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2005년생 12월 31일까지 1차 접종 받아야 내년 2차 무료지원 가능
◇ HPV 예방접종은 총 102만 건 시행, 중한 이상반응 신고 사례는 없었음
◇ 질병관리본부, 지방자치단체·교육당국 협조 통해 접종 후 30분 대기 관찰 등 안전수칙 준수해 지원기간 내 접종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올해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국가예방접종* 대상인 2005년, 2006년생 여성 청소년들이 12월 31일까지 빠짐없이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했다.
*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는 생식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지속 감염시 자궁 경부암(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우리나라에서 한 해 약 3,500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약 900여 명이 사망함) 등 관련 암의 원인이 됨. 특히 고위험 유전형인 HPV 16, 18형 감염은 자궁경부암 원인의 70%로 지목되며, 예방을 위해 백신 접종

○ 정부는 2016년부터 만 12세 여성 청소년을 대상으로 HPV 예방접종 및 표준 여성 청소년 건강 상담 서비스를 6개월 간격으로 2회 무료 지원하고 있다.

○ 특히 2018년 1차 접종 대상인 2005년생 중 미접종한 약 14.2%(약 3만명)의 여성 청소년들은, 올해 12월 31일까지 1차 접종을 마쳐야만 내년도에도 2차 접종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으니 접종을 서둘러 달라고 강조했다.

- 2005년생의 경우 올해 지원 시기를 놓치면 충분한 면역 반응을 얻기 위해 필요한 접종 횟수가 백신에 따라* 2회에서 3회로 늘어나고, 접종비용(1회당 15~18만 원)도 전액 본인 부담해야 한다.
* 4가 백신(가다실)은 만 13세 초과 연령에서 1차 접종 시작 시 3회 접종, 2가 백신(서바릭스)은 만 14세 초과 연령에서 1차 접종 시작 시 3회 접종 필요

○ 질병관리본부는 12월 26일 기준, 만 12세 여성청소년(약 42.7만 명)의 1차 접종률은 약 68.4%(약 29.2만명)로 작년 같은 시기에 비해 약 5.8%p 높고, 연령별 접종률은 2005년생이 85.8%, 2006년생이 51.6%라고 밝혔다.

□ 한편, 지난 12월 4일 개최된 2018년 제4차 예방접종 피해보상전문위원회*(위원장 김중곤)에서 HPV 백신이 국가예방접종으로 도입된 이후 신고된 이상반응**을 검토한 결과,
*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9조 및 제10조, 「같은 법 시행령」 제7조에 따른 예방접종과 신고한 이상반응과의 관련성을 평가하여 피해보상을 결정하는 심의기구
** 2018년 11월 26일 기준 총 접종건수 98만2,643건 중 76건으로 약 0.008%

- 가장 많은 것이 심인성 반응으로 일시적인 실신 및 실신 전 어지러움 등의 증상(39건, 51%)이었으며, ‘안전성이 우려되는 중증 이상반응은 신고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 이와 함께, “가장 많이 신고된 이상반응인 일시적 실신은 긴장을 풀고 편안한 마음으로 접종받는 것이 가장 중요한 예방법”임을 강조했다.
- 또한 “실신으로 넘어지면서 다치지 않도록 앉거나 누워서 접종하기, 접종 후 20~30분간 접종기관에서 경과를 관찰하며 쉬기 등의 안전수칙 준수로 실신 후 낙상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질병관리본부는 12월 31일까지 무료 접종대상인 청소년들이 빠짐없이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미접종자에게 안내 우편물 10만 부를 지난 11월 중순부터 개별 발송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김유미 예방접종관리과장은 “HPV 부작용 우려로 자녀의 접종을 주저하는 보호자분들은 지난 3년간의 이상반응 신고자료와 피해보상전문위원회의 안전성 검토결과를 참고하여 안심하고 정부지원 기간 안에 접종을 완료해 줄 것”을 당부하며,

○ 2019년 1월부터는 2006년 1월 1일~2007년 12월 31일 사이 출생한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2회)이 무료지원 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 2018년까지 1차 접종을 완료한 2005년 출생자는 2019년에도 2차 접종비용 지원됨



[ 질병관리본부 2018-12-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059 다른 제품 혼입돼 아몬드 알레르기 유발 위험 있는 Hershey’s 초콜릿 시럽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6.24
2058 주의사항 표시되지 않은 Starplay 하마모양 이동형 풀장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4.12
2057 유리 주전자,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1.03.29
2056 곰팡이 오염 위험 있는 Beautycounter 마스카라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0.11.23
2055 어린이보호포장 미비한 Bob Smith Industries 순간 접착제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0.07.01
2054 Satelite City 강력접착제, 어린이 보호포장 미비하여 판매차단(3)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20.05.21
2053 미키하우스 유아용 샌들, 파손으로 인한 부상 위험 있어 판매 중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9.06
2052 여름 휴가철 물놀이 "음주가 가장 위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7.16
2051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 발생, 야외활동 시 진드기 물림 주의 당부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4.11
2050 봄철에는 조리된 식품의 보관온도를 지켜주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8.03.15
2049 안전한 사회, 교통 안전수칙 지키기부터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7.11.03
2048 올 겨울에는 어떤 재난안전사고를 주의해야 할까요?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6 2017.11.03
2047 제품 포장지에서 프탈레이트계가소제 기준치 초과 검출된 Musfunny 악기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10.08
2046 밀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주의사항 표시 미흡한 MY.San 크래커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5.25
2045 아미그달린 과다 함유된 Our father’s farm 건살구씨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5.03
2044 바늘 조각 혼입 가능성 있는 언더아머 트레이닝 바지(3)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5.03
2043 신학기용품, 유 아용품 의류 등 53개 제품 리콜 명령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4.09
2042 완연한 봄, 4월에는 산불과 등산사고‧황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1.03.25
2041 겨울의 초입 11월, 화재 산불 대설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0.11.02
2040 유해물질 기준 초과 검출된 Intenze 문신잉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145 2020.04.13
Board Pagination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