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담전화   (033)249-3034 평일 09시-18시, 12시-13시 점심시간(주말/휴일 휴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심근경색증·뇌졸중, 시간이 생명이다!”

-원인이 되는 생활습관 요인 및 선행질환 관리는 여전히 미흡하고-

-증상 발생 후 빠른 치료가 관건이나, 병원도착시간은 개선되지 않아-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양병국)929세계 심장의 날을 맞아 심뇌혈관질환의 심각성과 예방·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 수칙 국민들에게 권고하였다.

 

* 세계 심장의 날(9.29)은 세계심장협회(World Heart Federation)가 지정한 기념일로 심혈관질환의 발병 원인 및 예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지정하였다.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연간 50,803, 전체 사망의 약 20%, 사회경제적 질병부담이 크다.

 

심장질환 사망률은 OECD국가 평균보다는 낮지만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뇌혈관질환 사망률은 감소 추세이나 여전히 OECD 국가 평균을 상회

 

* (’13년 인구 십만 명당 사망률/사망자 수) 심장질환 50.2/25,358, 뇌혈관질환 50.3/25,445

 

순환기계 질환 진료비는 61천억 원으로 암 진료비 41천억 원보다 높음

 

그러나,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습관 요인은 전반적으로 악화되고 있으며,

 

현재 흡연자 850만 명, 성인 남성 흡연율은 여전히 40% 이상

 

고위험 음주자 440만 명, 성인 35.8% 1회 이상 폭음

 

성인의 신체활동 실천율 지속적 감소, 에너지·지방 과잉 섭취자 증가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의 선행질환인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등의 적정 관리수준 또한 미흡하다.

 

한편,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은 증상 발생 즉시, 재관류 치료가 가능한 전문 의료기관을 내원해야 하나, 병원도착시간은 아직까지도 골든타임(golden time) 보다 상당히 지연되고 있으며, 후유증으로 인한 사망률과 재발률도 증가 추세에 있다.

 

뇌졸중 환자 중 권장 시간인 3시간 이내 도착하는 경우는 전체 환자 중 50% 미만

 

질병관리본부는 심뇌혈관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

 

첫째, 9대 생활 수칙을 준수하고(붙임 1),

 

둘째, 심뇌혈관질환 의심 증상이 있을 때는 시간이 생명이므로 지체 없이 119에 도움을 요청하고, 가까운 큰 병원 응급실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하였다.

 

또한, 국민들이 생활수칙을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인포그래픽을 제작하여 홍보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붙임 2).

 

[보건복지부 2015-09-3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04 인스턴트 커피, 모바일상품권 관련 상담 전월 대비 증가율 높아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2.17 6
10303 인스턴트 건면, 유탕면에 비해 열량·지방은 적지만 나트륨 함량은 비슷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4 17
10302 인스턴트 건면, 유탕면에 비해 열량·지방은 적지만 나트륨 함량은 비슷해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9.12.24 25
10301 인생후반전 경력준비, 이제 온라인으로 함께하세요!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0.03.12 7
10300 인삼 잔류농약 걱정은 이제 그만!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4.05 64
10299 인문학 프로그램부터 야외공연까지, 가을로 물든 9월 문화가 있는 날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1 36
10298 인도로 가는 하늘 길 더욱 편리해진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5.10.16 130
10297 인도 불법주정차 안전신문고로 신고 가능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06.14 31
10296 인덕션레인지(1구), 가성비(가격대비성능) 꼼꼼히 따져봐야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8.28 47
10295 인권침해 발생 시설 좋은 평가 못 받는다! file 강원도소비생활센터 2017.02.16 61
10294 인구총조사에 나타난 1인 가구의 현황 및 특성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9.28 40
10293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로 분석한 우리나라 청년세대의 변화(2000~2020)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7 9
10292 인구감소 도시도 신산업 육성을 위한 개발용지 확보가 가능해집니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3.11.28 7
10291 인과성 근거 불충분 환자 의료비 지원 확대(9.9., 정례브리핑)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21.09.09 22
10290 인공지능으로 소방·구급차 응급출동 빨라진다 file 소비생활센터운영자 2018.04.23 50
Board Pagination Prev 1 ...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 925 Next
/ 9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