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2019년 상반기 달라진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해외여행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

 

 ◇ ’19년 1월 1일 기준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기존 60개 → 67개로 변경
 ◇ 해외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또는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를 통해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및 해외감염병 예방수칙 확인 필수
 ◇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방문 후, 입국 시 검역관에게 건강상태 질문서 제출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해외감염병 발생·유행 현황을 반영하여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2019년 1월 1일부터 변경·시행한다고 밝혔다.

 ○ 질병관리본부는 「검역법」에 따라 세계보건기구(WHO), 현지공관 등의 감염병 발생 정보를 기준으로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을 규정하여 오염지역 입국자에 대한 효율적인 검역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 검역감염병(9종) : 해외에서 발생하여 국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감염병을 「검역법」으로 지정(콜레라, 페스트, 황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동물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 신종인플루엔자감염증, 중동호흡기증후군, 폴리오, 신종감염병증후군)
     ․ 9종 중 현재 해외에서 발생 중인 6종(콜레라, 페스트, 황열, 동물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폴리오)에 대해 오염지역 지정‧관리 중


□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이하 오염지역)은 기존 60개국에서 67개국으로 변경*되었다.
     * 감염병별 오염지역 중복국가 제외

 ○ 세부적으로 콜레라 오염지역 4개국, 폴리오 오염지역 2개국이 신규 지정되었고, 메르스는 오염인근지역으로 5개국을 추가 선정하였다.
     * 콜레라 오염지역: 4개국(니제르, 카메룬, 짐바브웨, 알제리) 신규 지정
     * 폴리오 오염지역: 2개국(니제르, 파푸아뉴기니) 신규 지정
     * 메르스 오염인근지역: 5개국(레바논, 바레인, 요르단, 이란, 예멘) 신규 선정

 ○ 최근 1년간 검역감염병 발생 보고가 없었던 수단(콜레라)과 중국의 내몽골자치구, 랴오닝성(동물인플루엔자(AI) 인체감염증)은 오염지역에서 해제되었다.

 ○ 특히 메르스 오염지역의 경우 원발생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최근 1년 이내 메르스가 발생한 아랍에미리트, 오만, 쿠웨이트는 오염지역으로 지정하고, 국내 직항 노선이 운행되는 카타르는 오염인근지역으로 선정하여 관리 중이며,

  - 그 외에 아라비아 반도 내 메르스 발생지역 또는 지정학적 근접 위험국(GCC)*에 해당되는 5개국(레바논, 바레인, 요르단, 이란, 예멘)을  오염인근지역으로 신규 선정하여 오염지역에 준하는 입국 검역조치를 실시할 계획이다.
     * GCC(걸프협력회의): 페르시아만 6개 산유국(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오만, 바레인)의 지역협력기구로서 국가 간 무비자 출입 가능

 ○ 오염지역은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cdc.go.kr)와 콜센터(☎1339)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출·입국 시, 기내에 비치된 오염지역 안내문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 질병관리본부는 “메르스 국내 유입과 같은 감염병 위기상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적극적인 검역 참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면서 해외 오염지역을 방문한 경우, 입국 시 반드시 건강상태 질문서를 검역관에게 제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건강한 해외여행을 위해서는 해외여행 전 여행국가 감염병 발생 정보 확인하고 출국 최소 2주 전 필요한 예방접종·예방약을 받아야 한다.

 ○ 또한, 해외여행 중에는 현지 동물과의 접촉 피하고 자주 손을 씻는 등 개인위생을 준수해야 하며, 입국할 때는 오염지역 방문 여부에 따라 건강상태 질문서를 제출하고 귀가 후, 감염병 증상이 의심되면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로 신고해야 한다.



[ 보건복지부 2018-12-28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500 설 명절, 감염병 예방수칙은 꼭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0 2020.01.23
1499 한랭질환자 지속 발생, 설 연휴 취약계층 주의 필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20 2020.01.22
1498 잘못된 의약품 정보에 절대 현혹되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7 2020.01.21
1497 검역단계에서 해외유입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확진환자 확인 감염병 위기경보를 ‘주의’단계로 상향, 대응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57 2020.01.20
1496 홍콩 여행경보, 1단계(여행유의)로 하향 조정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32 2020.01.17
1495 설명절 교통사고와 주택화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31 2020.01.16
1494 감염병 예방수칙 지켜 건강한 설 명절 보내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0.01.16
1493 사기사이트 정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8 2020.01.15
1492 2019년 중 주요 손해보험사기 피해사례 관련 소비자 유의사항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65 2020.01.14
1491 설 연휴 소비자 피해주의보 발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88 2020.01.14
1490 설 명절 전 후 사이버범죄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8 2020.01.14
1489 피해다발업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0 2020.01.13
1488 인플루엔자 유행 지속, 감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7 2020.01.13
1487 공정위 조사공문 사칭한 해킹메일 피해 주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2 2020.01.08
1486 수입 비비탄총, 발사강도 미흡해 파괴력 증폭 유발할 수 있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97 2020.01.08
1485 신년 맞이 산행,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27 2020.01.03
1484 화상사고 예방 위해 안전수칙 준수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354 2019.12.30
1483 해외 여행 전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확인 필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85 2019.12.30
1482 2020년에는 이런 재난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73 2019.12.27
1481 현대자동차(주) 투싼(TL) 차량 도어래치 작동불량 관련 무상수리 소비생활센터운영자 870 2019.12.27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