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조회 수 1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목욕탕・찜질방 레지오넬라 안심!
- 순환여과식 욕조수 관리 등 목욕탕・찜질방 수질기준 강화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법령상 ‘레지오넬라균’ 검출 기준치를 최초로 도입하는 등 내년부터 목욕장(목욕탕・찜질방)의 수질기준이 강화된다고 밝혔다.

□ 현행「공중위생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기 사용한 목욕물을 순환・여과하여 다시 사용하는 “순환여과식 욕조”의 경우, 순환과정에서 욕조수를 소독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 최근 법정 감염병인 ‘레지오넬라증’ 신고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목욕장 욕조수가 레지오넬라균 전파의 주요 위험요인 중 하나로 파악되고 있어, 관리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붙임 참조


□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레지오넬라증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제3군 법정감염병으로, 경미한 독감(발열, 근육통)증상으로 그칠 수도 있으나, 심각한 레지오넬라 폐렴 감염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 50세 이상, 만성폐질환, 암, 당뇨 등의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 면역저하자 등에서 주로 발생한다.

   - 또한, 냉각탑수, 목욕장 욕조수, 건물의 냉온수 등 인공으로 만들어진 시설의 물에서 증식한 레지오넬라균이 작은 비말(에어로졸) 형태로 호흡기로 흡입되어 감염이 발생한다.
표2 : 다중이용시설 레지오넬라균 환경검사(2016~2017, 질병관리본부)

붙임 참조


□ 보건복지부는 레지오넬라균 소독을 위하여 유리잔류염소농도 기준을 정하여 소독의 실효성을 높이고,

 ○ 매년 1회 레지오넬라균 측정, 저수조청소, 수질관리사항 게시 등 목욕장 수질관리를 위한 영업자 준수사항을 신설하여 수질관리를 강화하고, 위반시 행정처분 하도록 하였다.

 ※ 세계보건기구(WHO)는 레지오넬라 관리를 위해 염소소독을 권고하고 있으며, 미국(질병관리본부, CDC)・일본(후생노동성) 또한 목욕물의 유리잔류염소농도 기준을 정하여 운영하고 있음

 ○ 한편 목욕물에 높은 수준의 염소농도를 유지하도록 할 경우, 냄새 및 피부질환 등 이용객에게 불편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사)한국목욕업중앙회의 의견을 수렴하여, 영업자의 선택에 따라 염소소독 이외에 자외선・오존 살균도 가능하도록 하였고,

   - 시행 이후에도 지속적인 관찰을 통하여 유리잔류염소농도 등 관리기준을 조정할 계획이다.

□ 아울러 이번 개정안에는 숙박업소의 청소용구를 화장실과 객실용 등 용도에 맞도록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이를 위반할 경우 행정처분 하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및 지자체는 목욕장을 통한 레지오넬라증 감염 예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오고 있었으며, 이번 개정안은 6개월의 계도・준비기간을 거쳐 시행될 예정이다.



[ 보건복지부 2018-12-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51 유해물질 검출된 Sportmix 개사료 판매차단(2)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3 2021.02.26
3050 유해물질 검출된 Sportmix 개사료 판매차단(1)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2 2021.02.26
3049 유해물질 검출된 SCARPA 암벽화 리콜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0 2020.04.13
3048 유해물질 검출된 HoldPeak 디지털 전압계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77 2020.05.21
3047 유해물질 검출된 '셀라인 다크브라운' 문신용 염료 회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72 2016.10.21
3046 유해물질 검출된 '골든로즈 다크브라운' 문신용 염료 회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418 2016.10.21
3045 유해물질 검출된 '갤럭시 프로 다크브라운' 문신용 염료 회수 강원도소비생활센터 323 2016.10.21
3044 유해 성분 함유된 Flytrap 해충퇴치제품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2 2023.09.08
3043 유해 성분 과다 함유한 HuPop 유아용 헤드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3 2023.07.13
3042 유해 성분 검출된 Flynova Pro 플라잉 스피너 완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7 2023.08.18
3041 유해 물질 검출된 YCOO 로봇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2 2023.04.24
3040 유통기한이 지난 원재료를 사용한 노벨제과 미역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5 2024.01.08
3039 유통기한 오표기된 OHMORIYA 조미김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0 2022.11.16
3038 유통기한 오표기되어 섭취시 위험 있는 Other seasonings and soups 조미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58 2022.08.25
3037 유통기한 내 품질 저하 우려 있는 궁내햄 건어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15 2021.12.01
3036 유치원, 어린이집 등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0 2020.12.11
3035 유아용 물놀이 기구(Inflatable airplane swim ring),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검출되어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43 2019.12.27
3034 유아용 목욕장난감, 삼킴 우려로 판매 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3 2018.12.04
3033 유아용 구강청결 물휴지, 해외직구 때 주의해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39 2020.09.17
3032 유아동용 부력 보조복 비교정보 생산결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7 2021.06.17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