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2005년생 12월 31일까지 1차 접종 받아야 내년 2차 무료지원 가능
◇ HPV 예방접종은 총 102만 건 시행, 중한 이상반응 신고 사례는 없었음
◇ 질병관리본부, 지방자치단체·교육당국 협조 통해 접종 후 30분 대기 관찰 등 안전수칙 준수해 지원기간 내 접종 당부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올해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국가예방접종* 대상인 2005년, 2006년생 여성 청소년들이 12월 31일까지 빠짐없이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했다.
*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는 생식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지속 감염시 자궁 경부암(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우리나라에서 한 해 약 3,500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약 900여 명이 사망함) 등 관련 암의 원인이 됨. 특히 고위험 유전형인 HPV 16, 18형 감염은 자궁경부암 원인의 70%로 지목되며, 예방을 위해 백신 접종

○ 정부는 2016년부터 만 12세 여성 청소년을 대상으로 HPV 예방접종 및 표준 여성 청소년 건강 상담 서비스를 6개월 간격으로 2회 무료 지원하고 있다.

○ 특히 2018년 1차 접종 대상인 2005년생 중 미접종한 약 14.2%(약 3만명)의 여성 청소년들은, 올해 12월 31일까지 1차 접종을 마쳐야만 내년도에도 2차 접종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으니 접종을 서둘러 달라고 강조했다.

- 2005년생의 경우 올해 지원 시기를 놓치면 충분한 면역 반응을 얻기 위해 필요한 접종 횟수가 백신에 따라* 2회에서 3회로 늘어나고, 접종비용(1회당 15~18만 원)도 전액 본인 부담해야 한다.
* 4가 백신(가다실)은 만 13세 초과 연령에서 1차 접종 시작 시 3회 접종, 2가 백신(서바릭스)은 만 14세 초과 연령에서 1차 접종 시작 시 3회 접종 필요

○ 질병관리본부는 12월 26일 기준, 만 12세 여성청소년(약 42.7만 명)의 1차 접종률은 약 68.4%(약 29.2만명)로 작년 같은 시기에 비해 약 5.8%p 높고, 연령별 접종률은 2005년생이 85.8%, 2006년생이 51.6%라고 밝혔다.

□ 한편, 지난 12월 4일 개최된 2018년 제4차 예방접종 피해보상전문위원회*(위원장 김중곤)에서 HPV 백신이 국가예방접종으로 도입된 이후 신고된 이상반응**을 검토한 결과,
*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9조 및 제10조, 「같은 법 시행령」 제7조에 따른 예방접종과 신고한 이상반응과의 관련성을 평가하여 피해보상을 결정하는 심의기구
** 2018년 11월 26일 기준 총 접종건수 98만2,643건 중 76건으로 약 0.008%

- 가장 많은 것이 심인성 반응으로 일시적인 실신 및 실신 전 어지러움 등의 증상(39건, 51%)이었으며, ‘안전성이 우려되는 중증 이상반응은 신고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 이와 함께, “가장 많이 신고된 이상반응인 일시적 실신은 긴장을 풀고 편안한 마음으로 접종받는 것이 가장 중요한 예방법”임을 강조했다.
- 또한 “실신으로 넘어지면서 다치지 않도록 앉거나 누워서 접종하기, 접종 후 20~30분간 접종기관에서 경과를 관찰하며 쉬기 등의 안전수칙 준수로 실신 후 낙상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질병관리본부는 12월 31일까지 무료 접종대상인 청소년들이 빠짐없이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미접종자에게 안내 우편물 10만 부를 지난 11월 중순부터 개별 발송하였다.

○ 질병관리본부 김유미 예방접종관리과장은 “HPV 부작용 우려로 자녀의 접종을 주저하는 보호자분들은 지난 3년간의 이상반응 신고자료와 피해보상전문위원회의 안전성 검토결과를 참고하여 안심하고 정부지원 기간 안에 접종을 완료해 줄 것”을 당부하며,

○ 2019년 1월부터는 2006년 1월 1일~2007년 12월 31일 사이 출생한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2회)이 무료지원 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 2018년까지 1차 접종을 완료한 2005년 출생자는 2019년에도 2차 접종비용 지원됨



[ 질병관리본부 2018-12-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191 잔류농약 기준 초과 수입 냉동 무청 회수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1.06.07
3190 잠금장치 불량인 제트스키 승객용 좌석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2.12.06
3189 감전 위험 있는 파티용 LED 전구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3.01.16
3188 소형 부품 탈락으로 질식 우려 있는 TY 봉제인형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8 2023.08.18
3187 일부 차량용 에어매트리스에서 유해물질 검출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1.02.23
3186 봄의 초입, 3월에는 산불, 농기계사고, 황사에 주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1.02.25
3185 무독성·친환경으로 표시한 일부 그림물감에서 유해물질 검출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1.06.01
3184 배터리 발연 및 화재 위험 있는 테이블 조명 무상수리 조치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07.11
3183 화재 및 감전 위험 있는 FOCUS 전기히터 판매차단 안내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07.15
3182 비 올 때 위험해지는 지하 공간, 이렇게 대피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09.13
3181 배선 손상으로 감전 위험 있는 조명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12.13
3180 소비기한 표기 오류로 건강 위험 있어 리콜된 Ishiya 초콜릿 오믈렛(1)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12.14
3179 소비기한 표기 오류로 건강 위험 있어 리콜된 Ishiya 초콜릿 오믈렛(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2.12.14
3178 국내 안전검사 받지 않은 미인증 가스랜턴 판매중단 및 재고폐기 조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3.01.12
3177 설 명절 선물 구매 시 온라인 부당광고에 속지 마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3.01.17
3176 베이비키즈 / baby79mall 주의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3.05.23
3175 고수익 보장, 특별 저가 매수 기회 등으로 투자자를 현혹하는 가상자산 투자권유,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69 2023.08.03
3174 작은 부품 탈락해 질식 위험 있는 TROUSSELIER 완구 판매차단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1.02.26
3173 기기 및 오븐 과열돼 화상 및 화재 위험 있는 에어프라이어(2) 판매차단 안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2.08.26
3172 어린이보호포장 미흡한 방향제 자발적 리콜 조치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70 2022.10.12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219 Next
/ 21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