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9년 상반기 달라진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해외여행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

 

 ◇ ’19년 1월 1일 기준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기존 60개 → 67개로 변경
 ◇ 해외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또는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를 통해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및 해외감염병 예방수칙 확인 필수
 ◇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방문 후, 입국 시 검역관에게 건강상태 질문서 제출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해외감염병 발생·유행 현황을 반영하여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2019년 1월 1일부터 변경·시행한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는 「검역법」에 따라 세계보건기구(WHO), 현지공관 등의 감염병 발생 정보를 기준으로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규정하여 오염지역 입국자에 대한 효율적인 검역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 검역감염병(9종) : 해외에서 발생하여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감염병을 「검역법」으로 지정(콜레라, 페스트, 황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동물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 신종인플루엔자감염증, 중동호흡기증후군, 폴리오, 신종감염병증후군)
     ․ 9종 중 현재 해외에서 발생 중인 6종(콜레라, 페스트, 황열, 동물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폴리오)에 대해 오염지역 지정‧관리 중


□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이하 오염지역)은 기존 60개국에서 67개국으로 변경*되었다.
     * 감염병별 오염지역 중복국가 제외

 ○ 세부적으로 콜레라 오염지역 4개국, 폴리오 오염지역 2개국이 신규 지정되었고, 메르스는 오염인근지역으로 5개국을 추가 선정하였다.
     * 콜레라 오염지역: 4개국(니제르, 카메룬, 짐바브웨, 알제리) 신규 지정
     * 폴리오 오염지역: 2개국(니제르, 파푸아뉴기니) 신규 지정
     * 메르스 오염인근지역: 5개국(레바논, 바레인, 요르단, 이란, 예멘) 신규 선정

 ○ 최근 1년간 검역감염병 발생 보고가 없었던 수단(콜레라)과 중국의 내몽골자치구, 랴오닝성(동물인플루엔자(AI) 인체감염증)은 오염지역에서 해제되었다.

 ○ 특히 메르스 오염지역의 경우 원발생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최근 1년 이내 메르스가 발생한 아랍에미리트, 오만, 쿠웨이트는 오염지역으로 지정하고, 국내 직항 노선이 운행되는 카타르는 오염인근지역으로 선정하여 관리 중이며,

  - 그 외에 아라비아 반도 내 메르스 발생지역 또는 지정학적 근접 위험국(GCC)*에 해당되는 5개국(레바논, 바레인, 요르단, 이란, 예멘)을  오염인근지역으로 신규 선정하여 오염지역에 준하는 입국 검역조치를 실시할 계획이다.
     * GCC(걸프협력회의): 페르시아만 6개 산유국(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오만, 바레인)의 지역협력기구로서 국가 간 무비자 출입 가능

 ○ 오염지역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cdc.go.kr)와 콜센터(☎1339)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출·입국 시, 기내에 비치된 오염지역 안내문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 질병관리본부는 “메르스 국내 유입과 같은 감염병 위기상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적극적인 검역 참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해외 오염지역을 방문한 경우, 입국 시 반드시 건강상태 질문서를 검역관에게 제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건강한 해외여행을 위해서는 해외여행 전 여행국가 감염병 발생 정보 확인하고 출국 최소 2주 전 필요한 예방접종·예방약을 받아야 한다.

 ○ 또한, 해외여행 중에는 현지 동물과의 접촉 피하고 자주 손을 씻는 등 개인위생을 준수해야 하며, 입국할 때는 오염지역 방문 여부에 따라 건강상태 질문서를 제출하고 귀가 후, 감염병 증상이 의심되면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신고해야 한다.



[ 보건복지부 2018-12-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371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시한 “곡류가공품”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4
4370 피해다발업체 - 위잇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4
4369 프탈레이트를 과다 함유한 무선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6.12
4368 표시 미흡으로 제품을 삼킬 위험이 있는 에센셜 오일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6.12
4367 케이블이 파손되어 낙상할 위험이 있는 짚라인 키트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4 2024.06.12
4366 전기 감전 위험이 있는 YAMAHA 어댑터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12
4365 자전거 운행 중 낙상 위험이 있는 Delta 스템 라이저(3)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12
4364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미표시된 Mt. Elephant 팬케이크 믹스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2
4363 부품을 삼킬 시 질식 위험이 있는 유모차용 모빌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11
4362 부착 성능이 미흡한 스포츠용 신체 보호대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11
4361 부속품을 삼킬 시 질식 및 사망 위험이 있는 쌓기 장난감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11
4360 보존료를 함유한 파인애플 젤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 2024.06.11
4359 해외구매대행 프로폴리스 구입 시 소비자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03 2024.06.11
4358 이른 더위 이어져, 열사병, 열탈진 등 온열질환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1
4357 보존료를 함유한 그라비올라 젤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0
4356 발화 위험이 있는 Paock 휴대용 축전기 큐브(2)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0
4355 발화 위험이 있는 Paock 휴대용 축전기 큐브(1)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0
4354 리튬이온배터리 과열로 화재 발생 위험있는 유아용 스피커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 2024.06.10
4353 로프가 파손되어 낙상 위험 있는 Kinderfeets 유아 놀이용 사다리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0
4352 녹을 위험이 있는 무선충전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 2024.06.1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