명), 서울 강남(△13,800명), 경기 성남(△13,163명) 등을 포함한 163개 지역의 인구는 감소하였다.

시‧군·구간 사회적 인구변동 중 순유입이 많은 지역은 경기 화성(62,609명), 김포(29,330명) 등 70곳이고, 순유출이 많은 지역은 경기 안산(△18,627명), 인천 부평(△16,534명) 등 156곳이다.
※ 참고 : 자세한 통계 현황은 누리집<www.mois.go.kr> ☞정책자료☞통계 참조



[ 행정안전부 2019-01-15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98 금융꿀팁 200선 - (10) ELS 등에 대한 투자시 유의사항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6.09.29 67
9697 금속 이물 혼입 기타가공품 제품 회수 조치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3.17 67
9696 무더울 땐 이렇게 준비하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8.10 67
9695 장마 끝, 무더위 시작 ... 폭염대비 건강관리 당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1 67
9694 식약처, 여름철 식품안전 대책 발표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67
9693 경부고속도로 교통정체, 크게 개선된다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30 67
9692 이제부터 주민등록번호 보관 시 반드시 암호화 해야!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8 67
9691 “의약품, 인터넷으로 사지 마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24 67
9690 여름방학을 틈탄 취업을 빙자한 금융사기에 속지 마세요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9 67
9689 ’15년 상반기 자동차산업 동향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8 67
9688 미곡 혼합 유통 ․ 판매, 7월 7일부터 금지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2 67
9687 전세계 115개국과 의약품 온라인 불법 유통 공동 대응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7.02 67
9686 5월 주택인·허가 5.7만호로 전년동월대비 36.8%증가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5 67
9685 하이트진로(주)의 부당 광고 건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22 67
9684 물류단지 총량제 폐지, 일반물류터미널 內 제조·판매 허용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06.16 67
Board Pagination Prev 1 ...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