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1월, 눈 많고 추울 때는 이런 재난에 주의하세요!
- 한파, 대설, 도로교통사고, 화재, 스키장 -

행정안전부(장관 김부겸)는 1월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을 선정하고, 피해예방을 위해 국민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중점 관리 재난안전사고 유형은 통계(재해연보, 재난연감/행정안전부)에 따른 발생빈도*와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나타난 국민의 관심도**를 고려하였다.
* 1월에 사고 발생 건수나 사망자 수가 월평균보다 높은 유형
** 1월(‘13~’17) 국내 발생 재난안전 관련 트윗(1억2,424만건) 분석(국립재난안전연구원)

행정안전부는 중점 관리 유형을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하여 적극적인 예방 대책으로 이어지게 하고, 국민들에게는 재난 유형별 예방요령을 알려 대비하도록 할 계획이다.

(한파) ́17년 1월에는 상층의 찬 공기가 유입되면서 2월 중순까지 세 차례 한파가 발생하였다.
※ 수도계량기 동파(‘11.11월~’17.3월): 연평균 17,951건
저체온증 사망(‘03~’16): 1월 931명, 11월 354명, 12월 789명

한파 예보 시 수도계량기와 보일러 배관은 헌옷 등으로 보온하고, 장시간 외출 시에는 온수를 약하게 틀어 동파를 예방한다.
※ 전기열선 사용 시에는 온도조절센서와 과열차단장치가 있는 인증제품 사용

(대설) ́17년에 1월에는 저기압이 중부지방을 통과하고 대륙고기압이 확장되면서 서쪽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눈이 내렸다.
※ 1월 눈일수: ’17년 7.0일 평년(’81~‘10) 7.1일

최근 10년간(‘08~‘17) 총 10회의 대설로 580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눈이 내릴 때는 내 주변의 눈을 수시로 치우고, 피해가 우려되는 비닐하우스 등 시설물은 받침대를 세우는 등 관리에 주의한다. 산간의 고립우려 지역에서는 대설 예보 시 식량이나 연료 등 비상용품을 준비하고 비상연락망을 확인한다.

(도로교통사고)겨울철에는 잦은 눈 등으로 도로가 얼어붙어 빙판길에서의 교통사고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눈과 습기가 도로의 틈새로 스며들어 얼어붙는 살얼음(블랙아이스)에 주의해야 한다.

눈이 내릴 때는 차간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눈이 녹았더라도 응달 부분을 지날 때는 속도를 줄여 저속으로 운행한다.

(화 재)추운 날씨로 난방기구의 사용이 많아지면서, 난로나 보일러 등 겨울용 계절기기*에서의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달이다.
* 전기난로, 가스난로, 석유난로, 연탄(석탄)난로, 가정용‧화목 보일러, 전기장판‧담요류

이러한 화재의 45%가 부주의*로 발생하고 있어 화기 취급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 가연물 근접방치, 불씨‧불꽃‧화원 방치, 불장난, 음식물 조리중 등(화재통계연감)

전열기를 사용할 때는 주변에 불이 옮겨 붙기 쉬운 가연물을 가까이 두지 않도록 주의하고 자리를 비울 때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전열기를 다른 전기 제품과 문어발처럼 꽂아 쓰면 과열되어 위험하니 가급적 단독 콘센트나 전류차단 기능이 있는 것을 사용한다.

(스키장 안전사고) 1월은 겨울철 대표 레포츠인 스키 시즌*으로 안전사고 발생도 가장 많다.

스키나 스노우보드를 타다가 주로 다치는 부위는 팔‧손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둔부‧다리‧발,
머리와 얼굴에서 발생하였다.
* 시즌: 12월 ~ 다음해 2월

스키를 타기 전에는 충분한 준비운동으로 근육을 풀어주고, 헬멧과 무릎보호대 등 자신에게 맞는 보호 장비 착용을 철저히 한다.

서철모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1월에 발생하기 쉬운 재난안전사고에 대해 각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중점 관리하여 소중한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며,“국민 여러분도 이러한 재난안전사고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사전에 행동요령을 숙지하는 등 적극 대비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린다.”라고 말했다.



[ 행정안전부 2019-01-03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51 미허용 성분(CMIT/MIT) 함유 수입 세척제 수거.폐기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8 2019.03.19
3150 편리한 전동킥보드, 안전하게 이용하세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9.03.21
3149 자연재난 대비 풍수해보험 미리 가입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19.03.21
3148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9 2019.03.21
3147 “ 휴대폰 사기판매 피해 주의! ”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2 2019.03.26
3146 어린이·청소년 인플루엔자 소폭 증가,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9.03.26
3145 영아용 조제분유, 구매 전 영양성분 꼼꼼히 살펴봐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69 2019.03.26
3144 아프리카 코모로에 2단계 여행경보(여행자제) 발령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8 2019.03.27
3143 전자상거래로 구입한 가구, 소비자 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1 2019.03.27
3142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마늘쫑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0 2019.03.28
3141 설 연휴 항공, 택배, 상품권, 소비자피해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0 2019.04.01
3140 전자상거래로 구입한 가구, 소비자피해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4 2019.04.01
3139 2018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7 2019.04.01
3138 봄나물 5종에서 기준초과 농약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97 2019.04.03
3137 인스타그램 쇼핑피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19.04.03
3136 주식투자정보서비스, 소비자 피해 4배 이상 급증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8 2019.04.03
3135 지역축제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6 2019.04.04
3134 질병관리본부,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8 2019.04.08
3133 봄철 야생초로 담금주 만들 때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15 2019.04.08
3132 어린이 베란다(발코니) 사고, 보호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0 2019.04.10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