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이미용 가전과 휴대용 전기용접기 등 232개 제품에 대해 안전성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결함이 있는 7개 제품에 대해 결함보상(이하 리콜)명령을 내렸다.
※ 결함제품(7개): 전기용접기 2개, 천공기 1개, 전기줄(이하 코드) 4개
 
□ 리콜명령한 7개 제품의 결함내용은 다음과 같다.(상세내용은 별첨참조)
 
ㅇ 전기용접기 2개 제품은 사업자가 주요부품(캐패시터, 차단기 등)을 인증당시와 다른 부품으로 변경한 것으로 나타나 장시간 사용시 화재나 감전의 위험이 있다.
 
ㅇ 천공기 1개 제품은 사업자가 인증당시와 다르게 메인모터를 직류(DC)용에서 교류(AC)용으로 임의로 변경했고, 전류가 흐르는 충전부도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구조로 설계를 변경한 것으로 나타나 감전 위험이 있다.
 
ㅇ 코드 4개 제품은 사업자가 인증당시와 다르게 순도가 낮은 구리를 사용하거나 도체 굵기를 가늘게 제작하여 도체저항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코드를 사용할 경우 전류손실과 열발생으로 인해 누전이나 합선 등의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 국표원은 이번 리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korea.kr)에 공개하고,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에 제품 바코드를 등록하여 전국 대형 유통매장에서의 판매를 즉시 차단하기로 했다.
 
ㅇ 이번 리콜처분한 기업은 제품안전기본법 제11조 등에 따라 유통매장에서 해당 제품을 즉시 수거하고, 소비자에게 이미 판매된 제품에 대해서는 수리나 교환 등을 해줘야 한다.
 
* 리콜명령 받은 제품은 ①「제품안전정보센터」 접속⟶②왼쪽 위「리콜」 클릭⟶③「리콜정보검색」에서 확인
 
□ 국표원은 소비자시민단체 등에 금번 조사결과를 설명하고, 리콜정보를 공유하는 등 소비자 시민단체와 협력을 통해 해당제품이 시중에서 유통되지 않도록 적극 유도하기로 했다.
 
ㅇ 또한 리콜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들이 해당제품의 제조․수입․판매사업자에게 수거 및 교환을 요구할 수 있다는 점을 주지시키고 수거되지 않은 제품 발견시 국표원(043-870-5427) 또는 한국제품안전협회(02-890-8300)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국가기술표준원 2015-09-2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21 보다 많은 어르신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0.31 10
12520 2019년 서비스 시장의 소비자지향적 수준에 대한 소비자 평가결과, 77.6점으로 2년 전에 비해 소폭 하락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04 10
12519 다소비 가공식품 2019년 10월 가격동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5 10
12518 「2020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안)」에 대한 고시 전 가격 열람 및 의견 제출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19 10
12517 납 기준 초과 수입 냉동 다슬기살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0 10
12516 손쉬운 목, 어깨 운동, 사무실에서 영상으로 함께해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1 10
12515 식약처, 원료의약품 불순물 안전관리 대책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2 10
12514 안전확인 대상 생활화학제품 고시 개정 행정예고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6 10
12513 난치성혈액질환 환자 완치를 위해 조혈모세포 기증 활성화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1.28 10
12512 폭스바겐, FCA, 한불, 포르쉐, 스카니아, 킴코, 두카티 리콜 실시 [총 7개사 12,053대]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02 10
12511 위․변조 방지기능 강화된 주민등록증 도입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02 10
12510 최근(10.27~11.3) 6건의 BMW 차량화재, 중간조사결과 발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03 10
12509 용산기지 버스투어, 2020년에도 계속됩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6 10
12508 2018년도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 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10
12507 국민이 편리한 온라인 공공자원 공유 플랫폼 내년 2월부터 운영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17 10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922 Next
/ 9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